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대응, 국민통합에 높은 점수... 국경 이주자 문제, 총기 현안엔 불만족

 
joe.jpg
▲ 지난 3월 26일 조 바이든 대통령의 공식 회견을 중계하는 NBC 방송 갈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국민의 과반이 29일로 취임 100일을 맞은 바이든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포스트>와 < ABC 뉴스 >가 공동으로 실시해 25일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민의 52%가 바이든의 국정 수행을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42%는 ‘지지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같은 날 < NBC 뉴스 >가 발표한 조사에서는 ‘지지한다’가 53%, ‘지지하지 않는다’는 39%였다. 역시 같은 날 나온 < CBS 뉴스 >조사에서는 ‘지지한다’가 58%, ‘지지하지 않는다’는 42%를 기록했다.

일단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비하면 훨씬 좋은 평가다. <워싱턴포스트> 조사를 기준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은 100일 시점에 ‘지지한다’는 응답이 42%에 불과했다.

하지만 그 이전 대통령들과 비교하면 모자란 수치다. 오바마 전 대통령은 69%였고,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은 63%, 빌 클린턴 전 대통령도 59%를 기록했었다. 조지 H. W. 부시 전 대통령은 71%, 로널드 레이건 전 대통령은 73%까지 치고 올랐다.

현안에 관해서 세부적으로 들어가 보면, 바이든 대통령이 ‘코로나 사태 대응’과 ‘경제’, 그리고 ‘국민 통합’에 좋은 평가를 받았다. 우선, 코로나 대응에 관해 <워싱턴포스트> 조사에서는 64%, < NBC 뉴스 > 조사에서는 69%가 ‘지지한다’고 답했다. 경제는 <워싱턴포스트 >조사 52%, < NBC 뉴스 > 조사에서도 52%로 과반 지지율을 보였다. 국민 통합의 경우 < NBC 뉴스 > 조사 응답자의 52%가 ‘지지한다’고 답했다.

남부 국경 이주자 문제 37%, 총기 현안 34%

반면 ‘남부 국경 이주자’ 문제, ‘세금과 정부 지출’, ‘총기 현안’ 등은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이 많았다. ‘남부 국경 문제’를 잘못 처리하고 있다는 평가가 가장 두드러졌다. 특히 부모를 동반하지 않은 미성년자들이 열악한 환경에 수용돼 있는 게 시급한 현안으로 지적되고 있다. 해당 사안에 관한 지지율이 < 워싱턴포스트 >조사에서는 37%, < NBC뉴스 >조사의 경우 33%로 더 낮게 나왔다. 이 문제는 지난달 말 진행한 취임 후 첫 공식 기자회견에서도 최대 쟁점이었다.

그 밖에 ‘총기 현안’에 대해 지지율이 34%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 NBC 뉴스 > 조사에 나타났다. 총기 규제 강화와 총기 소유 자유를 옹호하는 여론 모두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조사에서 ‘세금 문제와 정부 지출’에 관한 지지율도 44%로 절반에 못 미쳤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유세에서 대기업과 고소득자들이 ‘공정한 몫(fair share)’을 부담하도록 하겠다고 공약했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크게 내린 법인세율을 다시 올리고, 연간 소득 40만 달러 이상 고소득자에게 세금을 더 걷는 내용이다.

하지만 공화당의 반대가 완강한 상황이라 의회에서 관련 입법에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증세를 하더라도 폭을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민주당 내 중도파에서도 나오고 있다. 이 문제는 바이든 대통령이 최근 제안한 2조 달러 규모 사회 기간시설(infrastructureㆍ인프라) 투자 계획의 재원 마련과 연계된 사안이라 특히 관심이 높다.

대외 관계에 대한 평가와 관련하여, 바이든 행정부가 대중국 관계를 처리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부정적 여론이 많았다. < NBC > 조사에서 대중국 외교 정책을 지지한다는 응답이 35%에 머물렀다.

야당인 공화당의 평가는 상당히 부정적이었다. 공화당 중진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은 25일 <폭스 뉴스 선데이>에 “(나라를) 매우 불안정하게 만드는 대통령이었다"라고 바이든 대통령의 100일을 평가했다. 그는 특히 바이든의 대외 정책은 “재앙”이었고, 경제에는 “젖은 담요를 던져버렸다"며 뭔가를 ‘망치는 사람’으로 묘사했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857 미국 플로리다 변종 코로나 ‘폭증’…봄방학 이후 6배 늘어 코리아위클리.. 21.04.26.
2856 미국 플로리다 백신 면역 효과 봤다...노인 병원 입원율 급감 코리아위클리.. 21.04.26.
2855 캐나다 2021 재미한인장학기금 캐나다 한인장학생 선발 밴쿠버중앙일.. 21.04.27.
2854 캐나다 BC주정부 여행 제한 조치 한글 안내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7.
2853 캐나다 캐나다서 한국행 비행기 탑승 거부...외항사 직원 때문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7.
2852 캐나다 BC 주말 확진자 일일 평균 800명대로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8.
2851 캐나다 BC 유아 코로나19로 사망 확인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8.
2850 캐나다 이번엔 통행객 많은 코퀴틀람 센터몰 입구서 총격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8.
2849 캐나다 BC행정명령 위반 2주간 148건, 하루 10건 이상 기록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9.
2848 캐나다 BC 30세 이상 주민, 약국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허용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9.
2847 캐나다 혁신 저탄소 BC기업에 5억 달러 투자 file 밴쿠버중앙일.. 21.04.29.
2846 캐나다 2월 노동자 주간 수입, 전년 대비 9% 증가 file 밴쿠버중앙일.. 21.04.30.
2845 캐나다 ICBC 자동차 보험 5월부터 20% 인하? file 밴쿠버중앙일.. 21.04.30.
2844 캐나다 “Here’s Your Korea”, 당신만의 한국을 즐겨보세요 file 밴쿠버중앙일.. 21.04.30.
2843 캐나다 논란거리지만 도덕적 인정 되는 행위는? file 밴쿠버중앙일.. 21.05.01.
2842 캐나다 민주평통 토론토협의회, 상반기 정기회의 개최 file 밴쿠버중앙일.. 21.05.01.
2841 캐나다 노스밴 Lion’s Gate 병원에서 코로나 확진 file 밴쿠버중앙일.. 21.05.01.
2840 미국 미국 인구 증가율 1930년대 이래 최저, 10년간 7.4% 늘어 코리아위클리.. 21.05.03.
» 미국 취임 100일 맞은 바이든, 미국민 과반수 국정 수행 지지 코리아위클리.. 21.05.03.
2838 미국 플로리다주 의회 '반 폭력시위' 법안 통과 코리아위클리.. 21.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