사회 불안·팬데믹 영향 때문

 

10.png

 

지난해 홍콩 내 대학교 자퇴생 수가 공식 집계가 시작된 2004년 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불안과 코비드19 팬데믹으로 자퇴생 수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학교육자조위원회(University Grants Committee)가 발표한 최신 통계에 따르면, 홍콩 8개 공립 대학교에서 2,100명 이상이 자퇴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여기에는 현지 학생과 외국인 학생 모두 포함되었다.

 

2019/20학년도에 8개 공립대학에서 총 2,120명의 학부생 및 대학원생이 자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도인 2018/19학년도의 1,848명보다 15% 증가했다. 이는 2003/04년도 홍콩 내 대학교 자퇴생 수가 공식적으로 집계를 시작한 이후 16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자퇴생 수가 가장 적었던 해는 2010/11학년도로, 총 1,057명으로 나타났다. 그 이후 자퇴생 수는 꾸준히 증가했고 2015년 이후부터는 연간 평균 약 1,800명이 자퇴했다. 2015/16년도에는 자퇴생 수가 1,868명까지 증가했다.

 

10-1.png

 

대학별 자퇴생 수를 보면, 홍콩대학교와 과학기술대학교가 각각 357명과 207명이 자퇴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36%와 35% 증가했다. 침례대학교는 전년도보다 10% 증가한 160명이 자퇴했으며 중문대학교는 학생 311명이 자퇴해, 전년 대비 13% 증가했다. 폴리텍대학교는 505명이 자퇴해 전년도 359명에서 약 40% 증가해 8개 공립 대학 중 자퇴생 수가 가장 많았다. 폴리텍대학교와 중문대학교는 2019년 반정부 시위가 최절정이었을 당시, 급진 시위대가 대학 캠퍼스를 점령해 진압 경찰대와의 격렬한 충돌로 캠퍼스 곳곳이 크게 파손되기도 했다.

 

시티대학교와 교육대학교가 유일하게 자퇴생 수가 증가하지 않고 줄어들었다. 시티대학교는 전년도 444명에서 지난해 362명으로, 교육대학은 전년도 158명에서 지난해 151명으로 자퇴생 수가 감소했다.

 

대부분 대학교들은 개인사 또는 가족 문제가 학생들의 주요 자퇴 사유라고 밝혔지만, 일부 학생회 대표 등 일각에서는 반정부 시위 이후 많은 학생들이 홍콩을 떠나 해외로 유학 갔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홍콩 최대 교육 단체인 홍콩전문교사협회(PTU)의 펑 와이와(Fung Wai-wah) 회장은 “사회 불안, 팬데믹과 더불어 해외 이민 물결이 자퇴생 수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한다. 여전히 많은 학부모와 학생들이 홍콩의 대학이 높은 수준의 교육의 질을 제공하고 있다고 믿고 있지만, 홍콩의 장기적인 경제·사회적 변화 전망에 이민을 선택하면서 자퇴를 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홍콩대학교 행정위원회 학생 대표이자 전 학생회 회장인 에디 제(Edy Jeh)는 물론 코비드19 팬데믹으로 많은 외국인 학생들이 자퇴를 하고 고국으로 돌아갔기도 했지만, 해외 유학을 선택한 현지 학생들도 많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부 학생들은 대만, 영국 등 해외 대학으로 편입했으며, 혹은 일부 현지 학생들은 전공을 바꾸기 위해 자퇴 후 다시 입시 준비를 하고 있다. 예컨대 법학과를 다니던 지인이 2019년 반정부 시위 이후 홍콩의 사법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하락해 자퇴 후 치예과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고 말했다.

 

엘런 우(Alan Wu) 폴리텍대학교 학생회 회장도 많은 지인들이 자퇴 후 호주, 캐나다 등 다른 나라로 유학을 떠났다고 밝혔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10.png (File Size:613.0KB/Download:22)
  2. 10-1.png (File Size:181.2KB/Download:2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76 홍콩 미중 무역전쟁 격화로 부동산 거래량 큰폭 감소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75 홍콩 웨스턴 하버 터널 6월부터 통행료 인상…최대 8% 1997년 개통 이후 18번째 요금 인상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4 홍콩 정부, 스마트업과 협력해 첨단 기술 공공 서비스 향상, 스마트 랩 개회식에서 로봇 택배, 나무 움직임 센서 등 선보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3 홍콩 유치원 교사 주당 70시간 근무, 인력 부족 문제 직면 우려 행정 업무 증가로 2년 전보다 20시간 늘어나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2 홍콩 IMD, 홍콩, 세계에서 가장 국가경쟁력 있는 국가 2위 유지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1 홍콩 하버프론트 산책로와 함께 친환경 보행자 육교 프로젝트 승인돼 갤러리·전망대 등 문화 공간 있는 인도교 조성 예정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70 홍콩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홍콩 소매 판매 및 관광객 수 감소 국경 간 이동 쉬워져 숙박비가 싼 인근 도시에 머물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69 홍콩 골드 사기 피해 중국인 신고자, 조직 폭력배 13명에게 폭행 당해 피해자 3년 간 약 USD 2억 상당 피해 주장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68 홍콩 공공 아파트에도 베란다, 다용도실 생겨…변모하는 공공 아파트 도시 소음 차단을 위한 정부의 해결방안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67 홍콩 의료 사보험 가입자 10명 중 4명, 여전히 공립 병원 선호, 의료 사보험에 대한 신뢰 부족 시사… 개선 촉구 file 위클리홍콩 19.06.04.
1166 홍콩 주택 담보 대출 월 소득 70% 차지… 감당 안 되는 부동산 가격, 부동산 붐이던 1997년 수준 넘어서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5 홍콩 1월 ~ 5월 부동산 거래규모, 22년래 최고 수준.. 그러나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로 하반기에는 둔화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4 홍콩 미중 무역전쟁에 폐지 가격 하락… 저소득층 생계 위협, 12월 대비 쓰레기 수출 가격 45% 하락해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3 홍콩 홍수 피해로 빅 웨이브 베이 해변 임시 폐쇄, 자연 강 관활 부서 없어 피해 복구 더뎌져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2 홍콩 홍콩, 세계 IPO 시장에서 뉴욕와 나스닥에 밀려 3위 차지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1 홍콩 HK택시, 고급 택시 운행 입찰 계획 있어… HK$ 1억 투자 의향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60 홍콩 단오절 맞아 곳곳에서 용선 경기…즐거움과 열기로 가득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59 홍콩 세금 감면과 노후 저축,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다... 새로운 연금 보험 제도 소비자에게 큰 인기 얻어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58 홍콩 홍콩 전통 차 file 위클리홍콩 19.06.11.
1157 홍콩 홍콩으로 돌아온 역 이민자들 다시 캐나다로 발길 돌려, 홍콩 정치적 불안·개인적 사유·인구 고령화… 여러 주장 엇갈려 file 위클리홍콩 19.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