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액 42억 달러... '기업 이메일 침해' 피해 가장 많아

 

 

high.jpg
(사진 출처: FBI 웹사이트)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미 연방수사국(FBI)은 지난해 사이버 범죄 신고 건수가 기록적인 수준을 보였다고 밝혔다.

FBI는 최근 발표한 사이버 범죄 보고서에서 지난해 ‘인터넷범죄신고센터(Internet Crime Complaint Center)’에 접수된 신고 건수가 79만여 건에 달했다며, 이는 전년도인 2019년에 비해 70% 가까이 늘어난 수치이자 지난 2000년 신고 센터가 설립된 이래 가장 높은 수치라고 밝혔다.

5년 전만 해도 피해액은 15억 달러에 불과했고, 2019년에는 35억 달러 수준이었던 사이버 범죄 피해액이 42억 달러에 달러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 됐다.

이번 보고서는 사이버 범죄로 개인 정보를 알아내 돈을 빼돌리는 피싱(phising) 또는 비밀번호 도용, 미지급과 미배달(nonpayment/nondelivery), 강탈(extortion) 등 세 가지였다고 분석했다. 미지급이란 인터넷으로 재화나 서비스를 받아놓고 대가를 지급하지 않는 걸 말하고, 미배달은 반대로 대금은 받아놓고 그에 대한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은 행위를 말한다.

지난해 가장 큰 경제적 피해를 준 사이버 범죄는 업무용 전자메일 계정을 공격하는 ‘기업 이메일 침해(BEC : Business Email Compromise)’로, 피해액이 약 18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죄자들이 기업 이메일 계정을 확보한 후 승인되지 않은 자금 이체를 하면서 피해액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피싱과 도용 강탈, 그 외 다양한 인터넷 부정행위를 통해 사회의 가장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많았다고 밝혔다. 개인 보호장비를 구하려는 의료계 종사자나 정부 지원금을 기다리는 취약 계층이 주요 대상이었다.

특히 코로나와 관련한 신고 건수가 2만8500건이 넘을 정도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를 악용한 사례가 많았다. 코로나 경기부양안에 따른 실업수당 지원이나 중소기업 융자 프로그램 등과 관련한 신고 건수가 수천 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월 미 의회는 2조2천억 달러 규모의 코로나 경기부양안을 통과시키면서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급여보호프로그램(PPP)’으로 3천490억 달러가 지급됐다. 그런데 유령회사를 세우는 방식 등으로 이 정부 지원금을 사취한 경우가 많았고, 일부 주에서는 신원 정보를 훔쳐 실업급여를 불법으로 받아낸 범죄자들도 적발됐다.

최근에는 코로나 백신을 접종하기 위해 돈을 낼 것을 요구하거나 백신 접종자 대기 명단에 이름을 올려주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범죄도 보고 되고 있다. 보고서는 범죄자들이 주로 소셜미디어나 이메일 등을 통해 거짓 홍보를 한다고 지적했다.
  • |
  1. high.jpg (File Size:24.0KB/Download: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557 캐나다 고급 인력 부족한 BC, 빈 자리 장기간 공석 밴쿠버중앙일.. 18.02.22.
6556 캐나다 작년 한인 방문자 29만4000명 밴쿠버중앙일.. 18.02.22.
6555 캐나다 주민 1만명 항의에 '공원 주차비 축소' 밴쿠버중앙일.. 18.02.22.
6554 캐나다 건강보험료 내년말이면 끝 밴쿠버중앙일.. 18.02.22.
6553 캐나다 연방 보수당, 한인실업인 목소리 경청 밴쿠버중앙일.. 18.02.22.
6552 미국 “정신이 문제가 아니라 총이 문제다” 뉴스로_USA 18.02.22.
6551 미국 뉴욕 W카운티 ‘총기박람회’ 금지 file 뉴스로_USA 18.02.22.
6550 미국 빌리 그레이엄 목사 100세 타계 file 뉴스로_USA 18.02.22.
6549 캐나다 캐나다 거주 한인은 과연 몇 명일까? 밴쿠버중앙일.. 18.02.23.
6548 캐나다 자녀 둔 포스트세컨더리 학생 보조금 확대 밴쿠버중앙일.. 18.02.23.
6547 캐나다 이번 추위 언제까지 가나? 밴쿠버중앙일.. 18.02.23.
6546 캐나다 밴쿠버에서 피아노 배웠다면 이 얼굴 주목 밴쿠버중앙일.. 18.02.23.
6545 캐나다 NHL선수 빠져도 준결승 진출 밴쿠버중앙일.. 18.02.23.
6544 캐나다 독립 채비 갖춘 하이틴 증가 밴쿠버중앙일.. 18.02.24.
6543 캐나다 작년 BC 찾은 한인 11만 2127명 밴쿠버중앙일.. 18.02.24.
6542 캐나다 BC-알버타 갈등에 퀘벡은 누구 편? 밴쿠버중앙일.. 18.02.24.
6541 캐나다 한인 젊은이 교통사고 사망 밴쿠버중앙일.. 18.02.24.
6540 캐나다 밴쿠버 한국 어린이 세계 로봇 대회 참가 밴쿠버중앙일.. 18.02.24.
6539 캐나다 "한국과 다른 교통법 꼭 숙지해야" 밴쿠버중앙일.. 18.02.24.
6538 미국 잔디 깎는 기계, 사람 잡는다... 안전수칙 잘 지켜야 file 코리아위클리.. 18.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