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변형•박테리아 활용 모기 등장… 아직 실험실에 갇혀
 
zika.jpg
▲지카 바이러스를 옮기는 숲모기 ⓒ CDC
 
(올랜도=코리아위클리) 최정희-김명곤 기자 = "모기는 모기로 다스린다."

선천적 기형인 소두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지카(zika)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플로리다 일부 지방정부들은 모기 방역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16일 현재 플로리다 11개 카운티에서 29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이들 모두 중남미 등 지카 바이러스 노출 지역을 여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카 바이러스는 '이집트숲모기'(Aedes Aegypti)가 옮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모기들은 종류를 막론하고 사람에게 귀찮은 존재일 뿐 아니라 때로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일례로 해마다 뉴스에 오르는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는 물론 말라리아, 뎅기열, 치쿤구니야 등 전염병도 특정 모기가 흡혈 과정을 통해 매개 역할을 한다.

이같은 특정 모기가 지역에 나타나면 지방정부는 스프레이로 방역을 시도하지만 스프레이는 모기가 약에 내성을 갖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

이에 과학자들은 '모기는 모기로 다스린다'는 이열치열식 모기퇴치 방법을 고안해 내어 현장 실험을 하는 중이다. 이른바 '유전자 변형' 방식으로 키워내는 유전자 조작 모기는 영국 옥스포드대 연구진들이 출범시킨 생명공학 기업인 옥시텍(Oxitec)이 개발해 낸 산물이다.

옥시테크는 브라질에서 뎅기열 감염을 일으키는 모기를 대상으로 실험을 해 모기 집단의 96%를 소멸시켰다고 밝힌 바 있다.

유전자 조작 모기는 '암컷 치사 유전자'로 인해 불임이 된 수컷 모기를 풀어놓으면 이들과 짝짓기 한 암컷 모기는 새끼를 퍼트리지 못한다는 원리를 지닌다. 모기가 직접 병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병원체를 옮기는 것이기 때문에 모기의 숫자가 충분히 감소하면 모기가 옮기는 질병도 사라진다는 것이다. 참고로 수컷 모기는 사람을 물지 않는다. 또 여러 생물체에 영향을 미치는 살충제보다 친환경적일 수 있다.

“환경 재앙 일으칸다” 환경운동가들 반대

최근 지카 바이러스의 창궐로 인해 여러 지역 정부에서 이 방식을 적용하는 데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지만 유전자 조작이 장기적으로 환경 재앙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는 않다. 또 유전자 조작에 대한 껄끄러운 인식을 지닌 일반인들을 설득시키기가 결코 쉽지 않다.

옥시텍사는 불임화 유전자가 후속 세대로 전달될 수 없는 만큼 환경에 영구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환경운동가들은 유전자 조작이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를 제기하면서 한 지역에서 한 모기 종이 사라질 경우 더 위험한 경쟁종이 유입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같은 논란 속에 지난해 플로리다 키 제도(마이애미 남부에서 키웨스트까지 이어진 섬들) 정부는 지역에서 뎅기열과 치쿤구니야 환자가 속출하자, 수백만 마리의 유전자 조작 모기를 풀어 내는 방식을 과감히 사용하려 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미국에서는 아직까지 유전자 조작 곤충을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에 풀어낸 일이 없어 미국 식약청(FDA)의 실험 허가가 쉽지 않은데다 주민들의 심한 반발에 부딪친 탓이다.

키 제도 주민들 역시 유전자 조작 모기를 방출한다는 소식에 경악하며 유전자 조작 모기 실험에 반대하는 청원 사이트 (Change.org)에는 십만명 훨씬 넘는 사람들이 서명을 올렸다. 한 주민은 “잘못하다가 유전자 조작 모기에 물릴 수도 있다는 생각에 끔찍하다”는 주장까지 펼쳤다.

과학자들은 불임 모기 외에도 '월바키아'라고 불리는 박테리아를 활용하는 방식도 실험 중이다. 박테리아에 감염된 모기는 바이러스를 쉽게 옮기지 못한다. 또 박테리아가 대물림되기 때문에 바이러스를 지속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감마선을 조사해 바이러스 확산을 저지하려는 방식은 당장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편이다. 지카 바이러스 피해가 큰 브라질 정부는 수입 허가가 나는 대로 방사선 조사 장치를 바이러스 창궐 지역에 보낼 예정이다.

방사선의 일종인 감마선을 수컷 모기에 조사해 생식 능력을 떨어뜨린 후 자연에 방사하는 방식이다. 암컷 모기는 결국 생존할 수 없는 알을 낳게 된다.

한편 모기 방역 일선에서 일하는 이들은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모기를 퇴치하는 데 한계에 도달했다고 지적한다. 기후 변화와 함께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지구 적도에서 떨어진 지역에까지 점차 열대성 질환이 번지고 있으나 살충제로 이를 차단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이다.

치쿤구니야는 2014년에 카리비안 지역에 이미 많이 번져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카리비안 지역과 가까운 키 제도는 당시 헬리콥터까지 동원해 살충제를 뿌렸지만 모기들이 살충제에 내성이 생겨 효력이 양호하지 않았다.

과학자들이 개발한 불임 모기나 박테리아 감염 모기들은 환경 문제와 주민들의 선입관으로 아직 실험 차원에 묶여 있다. 그러나 지카 바이러스 공포 등 근래 모기로 인한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어 조만간 실험 구간이 주거지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일부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937 미국 플로리다 지자체들, 뒷마당 닭 사육 허용 늘어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
8936 미국 플로리다 스쿨버스 '스톱' 사인 무시하면 벌금 225달러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
8935 미국 플로리다 기호용 마리화나 합법화 캠페인 이정표 세웠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
8934 미국 여름방학 시작… 플로리다 어린이 수영장 사고 요주의!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
8933 미국 플로리다 세인트 조지 아일랜드, 미국 '톱10 해변' 1위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
8932 미국 대학 입학 소수계 우대 정책, 찬성보다 반대가 많아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
8931 미국 미국 연간 물가 상승률 4%...2년여 동안 가장 낮은 수치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9.
8930 캐나다 주정부 인종 차별없이 모두 공평한 서비스 제공 위한 설문조사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7.
8929 캐나다 캐나다 인구 4천 만명 돌파... 밴쿠버 시간 16일 정오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7.
8928 미국 플로리다 세인트 조지 아일랜드, 미국 '톱10 해변' 1위 file 옥자 23.06.16.
8927 미국 플로리다 기호용 마리화나 합법화 캠페인 이정표 세웠다 file 옥자 23.06.16.
8926 미국 여름방학 시작… 플로리다 어린이 수영장 사고 요주의! file 옥자 23.06.16.
8925 미국 허리케인 시즌이 돌아왔다... 메이저급 1~4개 전망 file 코리아위클리.. 23.06.16.
8924 미국 미국 각 주들, 청소년 도박 중독 예방법 제정 서둘러 코리아위클리.. 23.06.16.
8923 캐나다 평통 밴쿠버협의회 2분기 정기회의 '폭풍 전의 고요'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6.
8922 캐나다 한국서 전입 외국인 유령취급 14일부터 해소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6.
8921 캐나다 타민족 대비 한인에게 유달리 많은 혈액형은?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6.
8920 캐나다 캔남사당 한카수교 60주년 기념 한국전통예술축제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5.
8919 캐나다 산불에 강풍까지 죽어라 죽어라 하는 캐나다 날씨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4.
8918 캐나다 올 여름 자동차 대신 자전거로 밴쿠버섬을 즐겨볼까 file 밴쿠버중앙일.. 2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