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폐화된 숲의 83.6%가 자연적으로 재생되고 있어.jpg

 

인간의 활동, 해충, 불법 벌목, 화재 등으로 인해 2016년까지 몽골의 산림 면적은 1950년에 비해 거의 절반으로 줄어들었다. 다만 구체적인 목표의 결과로 2016년부터 숲이 차지하는 면적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 5년 동안 숲으로 덮인 면적은 0.2% 증가하여 전체 면적의 8%에 이르렀다. 미래부는 향후 3년간 2024년까지 8.6%, 2030년까지 9%의 목표를 세웠다. 
숲 크기를 늘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유망한 통계가 많이 있다. 특히 삼림파괴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산불 발생 건수는 줄지 않았지만 피해 면적은 줄었다. 산림 분야 종사자와 지역사회가 화재 진압 방법에 대한 지식을 얻고 있다는 신호다. 
성능 저하에 이바지하는 또 다른 요인은 불법 벌목이며, 이 또한 감소하고 있다. 
가장 유망한 통계는 산림 자체의 재생 능력으로 화재, 해충, 벌목으로 인한 산림 퇴화율이 83.6%로 자연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항가이와 흡스굴 지역의 낙엽송과 지역 생태계에 적응된 헹티 지역의 삼나무는 재생력이 매우 높다. 
나머지 17%의 산림은 약 30만 헥타르이다. 
산림녹화와 수목 재배는 단순히 정부, 국제기구, 산림 분야가 하는 일이 아니라 지역사회 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것이다. 
2010년 대통령령 제63호로 매년 5월과 10월 둘째 주 토요일은 국가 나무 심기의 날로 선포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시민과 기업은 지난 10년간 1300만 그루 이상의 나무를 심었다. 따라서 연간 평균 120만 그루의 나무가 심어져 시민들의 심기 욕구를 확인할 수 있다. 
화재 피해와 불법 벌목이 줄어든 것은 산림녹지 주민들이 산림 보호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얻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국제기구는 이 지역에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을 시행하는데, 이 프로그램은 숲이 우거진 목표물 주민을 대상으로 한다. 
예컨대 산림공동체·산림 단위를 지원해 생물 다양성 보호와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을 추진하기 위한 자연환경관광부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5년 공동사업이 2020년 완료됐다. 
이 프로젝트는 헹티, 셀렝게, 볼강, 흡스굴, 다르항-올 아이막의 101개 공동체를 대상으로 하며, 5개의 아이막, 10개의 강 유역, 7%의 몽골 숲에서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4개 지역을 포함한다. 
자연환경 감시원 1명이 관리하는 고지대 10만 헥타르, 산림 초원 구역 12만 헥타르, 초원 구역 50만 헥타르, 사막 초원 구역 60만 헥타르, 사막 구역 80만 헥타르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면 정부만으로는 환경 보호할 수 없다. 다만 생물 다양성을 인식하고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연구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지역사회와 공동체의 지원을 받아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2020년 말 현재 전국 217개 나무양육원이 있으며, 이 가운데 산림공동체가 일정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환경 보호와 재활 방법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부문 조직만이 아닌 대중의 관심에 가져다주면 단기간에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생물 다양성 보존은 세계 육지 면적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식물, 동물, 곤충 종의 80% 이상이 서식하는 삼림을 기반으로 한다. 인간의 발전과 복지는 건강한 자연 시스템에 의존한다. 인간은 건강한 환경 없이는 잘 살 수 없다는 것이 점점 분명해지고 있다. 
벌목에 대한 숲의 이점을 평가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전문가들은 "나무는 기후 변화에 맞서 싸우는 가장 큰 무기이다."라고 말한다. 
스위스 대학의 생태학자인 Thomas Crowter는 약 1조 2천억 그루의 나무를 심기에 충분한 공간이 세계에 있다고 말했으며, 우리가 이 공간을 사용하여 수많은 양의 나무를 심을 수 있다면, 우리는 향후 10년 동안 충분한 산소 저장 용량을 갖게 될 것이며,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과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몇 년간 전 세계적으로 나무 심기가 강화되고 있다. 2019년 현재, 유엔의 "조 나무 심기" 캠페인의 일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약 150억 그루의 나무가 심어졌다. 
이와 함께 자연환경관광부는 2030년 유엔 생태 재활프로그램(UNEC)의 틀 안에서 산림·재활 분야에서 자연환경관광부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ikon.mn 2021.03.21.]
몽골한국신문 편집인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060 몽골 학생들은 도서관, 카페테리아, 화장실, 화장실에서 마스크를 정기적으로 착용해야!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7.
7059 몽골 지속 가능한 개발의 건강 목표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유엔과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7.
7058 몽골 몽골과 북한은 전염병이 가라앉는 대로 방문과 행사를 개최할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7.
7057 몽골 Uvurkhangai Bogd 솜 교통 제한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7.
7056 몽골 재난안전대책위원회 대기 오염 80% 감소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7.
7055 몽골 중국 은행은 몽골에서 사업 축소 결정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7.
7054 몽골 석탄 운송업자들은 정부의 전권대표 임명을 요구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8.
7053 몽골 전자게임 센터의 단계적 개방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8.
7052 몽골 8월 임시국회 오늘 폐회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8.
7051 몽골 보육서비스 예산 20억 투그릭 편성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8.
7050 몽골 연초 이후 19차례 강진이 발생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8.
7049 몽골 투그릭 대출의 가중평균 금리는 1.4% 감소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8.
7048 몽골 몽골인민당, 총선거위원회 위원장 Ch.Sodnomtseren의 해임 문제를 논의하여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8.
7047 몽골 J.Batsuuri 의원의 어리둥절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8.
7046 몽골 외국인들은 하루 26.5-28만 투그릭으로 21일간 격리 file 몽골한국신문 20.08.28.
7045 몽골 몽골의 기업들이 힘들어 file 몽골한국신문 20.09.01.
7044 몽골 코로나바이러스를 치료하는 의사 가족에게 5백만 투그릭이 제공될 것 file 몽골한국신문 20.09.01.
7043 몽골 몽골-인도 국회의원 협회 B.Saranchimeg 의장은 주몽골 인도 M.P.Singh 대사와 만나 file 몽골한국신문 20.09.01.
7042 몽골 석탄운송 운전기사들은 시위를 멈추고 일터로 돌아가 file 몽골한국신문 20.09.01.
7041 몽골 농업발전을 지원하고 수출을 늘리기 위한 국회 로비 단체가 설립되어 file 몽골한국신문 20.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