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으로 인한 친구와의 교류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꼽혀

 

6.png

 

홍콩아동단익회(Boys’ and Girls’ Clubs Association, BGCA)가 16일(금)에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 어린이 및 청소년들의 행복 지수가 지난 5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코비드19 팬데믹으로 인한 휴교로 친구와의 교류 부족, 학업에 대한 불만족, 친구 및 가족과의 갈등 등이 주요 불행의 원인으로 꼽혔다.

 

협회는 지난 2~3월 기간 6세~17세의 어린이 및 청소년 750명 이상을 대상으로 행복 지수를 조사했다. 전체 평균 행복 지수가 10점 만점에서 6.94점으로 나타나, 2016년 이후 처음으로 7점 이하로 떨어졌다. 특히 15~17세의 청소년들의 행복 지수가 10점 만점에서 6.04점으로 전체 연령대 중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찰스 챈(Charles Chan) 협회 회장은 15~17세 청소년들이 최신 뉴스 보도와 사회 문제에 더 민감하기 때문에 행복 지수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고학년 청소년들이 사회적 변화와 고등교육 교과 변화에 가장 민감하다. 상대적으로 더 어린 청소년들의 경우, 대면 수업이 중단되고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되면서 친구들과의 교류 부족이 행복 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치우 춘헝(Chiu Chun-hung) 연구개발 책임자는 “전체 평균이 7~10점 사이일 때, ‘행복하다’고 정의하는데, 최신 조사 결과 홍콩 청소년들은 행복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코비드19 팬데믹 속에서 다양한 방과 후 활동과 교내 대회 등이 취소되었다. 일부 학생들은 이로 인한 학업 결과에 대한 불만족, 친구 및 가족과의 갈등 등을 불행의 원인으로 꼽았다”고 설명했다.

 

응답자 약 40%가 전반적으로 ‘자주’ 또는 ‘항상’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변했으며 45%가 지난 수개월 동안 ‘거의’ 또는 ‘전혀’ 친구들을 만나지 못했다고 답변했다.

 

응답자 약 50%가 정부에 대한 불만이 있다고 답변했으며, 46%가 홍콩의 미래의 정치적 안정성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다고 답변했다.

 

특히 해외 이민을 장기 목표로 설정한 청소년이 약 8%에 달해, 협회가 우려스러운 추세라고 밝혔다. 10가지 선택사항 중 한 개 이상의 장기 목표를 선택하라는 질문에, 응답자 59명이 해외 이민을 선택했다. 해외 이민을 장기 목표로 선택한 응답자들은 상대적으로 정부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으며 현지 정치적 상황 및 사회적 조화 달성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도 선호 대학 입학(26%), 꿈의 직업 취업(25%), 사회 기여(13%) 등이 청소년들의 주요 장기 목표로 꼽혔다.

 

보고서는 “해외 이민은 가족의 경제적 상황과 자녀들의 학업 및 진로 계획에 따라 결정된다. 만약 홍콩이 청소년 인재를 잃게 된다면 향후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정부는 청소년들의 정신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저소득층, 젊은 층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지역 사회에 대한 젊은 층들의 고민들을 고려해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난해 11월에 비영리단체 홍콩 위케어(HK.WeCARE)가 실시한 홍콩 행복도 설문 조사에서도 10점 만점에서 평균 6.16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6.40점), 2017년(6.54점)과 비교했을 때 행복도가 크게 하락했다. 특히 12~18세 청소년들의 평균 행복 지수가 5.87점으로 전체 연령층 중 가장 낮았으며 보고서는 2019년 홍콩 시위에 이어 지난해부터 시작된 코비드19 확산 및 잦은 휴교가 청소년들의 정서적 불만을 가중시켰다고 설명했다. 반면 55세 이상의 행복 지수가 10점 만점에서 6.61점으로 전체 연령층 중 가장 높았다.

 

여성의 평균 행복 지수는 6.1점으로 작년 6.22점보다 낮아졌다. 반면 올해 남성의 평균 행복 지수는 6.24점으로, 작년 6.08점보다 오히려 높아졌다. 틱 치윈(Tik Chi-yuen) 박사는 “여성은 이미 일과 살림의 병행으로 업무량이 많은 상황에서 코비드19로 인한 휴교로 자녀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자 더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6.png (File Size:494.2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36 홍콩 2019년도 날씨 전반적으로 ‘강수량이 많고 습할 것’으로 예상 위클리홍콩 19.04.23.
1235 홍콩 강주아오 대교 홍콩세과, 신형 e-채널 100대 이상 설치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34 홍콩 美국무부, 중국 여행주의 경보 ‘2단계’ 발표 …홍콩 제외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33 홍콩 ‘유엔 제재 위반 의심 혐의 건수’ 5년 새 13배 급증.. 화웨이 CFO 유엔 제재 위반 혐의로 체포로 유엔 제재 주목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32 홍콩 춘절 단속 기간 HK$ 1억 3천만 상당 밀수품 적발.. 멸종 위기종, 마약, 담배, 술 종류도 다양해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31 홍콩 지역 의원 겸직하는 입법 의원, 내년부터 급여 약 10% 인상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30 중국 중국경제 내년 '매서운 한파' 잇단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29 중국 중국 첫 지하철역 5G 통신 개통.. 중국 첫 2.6GHz 실내 5G 네트워크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28 중국 중국 2019년 목표 성장률 6%~6.5%, 베이징대 싱크탱크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27 중국 "中, 비자·마스터카드 중국시장 진입 막아"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26 중국 중국, 트럼프 보복관세에도 작년 대미 무역흑자 최대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25 중국 "중국 경기둔화·유럽 불안에 올해도 달러가 으뜸 자산“ file 위클리홍콩 19.04.27.
1224 중국 '14억 대국'에 어른거리는 인구감소 쇼크 그림자 file 위클리홍콩 19.04.27.
1223 중국 中 '여성 30대 싱글에게 휴가 8일을 더 준다... 결혼할 상대를 찾는 시간으로 배려 file 위클리홍콩 19.04.27.
1222 중국 중국, 경기 둔화에도 춘제 해외여행 급증…한국은 인기 4위 file 위클리홍콩 19.04.27.
1221 중국 인구절벽 공포 빠진 중국 - 무역전쟁보다 무서운 中인구절벽 ..연금 이미 고갈 위기, 2050년 1인 1부양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4.27.
1220 홍콩 새로운 교통 인프라 시설 구축으로 9개 지역, 가격상승 예상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219 홍콩 높은 물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금융 산업 취업 원해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218 홍콩 특히 IT산업, 스타트업 등 산업의 삶과 일의 균형 없어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217 홍콩 청차우섬 빵 페스티벌 개최 예정, 오늘 5월 9일~13일까지 file 위클리홍콩 19.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