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판매 촉진 행정명령... 현대 등 외국계 자동차도 동참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국 정부가 오는  2030년  미국에서  판매하는  신차의  절반을  전기자동차가  차지하도록  추진한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5일  관련  목표를  명시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아울러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  제한  기준도  대폭  강화하고  연료 효율도  높이도록  했다.   

백악관이 내놓은 구체적 사항을 보면, 전기로만 운행하는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엔진이  주 동력원이더라도  전기로  동력을  보조하는  ‘전동화자동차’, 충전식 복합 동력 자동차,  그리고  연료 전지 자동차까지  목표  범주에  포함한다.  결국  내연기관차  판매  절반,  전동화 자동차  판매  절반,  이렇게  미국 시장이  변화하도록  목표를  세운 것이다.    

미국 내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은  이런  정부의  계획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의사를  밝혔다. 포드와  제너럴 모터스,  그리고  피아트-크라이슬러의  모회사인  스텔란티스가  공동 성명을 냈다. 2030년까지  신차 판매에서  전동화 자동차  비중을  40%~50%에  맞추는  자체 목표를  추진하겠다는  내용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해  “바이든  행정부와  의회,  그리고  각 지역 정부와  협력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tesla.jpg
▲ 미국 테슬라가 생산하는 4도어 컴팩트 세단 전기차 테슬라3. ⓒ 위키피디아
 
외국계  자동차 회사들 역시  목표  실현에  동참할  뜻을  잇따라  밝히고  있다.  도요타  자동차  북미 법인 측은  전기차  판매 확대를  위해  “우리  몫을  하겠다”fk고  발표했다.  현대자동차  북미 법인도  이  목표를  지지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블룸버그  통신을  비롯한  주요  경제 매체들이  전했다.  볼보  자동차의 경우,  이미  2030년까지  내연기관  자동차들을  단종시키고,  완전  전기 자동차 회사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친환경.고효율  이동수단  산업을  미국이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확인한 셈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직후,  연방 정부  관용차량들을  미국산  전기  자동차로  교체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백악관은 이런  방향으로  나아가는 게  미래 산업의  대세일 뿐  아니라,  기후 변화  현안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존  케리  백악관  기후특사는  특히  환경 문제를  강조하면서 기후 변화를  “애써  무시하는 것보다,  받아들여서  진지하게  다루는  게  비용이  적다”라고  올해 초  백악관  브리핑에서  밝혔다. 

이번 행정명령에 내연기관  자동차의  연료 효율을  높이고  배출 가스  제한  기준을  강화하겠다는 내용을 포함한 것도 주목을 받고 있다. 

지금보다  배출가스가  덜  나오는  자동차를  만들고,  기름을  한 번  넣으면  주행할  수  있는  거리도  늘리도록  하는  것이다.  연료 효율의  경우  매년  5%씩  개선하는  게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  정책이었는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대폭  완화해서  1.5%까지  낮췄다.  바이든  행정부가  이걸  다시  높이겠다는  것이다. 

배출 가스  제한  기준도 달라진다.  미국에서  기준이  가장  엄격한  캘리포니아주  규정보다  높은  수준을  연방 차원에서  요구하기로  했다.  새  기준은  2026년형  차량부터  적용되는데,  이  부분은  전기 자동차  판매 확충  목표와는  달리  업계의  적극적인  지지가  불명확하다.  자동차  산업이  전반적으로  전기차  쪽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내연기관에  추가 투자할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 |
  1. tesla.jpg (File Size:21.4KB/Download:14)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097 캐나다 UCP 리더 경선 후보등록 마감, 본격적인 경쟁 돌입 CN드림 17.10.03.
7096 미국 美최악총기난사 58명 사망 515명 부상 file 뉴스로_USA 17.10.03.
7095 미국 최악총기참사 범행 배경 미스테리 file 뉴스로_USA 17.10.03.
7094 미국 허리케인 피해 가구에 지붕 방수 비닐막 제공 코리아위클리.. 17.10.05.
7093 미국 플로리다 대입 수능 점수, 전국 평균에 여전히 뒤져 코리아위클리.. 17.10.05.
7092 미국 올리브 가든의 '무제한 빵', 이대로 괜찮은가 코리아위클리.. 17.10.05.
7091 미국 정체성 찾아 나서는 혼혈 미국인들 file 코리아위클리.. 17.10.05.
7090 미국 미국 여권 신청 갱신하려면 12월까지가 적기 코리아위클리.. 17.10.05.
7089 미국 범인, 철저한 사전 준비 … 집중사격 위해 총기 개조까지 KoreaTimesTexas 17.10.06.
7088 미국 텍사스 레인저스, 신축구장 ‘첫 삽’ KoreaTimesTexas 17.10.06.
7087 미국 트럼프타워앞 ‘DACA폐지 반대시위 file 뉴스로_USA 17.10.07.
7086 미국 시카고 연쇄 총격사건 4명 사망 22명 중경상 file 뉴스로_USA 17.10.09.
7085 미국 트럼프, ‘오바마케어 핵심조항 폐지’ 서명할까 KoreaTimesTexas 17.10.10.
7084 미국 제너럴 밀스, 시리얼 '리콜' KoreaTimesTexas 17.10.10.
7083 미국 세금보고 연장자, 16일(월) 접수 마감 KoreaTimesTexas 17.10.10.
7082 미국 Texas Tech, 학생이 경찰 총격 살해 KoreaTimesTexas 17.10.10.
7081 미국 “우리는 한국 음식 사랑해요” file 뉴스앤포스트 17.10.11.
7080 캐나다 13-15일 밴쿠버 할로윈 퍼레이드-엑스포 개최 밴쿠버중앙일.. 17.10.12.
7079 캐나다 캐나다 직장인 40% 우울증 경험 밴쿠버중앙일.. 17.10.12.
7078 캐나다 웨스트젯 밴쿠버 섬 도시들 매일 운항 증편 밴쿠버중앙일.. 17.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