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 피츠버그, 샌프란시스코, 뉴욕 등... 바이든, 애틀랜타 현지 방문

 

 

demo.jpg
▲ 뉴욕 맨해튼 유니온 스퀘어 집회에서 참석자들이 아시아 여성들을 추모하고 있다. ⓒ 최현정(오마이뉴스)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한인 4등 아시아계 여성 6명이 희생된 조지아주 애틀랜타 총격 사건을 계기로 ‘인종차별’과 ‘인종 혐오’ 범죄를 규탄하는 시위가 피츠버그, 샌프란시스코, 시카고, 뉴욕 등 미 전역으로 확산하고 있다.

<시앤앤> 등 여러 미국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20일 애틀랜타의 조지아주 의사당 앞 리버티 플라자 광장에서는 총격 사건 피해자에 대한 정의를 요구하고 인종차별, 외국인 혐오와 여성 혐오를 비난하는 집회가 열렸다.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BLM) 운동을 이끈 청년들이 동참하는 등 다양한 인종의 참석자들이 거리로 나와 아시아계와 연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장에 참석한 아시아계들 역시 미국 사회에서 아시아계는 늘 조용한 존재였지만, 이제는 침묵을 깨고 나올 때 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참석자들은 ‘아시아계 증오를 멈춰라”는 구호를 외치며 행진을 벌인 가운데 유명 인사나 지역 아시아계 정치인들이 동참했다. 집회에는 조지아주를 지역구로 하는 존 오소프 연방 상원의원과 라파엘 워녹 상원의원 그리고 비 응우옌 조지아주 하원의원도 참여했다.

조지아주 최초의 베트남계 하원의원인 비 응우옌 의원은 이날 연설에서 “이번 공격은 아시아계 공동체에 대한 공격”이라며 “이번 사건의 희생자뿐만 아니라 백인 우월주의의 모든 희생자를 위한 정의를 요구하자”고 외쳤다.

민주당 소속으로 조지아주 첫 흑인 상원의원인 워녹 의원은 “우리는 여러분을 보고 있고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여러분과 함께하고 있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현장을 찾았다”라면서 아시아계 형제자매와 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애틀랜타 찾은 바이든 "미국은 증오의 피난처가 될 수 없다"

이런 가운데 조 바이든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전날 조지아주 애틀랜타를 찾아 현지 아시아 공동체 지도자들과 면담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후 연설에서 “총격범의 범행 동기가 무엇이든, 우리는 이것을 안다”며 “너무 많은 아시아계 미국인들이 걱정하며 거리를 지나며, 공격과 비난을 당하고 희생양이 되고 괴롭힘을 당해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목소리를 내고 행동해야 한다”며 “미국은 증오의 피난처가 될 수 없으며, 이는 중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1세 백인 남성인 로버트 에런 롱은 지난 16일 애틀랜타에서는 마사지숍 등 3곳에 난입해 총격을 가해 한국계 4명을 포함해 8명을 살해했다.

미국내 한인사회 지도자들은 수사 당국이 로버트 에런 롱을 살인과 폭행 혐의 등으로 기소한 가운데 아시아계 여성 6명이 희생된 점을 고려해 ‘증오범죄’ 혐의를 추가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아시아계 업소를 연이어 찾아가 범행을 저지른 것이 어떻게 인종적인 동기에서 나오지 않은 것이냐는 것이다.

태미 킴 캘리포니아주 어바인 부시장을 비롯, 한국계 여성 연방 하원의원인 영 김 의원과 미셸 스틸 박 의원도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인종 차별 문제에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
  1. demo.jpg (File Size:98.3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57 캐나다 고급 인력 부족한 BC, 빈 자리 장기간 공석 밴쿠버중앙일.. 18.02.22.
6556 캐나다 작년 한인 방문자 29만4000명 밴쿠버중앙일.. 18.02.22.
6555 캐나다 주민 1만명 항의에 '공원 주차비 축소' 밴쿠버중앙일.. 18.02.22.
6554 캐나다 건강보험료 내년말이면 끝 밴쿠버중앙일.. 18.02.22.
6553 캐나다 연방 보수당, 한인실업인 목소리 경청 밴쿠버중앙일.. 18.02.22.
6552 미국 “정신이 문제가 아니라 총이 문제다” 뉴스로_USA 18.02.22.
6551 미국 뉴욕 W카운티 ‘총기박람회’ 금지 file 뉴스로_USA 18.02.22.
6550 미국 빌리 그레이엄 목사 100세 타계 file 뉴스로_USA 18.02.22.
6549 캐나다 캐나다 거주 한인은 과연 몇 명일까? 밴쿠버중앙일.. 18.02.23.
6548 캐나다 자녀 둔 포스트세컨더리 학생 보조금 확대 밴쿠버중앙일.. 18.02.23.
6547 캐나다 이번 추위 언제까지 가나? 밴쿠버중앙일.. 18.02.23.
6546 캐나다 밴쿠버에서 피아노 배웠다면 이 얼굴 주목 밴쿠버중앙일.. 18.02.23.
6545 캐나다 NHL선수 빠져도 준결승 진출 밴쿠버중앙일.. 18.02.23.
6544 캐나다 독립 채비 갖춘 하이틴 증가 밴쿠버중앙일.. 18.02.24.
6543 캐나다 작년 BC 찾은 한인 11만 2127명 밴쿠버중앙일.. 18.02.24.
6542 캐나다 BC-알버타 갈등에 퀘벡은 누구 편? 밴쿠버중앙일.. 18.02.24.
6541 캐나다 한인 젊은이 교통사고 사망 밴쿠버중앙일.. 18.02.24.
6540 캐나다 밴쿠버 한국 어린이 세계 로봇 대회 참가 밴쿠버중앙일.. 18.02.24.
6539 캐나다 "한국과 다른 교통법 꼭 숙지해야" 밴쿠버중앙일.. 18.02.24.
6538 미국 잔디 깎는 기계, 사람 잡는다... 안전수칙 잘 지켜야 file 코리아위클리.. 18.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