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연구원들, 주 전체적으로 21.76% 과대평가 지적

 

 

sold.jpg
▲ 플로리다주 롱우드시 한 주택 앞에 나붙은 '매매 완료' 사인.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클리) 최정희 기자 = 지난 6월 플로리다 남부 지역의 집값이 기록을 경신하자, 일부 부동산 연구원들은 주택 구매자들에게 렌트(월세)를 고려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과열된 시장이 식기를 기다리라는 것이다.

이들은 주 전체에서 주택이 21.76% 과대평가되어 있다며, 구매자들은 가격이 완화될 때까지 상당 기간 고가 시장에 머무를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플로리다 애틀랜틱대(FAU) 경영대학 부동산 경제학자 켄 H. 존슨은 지난 17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주 전역에 걸쳐 주택값이 오르는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라면서 "(그러나) 나무는 하늘까지 자라지 않고 집값도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존슨 교수는 "주택 시장 과열이 최고조에 달했던 몇해전 상황까지는 이르지 않았지만, 주의해야 한다"라며 "요즘처럼 분명히 과대평가된 집에서 발걸음을 돌리는 것이 구매자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일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탬파 지역의 집값이 5월 28.53%에서 6월에는 32%까지 오른 가격에 팔리며 플로리다에서 가장 크게 부풀어 올랐다고 밝혔다. 남부플로리다 마이애미지역에서는 가격이 정상 평가기준보다 16.89% 높았고, 올랜도 지역은 그 비율이 21.19%였다.

플로리다인터내셔널대학(FIU) 부동산 스쿨의 엘리 베라차 교수는 "아파트, 콘도, 단독주택의 월세도 상승하고 있지만 주택 구매 시장의 속도에 맞춰 상승하고 있지는 않다"라고 <마이애미 선센티널>22일자에 전했다. 베라차는 현재 '집 구매 대 렌트'로 따지면 렌트를 택하는 대신 자금을 다른 곳에 투자하는 것이 더 좋은 전략이며, 전체적인 집값 안정에도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존슨과 베라차 등 두 교수는 월별 공동분석을 통해 전국 온라인 부동산 서비스인 질로우의 약 25년치 집값을 검토했다. 여기에는 단독주택, 타운하우스, 콘도미니엄 등이 포함됐다.

"지역 부동산 불티나게 팔린다"... 상승률 완화 조짐도

한편 남부플로리다의 경우 지난 6월 브라워드 카운티의 주택 중위가격(미디언)은 49만8203달러였고, 팜비치 카운티는 50만 달러를 기록해 근래들어 최고가를 연거푸 경신하고 있다.

브라워드, 팜비치, 세인루시 카운티 부동산 거래 단체 대표인 카렌 존슨은 "6월 시장 통계를 보면 낮은 시장 재고량이 주택 구입 희망자들을 물러가게 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라며 낮은 모기지 이자율과 매매가격 상승이 구매 열기를 부추기고 있다고 전했다.

존슨은 "지역 부동산들이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라면서 브라워드에서는 거래 완료 건수가 37.3%가 증가한 1803건을 기록했고, 팜비치에서는 43.2% 증가한 2117건을 기록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주택가격 상승률이 완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2일 온라인부동산검색업체인 리얼터닷컴(Realtor.com)은 보고서에서 6월 전국에서 시장에 나온 중위 가격이 38만5000달러에 달했고, 이는 지난해에 비해 12.7% 상승한 수치이지만 5월 연간 증가율(15.2%)보다는 낮았다고 밝혔다. 연간 증가율은 두 달 연속 하락했다.

리얼터닷컴은 "연간 증가율이 둔화한 것은 시장이 어느 정도 균형추세로 나아가고 있으며 지난해처럼 주택 구입기 후반까지 가격이 계속 오르지 않을 수 있다는 반가운 신호"라고 평했다. 이는 집을 내놓는 셀러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신호로, 한해 동안 지속되고 있는 재고 부족이 역전될 것이라는 기대를 높이고 있다.
  • |
  1. sold.jpg (File Size:33.1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057 캐나다 빌 스미스 후보, 선거 막판 독주 태세 CN드림 17.10.17.
7056 캐나다 새로운 도약을 위한 다양한 시도에 환호 밴쿠버중앙일.. 17.10.18.
7055 캐나다 밴쿠버교육위 협치 정책으로 나아갈 듯 밴쿠버중앙일.. 17.10.18.
7054 캐나다 "새로 선출된 교육위원, 교육만 생각해야" 밴쿠버 학부모 일침 밴쿠버중앙일.. 17.10.18.
7053 캐나다 "담배 때문에" 연간 연간 162억 달러 지출 밴쿠버중앙일.. 17.10.18.
7052 캐나다 중소기업세 공약대로 9%로 인하 밴쿠버중앙일.. 17.10.18.
7051 캐나다 하늘에서 보는 유콘 오로라! 에어 노스 오로라 360 밴쿠버중앙일.. 17.10.19.
7050 캐나다 밴쿠버 암표 없어지려나... 내년초 법안 마련 밴쿠버중앙일.. 17.10.19.
7049 캐나다 '우버' BC주서 당분간 보기 어렵다 밴쿠버중앙일.. 17.10.19.
7048 캐나다 "중소기업세 인하보다 더 큰 문제는..." 밴쿠버중앙일.. 17.10.19.
7047 캐나다 가을 폭풍우로 BC주 곳곳 전력 불통 밴쿠버중앙일.. 17.10.19.
7046 미국 디즈니월드 엡캇 센터 음식 축제 갈수록 인기 코리아위클리.. 17.10.19.
7045 미국 릭 스캇 주지사, 백인우월주의자 집회에 비상사태 선포 코리아위클리.. 17.10.19.
7044 캐나다 캐나다 유소년 일일 운동량 절대 부족 밴쿠버중앙일.. 17.10.20.
7043 캐나다 퍼니 실내체육관서 암모니아 누출 3명 사망 밴쿠버중앙일.. 17.10.20.
7042 캐나다 밴쿠버에 새로운 축제 열려... 스쿠컴 뮤직 페스티벌 밴쿠버중앙일.. 17.10.20.
7041 캐나다 써리 여성 성추행 사건 재발 밴쿠버중앙일.. 17.10.20.
7040 캐나다 연간 트랜스링크 이용자 4억명 밴쿠버중앙일.. 17.10.20.
7039 캐나다 밴쿠버 K-POP 커버댄스 나비의 날갯짓 밴쿠버중앙일.. 17.10.20.
7038 캐나다 캐나다의 별 지다 밴쿠버중앙일.. 17.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