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비드19 팬데믹 영향

아시아태평양 시장, 전자 결제 보급률 가장 빨라

 

5.png

 

마스터카드(Mastercard) 설문 조사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 소비자 10명 중 9명 이상이 QR코드, 가상화폐, 전자지갑, 생체 인식 등과 같은 새로운 결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일(화) 발표한 최신 ‘마스터카드 신규 결제 지수(Mastercard New Payment Index)’ 설문조사에 따르면, 코비드19 팬데믹 덕분에 전 세계 전자 결제 수단이 더욱 다양해졌으며 특히 아시아태평양 시장에 가장 빠르게 보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 중 84%가 1년 전과 비교했을 때 더 다양한 전자 결제 방법을 이용하게 되었다고 답변했으며, 93%가 향후 최소 한 가지 이상의 새로운 전자 결제 방법을 사용해볼 의향이 있다고 답변했다.

 

응답자 64%가 팬데믹이 아니었다면 새로운 결제 방식을 사용해 볼 생각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답변해 코비드19 팬데믹이 전자 결제 사용의 큰 계기가 되었다는 것을 시사했다. 전자 결제 수단이 보급화되면서 응답자 69%가 향후 현금 사용을 줄일 것이라고 답변했다.

 

소비자들의 전자 결제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업들이 더 다양한 결제 수단을 제공하기를 바라는 소비자들의 기대감도 높아졌다. 응답자 중 80%가 전통 결제 방식과 전자 결제 수단을 모두 제공하는 상점을 선호했으며, 69%가 최신 결제 수단을 제공하는 상점에서 쇼핑하는 것을 더 선호했다. 반면 전자 결제 방식을 제공하지 않는 기업을 피할 것이라고 답변한 응답자가 60%에 달했다.

 

아시아태평양에서 QR코드 결제 방식이 가장 인기가 높았다. 코비드19 팬데믹 확산 속에서 QR코드 사용자 중 63%가 지난 한 해 동안 QR코드 결제 방식을 더 자주 사용했다고 답변했다. 특히 인도와 태국에서 QR코드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64%로 나타나 전 세계 평균 사용률 56%보다 높았다. 소비자들은 QR코드 결제 방식이 위생적(76%)이면서 편리(71%)하기 때문에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상화폐의 경우 전 세계 응답자 중 40%가 향후 사용해볼 의향이 있다고 답변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들이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 더 높았으며, 밀레니얼 세대 응답자 중 67%가 지난해보다 가상화폐를 더 많이 사용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또한 77%의 밀레니얼 세대들이 가상화폐에 대하여 공부를 하고 싶다고 했으며 75%가 가상화폐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면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했다.

 

생체 인식 기술을 이용한 결제 방식도 과거보다 더 신뢰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53%가 생체 인식 결제 방식이 안전하다고 생각했으며, 10명 중 6명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보다 생체 인식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약 61%가 걸음걸이, 지문 등을 이용한 생체 인식 결제의 잠재력에 대하여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브릭린 드와이어(Bricklin Dwyer) 마스터카드 수석 경제학자는 “소비자들이 자택에서 꼼짝하지 못하는 동안 전자상거래 덕분에 소비자들의 전자 지불 결제는 국경의 제약없이 전 세계 곳곳에서 결제되었다."라면서 "그동안 디지털화를 해온 국가와 기업들은 큰 수혜를 받았으며, 소규모 기업들도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했을 때 수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말했다.

 

이번 마스트카드 최신 보고서는 지난 2~3월 기간 전 세계 18개 시장의 소비자 총 1만5천명 이상을 대상으로 전자 결제 동향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여기에는 호주, 인도, 미국 등 국가가 포함되었으나 홍콩과 중국은 제외되었다.

 

홍콩의 공식 디지털 결제 플랫폼 중 하나인 FPS도 최근 더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FPS는 홍콩 시중 은행 약 20개 은행 간의 실시간 이체가 가능한 전자 결제 시스템으로, 2020년 10월 기준 일일 결제 건수가 45만2천 건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2018년 출시 이후 8배나 증가했다.

 

비자카드의 보고서에서도 홍콩 소비자 3명 중 1명이 코비드19 확산 이후 온라인 쇼핑이 더 늘어났다고 답변했으며, 64%가 모바일 앱을 이용한 전자 결제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코비드19 여파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두려움에 온라인 쇼핑과 전자 결제가 늘어나면서 ‘현금 없는 사회’를 가속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 위클리 홍콩(http://www.weeklyhk.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1. 5.png (File Size:498.8KB/Download:2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36 홍콩 2019년도 날씨 전반적으로 ‘강수량이 많고 습할 것’으로 예상 위클리홍콩 19.04.23.
1235 홍콩 강주아오 대교 홍콩세과, 신형 e-채널 100대 이상 설치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34 홍콩 美국무부, 중국 여행주의 경보 ‘2단계’ 발표 …홍콩 제외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33 홍콩 ‘유엔 제재 위반 의심 혐의 건수’ 5년 새 13배 급증.. 화웨이 CFO 유엔 제재 위반 혐의로 체포로 유엔 제재 주목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32 홍콩 춘절 단속 기간 HK$ 1억 3천만 상당 밀수품 적발.. 멸종 위기종, 마약, 담배, 술 종류도 다양해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31 홍콩 지역 의원 겸직하는 입법 의원, 내년부터 급여 약 10% 인상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30 중국 중국경제 내년 '매서운 한파' 잇단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29 중국 중국 첫 지하철역 5G 통신 개통.. 중국 첫 2.6GHz 실내 5G 네트워크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28 중국 중국 2019년 목표 성장률 6%~6.5%, 베이징대 싱크탱크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27 중국 "中, 비자·마스터카드 중국시장 진입 막아"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26 중국 중국, 트럼프 보복관세에도 작년 대미 무역흑자 최대 file 위클리홍콩 19.04.26.
1225 중국 "중국 경기둔화·유럽 불안에 올해도 달러가 으뜸 자산“ file 위클리홍콩 19.04.27.
1224 중국 '14억 대국'에 어른거리는 인구감소 쇼크 그림자 file 위클리홍콩 19.04.27.
1223 중국 中 '여성 30대 싱글에게 휴가 8일을 더 준다... 결혼할 상대를 찾는 시간으로 배려 file 위클리홍콩 19.04.27.
1222 중국 중국, 경기 둔화에도 춘제 해외여행 급증…한국은 인기 4위 file 위클리홍콩 19.04.27.
1221 중국 인구절벽 공포 빠진 중국 - 무역전쟁보다 무서운 中인구절벽 ..연금 이미 고갈 위기, 2050년 1인 1부양 전망 file 위클리홍콩 19.04.27.
1220 홍콩 새로운 교통 인프라 시설 구축으로 9개 지역, 가격상승 예상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219 홍콩 높은 물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금융 산업 취업 원해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218 홍콩 특히 IT산업, 스타트업 등 산업의 삶과 일의 균형 없어 file 위클리홍콩 19.04.30.
1217 홍콩 청차우섬 빵 페스티벌 개최 예정, 오늘 5월 9일~13일까지 file 위클리홍콩 19.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