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kQWMpcqd_d431f538f13f0947

Research Co.의 코로나19 관련 가계 재정 설문조사 발표자료 이미지 사진

 

BC주민 54% 이전보다 지출 증가

교통비는 이동제한에 오히려 감소

 

코로나19로 사회활동이 힘들어지면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졌고, 결국 BC주 절반 이상 가정들이 대유행 이전 보다 생활비 품목 중 식품비 지출이 유일하게 늘어난 품목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설문전문기업인 Research Co.가 15일 발표한 코로나19 관련 가계 재정 설문조사 결과에서 BC주의 54%가 대유행 이전보다 식품비(groceries) 지출이 늘었다고 답했다. 이는 7개의 주요 생활비 중 유일하게 절반을 넘는 항목이다.

 

연령별로 보면 18-34세가 48%, 35-54세가 50% 그리고 55세 이상이 63%로 나이가 많을수록 식품비도 늘었다. 지역별로는 메트로밴쿠버가 53%로 밴쿠버섬의 51%에 이어 가장 낮았다. 연간가계소득에서 5만 달러 이하 가구가 55%로 나머지 가구의 53%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인종별보 보면 동아시아인은 44%가 낮아졌다고 대답해 제일 높았다.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이동을 하지 않았다는 결과다. 가계 재정 상황 기준으로 아주 나빠진 가구는 교통비가 줄었다는 응답이 29%로 가장 낮아 결과적으로 어떻게 해서든 움직여야 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조금 나빠졌다는 가구는 반대로 46%로 가장 교통비 지출이 낮아졌다고 응답해 가장 취약한 고용 안전 계층이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줬다.

 

식품비 이외 주거비는 14%만이 늘어났다고 대답했다. 도서는 15%, 신문잡지비는 7%, 보드게임은 13%, 전자전기기기는 29%, 교통비는 18%가 늘어났다고 대답했다.

 

이들 항목 중 '교통비는 같다'가 41%, 그리고 '오히려 줄었다'가 37%로 나왔다. 즉 대유행으로 재택근무나 학교 온라인 수업, 그리고 이동 제한 등이 교통비를 아끼게 했다고 보인다.

 

지역별로 보면 메트로밴쿠버가 교통비가 줄었다는 대답이 39%로 가장 높았다. 다음이 밴쿠버섬으로 37%였다. 결과적으로 대도시에서 더 사회적 거리두기에 영향을 많이 받았고, 출퇴근자들이나 학생이 많아서 상대적인 결과가 나온 것으로 해석된다.

 

가계소득별 교통비 지출에서 10만 달러 이상 고소득 가정은 44%가 상대적으로 감소해 이동 없이도 재택근무나 자산 운용 등으로 고소득을 한 듯 하다. 반면 5만 달러 미만 저소득 가정은 상대적으로 교통비 절감 비율이 낮아, 결과적으로 어려워도 움직여야 소득을 낼 수 있었다는 얘기다.

 

인종별로 보면 동아시아인은 51%가 늘었다고 대답해 모든 이민자들 중에 가장 낮았다. 유럽계는 56%, 남아시아인은 63%로 나왔다. 코로나19 기간 준 가계 재정 상황 기준으로 볼 때 아주 심각하게 낮아졌다는 응답자의 75%가 식품비가 늘었다고 대답해 아주 나아졌다는 응답자의 40%와 비교됐다. 소득이 악화될수록 상대적으로 식품비 증가율이 높아져 코로나19식 엥겔지수를 보인 셈이다.

 

반면 아주 나아졌다는 응답자의 35%, 그리고 어느 정도 나아졌다와 같다고 대답한 응답자의 36%가 교통비가 줄었다고 대답했다.

 

이번 조사에서 가계 재정이 대유행 이전과 비교해 어떻냐는 질문에 아시아인들은 같다가 41%, 나아졌다가 20%로 나왔다. 남아시아인은 나아졌다는 비율이 29%로 가장 좋았다. 거주지역별로는 메트로밴쿠버가 19%가 나아졌다고, 44%가 같다고 대답해 프레이저벨리 다음으로 상황이 좋았다.

 

이번 조사는 3월 1일부터 3일까지 BC주 성인 8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표준오차는 +/- 3.5%포인트이다.

 

밴쿠버 중앙일보 표영태 기자

  • |
  1. 캡처.JPG (File Size:40.1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497 캐나다 연방 예산 밴쿠버 중산층에 초점 밴쿠버중앙일.. 18.03.03.
6496 캐나다 캐나다 통합 차세대 무역스쿨 밴쿠버서 개최 밴쿠버중앙일.. 18.03.03.
6495 캐나다 젊은 세대 도시 선호도, 밴쿠버 6위 밴쿠버중앙일.. 18.03.03.
6494 캐나다 캐나다서 자주 당하는 사기 수법은... 밴쿠버중앙일.. 18.03.03.
6493 캐나다 제99주년 3.1절 기념식 거행 밴쿠버중앙일.. 18.03.03.
6492 캐나다 운전중 휴대폰 사용, 가중 처벌에 또 가중 처벌 밴쿠버중앙일.. 18.03.03.
6491 미국 美 겨울폭풍 노리스터 상륙 file 뉴스로_USA 18.03.03.
6490 미국 ’김영란법’도 울고갈 미국법 뉴스로_USA 18.03.04.
6489 미국 빌리 그레이엄목사 영면 file 뉴스로_USA 18.03.04.
6488 미국 ‘美 전쟁원하나?’ 트럼프에 서한 뉴스로_USA 18.03.05.
6487 미국 하와이, 북미대화 촉구결의안 file 뉴스로_USA 18.03.05.
6486 캐나다 파이프라인 갈등, 캐나다 국민 여론은? CN드림 18.03.06.
6485 캐나다 캐나다 종합전적 3위 CN드림 18.03.06.
6484 미국 티벳설날 ‘로사르’ 아시나요 file 뉴스로_USA 18.03.06.
6483 캐나다 연아 마틴 상원의원, 자유당 예산안에 우려 표명 밴쿠버중앙일.. 18.03.07.
6482 캐나다 다양성 인정 우수 고용주 BC에 고작 7개 밴쿠버중앙일.. 18.03.07.
6481 캐나다 KOTRA 밴쿠버 무역관 공공입찰 정보 제공 밴쿠버중앙일.. 18.03.07.
6480 캐나다 전기료 결국 오른다 밴쿠버중앙일.. 18.03.07.
6479 캐나다 주택거래는 감소, 가격은 관성따라 상승 밴쿠버중앙일.. 18.03.07.
6478 캐나다 밴쿠버 조망 회전식당, 추억 속으로 밴쿠버중앙일.. 18.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