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zK8IcwRQ_9b563a56c543f50d

 

 

작년 706명에 비해 18.4%에 불과

주요 유입국 중 12번째 자리 지켜

6월은 필리핀문화유산의 달로 지정

 

 

작년 코로나19로 인해 캐나다 시민권 시험을 위한 접수와 테스트가 제대로 시행되지 못한 휴유증으로 올 1분기 시민권을 얻은 수가 급감했는데, 한인들도 마찬가지였다.

 

연방이민부의 최근 시민권 관련 통계에서 1분기 시민권을 취득한 한인은 고작 130명에 불과했다. 작년 1분기 취득자 706명의 18.4%에 불과했다.

 

월별로 보면 1월 35명, 2월에 58명, 그리고 3월 37명이었다. 

 

1분기 주요 유입국 국가 순위를 보면 인도가 1256명, 필리핀이 1083명으로 양강 구도를 이어갔다. 이어 중국 555명, 프랑스 508명, 이란 469명, 미국 296명, 파키스탄 263명, 영국과 영국령 219명, 그리고 이라크가 144명이었다. 

 

멕시코는 140명으로 한국보다 앞서 11위를 차지했다.

 

시민권 취득 관련해 주목해야 할 점은 바로 필리핀 영주권자들이 대거 시민권을 신청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유권자로 신분이 바뀌면서 연방 정부도 필리핀 이민사회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런 결과로 6월이 필리핀 이민사회를 위해 필리핀문화유산의 달로 공포되기도 했다. 5월이 '아시아문화의 달'이라면 6월은 필리핀 이민사회 만을 위한 달이다. 많은 새 시민권자가 나오면서 필리핀이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다.

 

전국적으로 1분기에 새 시민권 취득자는 9084명이었다. 이는 작년 1분기 6만 1722명에 비해 5만 2638명이 감소한 수치다. 즉 작년 같은 기간 대비 14.7%에 불과했다.

 

작년 4월과 5월 이민부의 시민권 신청 접수와 시험이 거의 마비상태였던 여파가 작년 11월부터 나타나고 있다. 사실 작년 6월부터 월간 시민권자 수는 1724명에서 7월 7033명으로 점차 늘어나다, 8월에 1만 357명, 9월에 1만 3875명 등으로 증가했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에 시민권 시험 등을 마치고 최종 시민권을 얻은 경우이다. 하지만 10월 9309명에서 11월 3556명으로 그리고 12월 2637명으로 급감하기 시작했다. 즉 3월 이후 접수도 시험도 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한편 올 1분기에 영주권 비자를 받은 한인 수는 1428명으로 작년 1분기의 1004명에 비해 424명이 늘어났다. 캐나다 전체로는 1분기에 총 7만 5633명이 영주권 비자를 받아 작년 동기대비 5.9%가 늘어났다. 한인은 42.2%가 증가해 전국 증가율보다 컸다. 북한국적자로 영주권 비자를 받은 수도 5명으로 나타났다.

 

주요 유입국 중에 한국은 11위를 차지했다. 10위권에는 인도, 중국, 프랑스, 나이지리아, 필리핀, 이란, 미국, 브라질, 파키스탄, 그리고 터키가 들어갔다.

 

영주권 비자는 아직 최종 랜딩을 하지 않아 영주권 신분을 얻지 못한 경우다.

 

반면 1분기 영주권을 신청한 수에서 한인은 1473명이었다. 작년 1분기의 1072명에 비해 401명이 늘어났다. 북한 국적자도 3명이 신청했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837 캐나다 '주변 시세 맞춰야' 이유로 렌트비 못 올린다 밴쿠버중앙일.. 17.12.13.
6836 캐나다 메트로밴쿠버 1시간에 차 한대씩 털려 밴쿠버중앙일.. 17.12.13.
6835 캐나다 사이트C댐 계속 짓는다 밴쿠버중앙일.. 17.12.13.
6834 캐나다 10억 달러 대마초 세수, 정부들 얼마씩 나누나 밴쿠버중앙일.. 17.12.13.
6833 캐나다 BC 고등교육 수준 전국 밑돌아 밴쿠버중앙일.. 17.12.14.
6832 캐나다 외국인 근로자 권익 위해 예산 투입 밴쿠버중앙일.. 17.12.14.
6831 캐나다 밴쿠버 휴대폰 요금 가장 높게 증가 밴쿠버중앙일.. 17.12.14.
6830 캐나다 보궐선거, 연방자유당 압승 밴쿠버중앙일.. 17.12.14.
6829 캐나다 한국 기업, 북미 진출에 꼭 필요한 건? 밴쿠버중앙일.. 17.12.14.
6828 캐나다 밴쿠버 미취학 자녀 보육비 높은 편 밴쿠버중앙일.. 17.12.14.
6827 미국 독감 ‘위험’ 경보… 플로리다 전역 환자 크게 증가 코리아위클리.. 17.12.14.
6826 미국 올랜도 경찰국, 순찰 경관 전원에 ‘바디 카메라’ 코리아위클리.. 17.12.14.
6825 미국 푸에르토리칸, 중앙플로리다 인구 지형 바꾼다 코리아위클리.. 17.12.14.
6824 캐나다 점점 식어가는 선행의 손길 밴쿠버중앙일.. 17.12.15.
6823 캐나다 밴쿠버 집값 내년엔 얼마나 오를까 밴쿠버중앙일.. 17.12.15.
6822 캐나다 내년 고깃값 오르는 이유가... 밴쿠버중앙일.. 17.12.15.
6821 캐나다 집집마다 한해 생활비 6만2000달러 밴쿠버중앙일.. 17.12.15.
6820 미국 美국무부와 백악관 ‘북한 입장’ 다른가? file 뉴스로_USA 17.12.17.
6819 캐나다 캐나다도 부의 집중화 불변 밴쿠버중앙일.. 17.12.19.
6818 캐나다 BC 경제자유도 북미 지역 상위 수준 밴쿠버중앙일.. 17.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