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요식업에서 강한 소비력 보여

 

5.png

 

홍콩 소매점의 공실률이 줄어들면서 단기적으로 시장이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는 주요 쇼핑 지구의 럭셔리 및 화장품 관련 점포들이 빠져나가면서 전반적인 점포 임대료가 저렴해졌고, 이를 기회로 다양한 업체들이 빈 점포를 메꾸고 있다고 밝혔다.

 

라이키 웡(Raiky Wong) 센타라인 커머셜(Centaline Commercial) 소매부 책임자는 “일부 업체 특히 요식업 부문의 소비력이 반등하면서 주요 지역의 소매 점포 공실률이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대규모 백신 접종까지 시행되면서 팬데믹이 통제되고 경제 활동이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이다”고 말했다.

 

지난해 홍콩 방문객 수가 357만 명으로 94% 급감하면서 중국 본토 관광객들이 주로 맞던 럭셔리 및 화장품 업종 소매들이 큰 타격을 받았다. 그러나 럭셔리 및 화장품 업체 소매점들이 빠져나간 빈 점포 자리에 일상용품 소매업체, 중저가 제품 소매업체 등이 채우게 되면서 거리 점포 업종이 다양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라이키 웡 책임자는 “소매 시장이 거의 바닥을 치닫았다. 그러나 임대료가 저렴해진 이 시기를 이용할 회사들이 많을 것이다”며 “최근 주요 중심 지역에 대형 상점들이 들어서고 있다. 이는 세입자들의 시장에 대한 신뢰가 반등했음을 시사하며, 주요 핵심 지역들의 소매 점포 공실률이 단기적으로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올해 2월 코즈웨이베이 등 프리미엄 쇼핑 지구의 점포 공실률이 4개월 연속 줄어들었다. 2월 공실률은 전월 대비 0.4% 포인트 줄어든 10.9%를 기록했다. 또 다른 대표 쇼핑 지구인 몽콕의 경우, 2월 공실률이 전월 대비 0.2% 포인트 줄어든 10.9%를 기록해 3개월 연속 감소했다.

 

많은 요식업 점포들이 이 기회를 틈타 임대료가 더 저렴한 점포로 이전을 하고 있다. 예컨대 뱀 수프로 유명한 한 레스토랑은 최근 코즈웨이베이에서 완차이로 이전을 했으며 이전 월 임대료 30만 홍콩달러에서 현재 12만 홍콩달러로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센타라인 최신 데이터에서도 새로 임대된 소매 점포 건수가 급증했다. 1~2월 기간 소매 임대차 거래 건수가 전년 같은 기간 266건에서 754건으로 크게 증가했다.

 

주요 쇼핑 지구의 점포 임대료가 지난해보다 평균 37% 저렴해졌다. 테디 웡(Teddy Wong) 센타라인 선임 영업 책임자는 “최근 임대 시장 임대료가 조정되면서 거래량이 증가할 것이다”고 말했다.

 

다니엘 웡(Daniel Wong) 미드랜드 IC&I CEO는 상업용 부동산의 경우, 이중 인지세 철폐로 많은 사업체들이 수혜를 받게 되었고 특히 춘절 이후 비즈니스 활동이 더욱 활발해졌다고 밝혔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5.png (File Size:491.8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196 홍콩 출처 알 수 없는 HPV 백신 포착, 의약품 밀수 의혹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5 홍콩 은둔형 외톨이 전체 인구 2% 추정, 일본보다 높아 환자 심리적 문제보다 ‘환경·사회·교육 복합적 문제’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4 중국 미중 무역전쟁 악화로 세계경제 암울해 질 수 있어 해외IB 전망 "대중국 관세 전체 확대 시 중국성장률 2% 하락예상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3 중국 중국 주요대학 여학생들, 자신의 난자 팔아 용돈벌이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2 중국 광둥성 경유 무비자 체류 정책 file 위클리홍콩 19.05.14.
1191 홍콩 아동·노인 학대 및 학대 방관 처벌 강화…최고 20년형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90 홍콩 환경단체, 슈퍼마켓의 불필요한 플라스틱 포장 지적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9 홍콩 새로운 근현대 건축물 문화유산 평가 시스템 도입 촉구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8 홍콩 대학 졸업생 증가로 일자리 부족으로 급여 수준 하락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7 홍콩 홍콩 젊은 층 40%, 휴식 취하면 불안·초조·두려움 느껴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6 홍콩 USB 충전 멀티탭 안전성 미달… 제품 사용 시 감전 주의 당부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5 홍콩 홍콩관광청, 관광산업 서비스 강화 file 위클리홍콩 19.05.21.
1184 홍콩 홍콩 정부, 카우룽 파크 지하 공간 개발 발표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83 홍콩 공립 아파트-저소득층 임채 매칭 제도 유연해져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82 홍콩 중국으로 가는 새로운 고속도로 26일(일) 개통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81 홍콩 JP모건, 홍콩부동산 가격 5% 상승 할 것으로 전만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80 홍콩 2018년 취업사기 피해액, 전년대비 17배 증가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79 홍콩 수당 증가로 홍콩 내 외국인 주재원 연봉 상승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78 홍콩 미중 무역전쟁 장기전 돌입, 홍콩 고용 시장에도 타격 입을 것 file 위클리홍콩 19.05.28.
1177 홍콩 홍콩 부모 5명 중 1명, 가정생활에 어려움 겪어 file 위클리홍콩 19.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