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시카고 가장 심해... 유색인종 지역 빈곤율, 백인 지역보다 3배 높아
 
down.jpg
▲ 인종 문제의 근원은 인종 자체이기보다 주거 환경일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사진은 플로리다주 올랜도 시정부가 흑인 밀집지역인 다운타운 서쪽 지역의 인종 다양화 및 소득 개선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센트럴플로리다대학 분교와 신규 주거지 '크리에이티브 빌리지'를 조성하고 대로 콜로니얼 드라이브에 안내판을 세워둔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미국  대도시 지역  거주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인종별  분리 현상이 과거보다  심화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 사회문제연구소가 최근 내놓은 ‘구조적 인종주의의 근원(The Roots of Structural Racism)’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같은 거주지 분리 현상이 미국의 인종 간 불평등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30년 전과 비교해  대도시에서  같은  인종끼리 모여 사는 현상이 더  뚜렷해졌다. 지난 1990년에서 2019년 사이, 인구가  20만 명  이상인  209개 대도시권을 조사한 결과,  81%에 해당하는 169곳에서  인종별  분리 현상이 더  심화했다.  

거주지별 인종 분리 현상이 가장 심한  곳은  뉴욕시와   시카고  지역이었다.  미 중서부의  이른바  ‘러스트벨트’ 지역과 동부 대서양  지역  도시들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대표적인  러스트벨트  지역인  미시간주의 디트로이트와 오하이오주의 클리블랜드, 위스콘신주의 밀워키, 펜실베이니아주의 필라델피아 등이  거주지별 인종 분리가 가장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종 분리 없이 가장 잘 섞여 사는 지역은 서부 산악지대와 대초원지대가 주거지의 인종 간 통합이 잘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와 조지아주 서배너에서 인종 분리 현상이 가장 큰 개선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인종에 따른 주거지역 차이를 보면,  백인 주거지에 비해 유색인종 주거지의 소득과  주택 가치, 교육 수준 등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백인 지역의 가계 소득과  주택  가격은 유색인종  밀집  지역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반면, 유색 인종들이 모여 사는 지역의 빈곤율은 21%로 백인 지역보다 3배나 높았다. 

집을 소유한 정도도 달랐다.  백인  거주 지역은 자택 소유율이 77%에  달했고, 여러 인종이 섞여 살아가는 지역은 59%였다.  유색인종 집중지역의 자택  소유율은 46%에 머물렀다.  

인종 통합 지역, 단일 인종 지역보다 수입 높아

어떤 인종이 모여 사느냐에 따라 생활 수준에 차이를 보였다.

인종이 섞여 있는 지역에서 자란 흑인의 경우,  유색 인종 집중 지역에서 자란 경우보다 연간 수입이 1천 달러가 더 많았다.  백인 주거지역에서 자란 흑인의 경우, 연간 수입이 4천 달러 더 많았다.  중남미계도 같은  인종 통합 지역에서 자랐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연간 소득이  840달러 이상 더 많았다. 백인 주거지에서 자랐을 경우 연 소득 5천 달러가 더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인종 간 분리가 심한 지역일수록 정치적 당파성도  짙었다. 보고서는  이같은 현상은  ‘선거구 획정’이나  ‘투표자 억압’에  지역 간 인종 분리가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투표자 억압'이란  특정 집단의 투표를 방해하거나 억제함으로써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려는 전략을 말한다.  

보고서는 결론에서 인종 문제의 근원은 인종 자체이기보다  주거 환경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미국에서 인종차별이 큰 사회적 문제가 되면서  보건 서비스나 사법 정의, 교육 등에서 인종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거주지역  분리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병의 증세만 치료하는 것일 뿐, 병의 원인을 해소하지 못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 |
  1. down.jpg (File Size:136.6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817 캐나다 부동산 시장 과열 공개 미팅, 주민 7백여 명 참석 밴쿠버중앙일.. 16.03.22.
8816 캐나다 포트 무디 주유소 펌프 경고 스티커 프로젝트, 찬반 갈등 속 진행 밴쿠버중앙일.. 16.03.22.
8815 캐나다 성 패트릭의 날, 밴쿠버 녹색 물결로 뒤덮어 밴쿠버중앙일.. 16.03.22.
8814 캐나다 교사연합과 주정부 갈등, 이번에는 아동가족부로 불똥 튀어 밴쿠버중앙일.. 16.03.22.
8813 캐나다 UBC 이사, 탈세 혐의 사임 밴쿠버중앙일.. 16.03.22.
8812 캐나다 20일(일), 밴쿠버와 써리에서 살인사건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3.23.
8811 캐나다 메이플 릿지, 노숙인 보호 시설 반대 대규모 시위 밴쿠버중앙일.. 16.03.23.
8810 캐나다 부동산 정책 '갑론을박'. 다가온 총선 때문? 밴쿠버중앙일.. 16.03.23.
8809 캐나다 소도시 벨카라, '모든 주요 절차 영어로만' 정책 추진 밴쿠버중앙일.. 16.03.23.
8808 캐나다 피트 메도우, 택시 운전사 강도 사건 발생 밴쿠버중앙일.. 16.03.24.
8807 캐나다 버나비 고층 건설 붐, 밴쿠버 뛰어넘는 빌딩 숲 될까? 밴쿠버중앙일.. 16.03.24.
8806 캐나다 밴쿠버, 캐나다에서 교통 체증 가장 심한 도시 밴쿠버중앙일.. 16.03.24.
8805 캐나다 웨이트리스 희롱 건설회사 간부, 자진사퇴 밴쿠버중앙일.. 16.03.24.
8804 미국 서양의 봄철 채소 아스파라거스 코리아위클리.. 16.03.24.
8803 미국 중앙플로리다 주택, 가격은 뛰고 매매량은 줄어 코리아위클리.. 16.03.24.
8802 미국 세금보고 마감 앞두고 전화 사기행각 극성 코리아위클리.. 16.03.24.
8801 미국 주 의회, 교육예산 대폭 올린 823억달러 예산 통과 코리아위클리.. 16.03.24.
8800 미국 테마공원 시월드, 범고래로 웃고 울었다 코리아위클리.. 16.03.24.
8799 캐나다 맥도날드’, ‘홈 디포’… 앨버타에서 3천 명 신규 채용중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
8798 캐나다 도서관에서 ‘아동 포르노’ 보다 체포된 42세 남성 file 앨버타위클리 16.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