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 계약'은 기업에 부담을 주는 도구인가.jpg

 

"책임계약서의 내용은 영업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문을 닫아야 한다. 도심지 라운지 주인은 '책임계약'에 따라 소득을 창출하고 직원들에게 급여를 지급하기로 받아들였다."라고 말했다. 5차례의 통행금지 조치로 기업들이 도산에 근접한 탓이다. 
몽골상공회의소(MNCCI)의 조사에 따르면 2020년 통행금지로 영업을 중단한 기업은 2만7,000여 곳, 실업자 수는 6만 명을 넘어섰다. 
정부는 국내 사업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 금수 조치를 완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시 당국은 식당, 카페, 커피숍, 가맹점, 패스트푸드점, 카페테리아, 술집 등 기업 및 개인과 '책임 협약'을 체결하여 단계적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마지막으로, 울란바타르 시장은 도서관과 영화관이 "책임계약"에 따라 월요일에 문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아직 계약이 체결되지 않아 개봉 시기가 불투명하다는 게 영화관 측의 설명이다. 
어찌 되었든 '감금형' 서비스 기업은 대부분 문을 열었지만 '책임계약'의 처리가 미흡하다고 비판했다. 
기업 관계자는 "본 책임계약 제3.2.2조에 따르면 국가감사법 제10.9.7조는 식품 생산 및 서비스업소에서 감염관리체제를 준수하지 않으면 인체에 해를 입히거나 잠재적 여건을 조성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시민들은 감염자와의 긴밀한 접촉이나 자가검사를 통해 감염되었음을 알고 있다. 이 외에는 어디서 누구에게 감염됐는지 모른다. 다만 감염자가 발견되면 업무 중단은 박해뿐 아니라 민간을 괴롭히는 도구일 뿐이며 사소한 이유로 관료주의와 뇌물을 조성할 가능성도 있다. 
계약은 또 "재해방지법 제34조 제10항에 따라 본 계약을 위반한 공인기관이나 관계자의 결정으로 고객이 감염되었다고 판단되면 손해배상책임을 진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증명할 수 없는 복잡한 문제이다. 본 계약의 조항을 위반하면 회사의 주류 판매 면허가 취소된다. 일반적으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문을 닫아야 하는 계약이다.”라고 언급했다. 
울란바타르시장실 식품 생산 무역서비스국 T.Zoljargal 국장: "점검 결과 홀이 책임계약 없이 서비스된 것으로 드러나면 운영은 종료된다. 법적실체가 권리를 행사하는 경우, 법적실체의 의무도 이행하여야 한다. '책임 협약'은 서비스 기관에 책임을 지우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계약에 대한 압력은 없다. 또한, 계약서에 서명하면 4부를 작성하며 계약서 1부를 기업이 보관한다. 
일반적으로 '책임계약'은 서비스 업종에서 예방접종 후 14일 이상 지난 사람에 홀에서 50% 이하의 서비스 제공, 테이블 건너뛰기, 운영 및 서빙과 같은 간단한 감염 관리 규칙을 제공 있다. 정부는 할 일을 하고 있다. 기업은 의무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 정부와 민간, 시민이 삼면에서 노력하면 전염병을 극복할 수 있다. 정부가 할 일을 하는 동안 기업이나 개인이 의식을 잃고 요구 사항을 지키지 않으면 전염병의 배후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민간에서는 우리가 함께 감염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시내에 있는 한 식당 직원은 " 이전에 밤 10시까지 일하는 게 힘들었다. 저녁 8시에 들어와서 주문하는데 마지막 주문을 받는다. 그러나 근로시간을 00.00으로 늘림으로써 이러한 유형의 사업의 순이익은 40~50% 증가했다. 우리는 청구서를 받고 23시 30분 이후에 퇴근한다. 하지만 00시 직후부터 경찰이 영업허가증을 압수하라고 압력을 넣기 시작했다. 이성을 잃은 사람들이 오랫동안 나오지 않고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결과, 많은 사업체가 면허를 취소당했다. 그러므로 정부 당국자들이 종종 관계 개선에 관여하는 것은 비밀이 아니다. 그들에게 뇌물을 주고 면허를 갱신하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는다. 법에 따르면, 면허증은 절대 갱신되지 않는다. 아는 사람을 쓰지 않고는 다른 사람이 일할 수 없다. 모든 사람은 이것이 잘못된 시스템이라는 것을 안다. 그러나 현재까지 어떤 여당도 이를 제거할 수 없었다. 기업들은 자신들이 틀렸다는 것을 알지만 생계를 위해 뇌물을 줘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압박을 받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지난 8월 13일 몽골상공회의소와 60여 명의 기업 대표들이 부패를 줄이기 위한 제안서를 부패방지청에 제출했다. 이들은 기업들이 관료주의와 부패, 정부 기관과의 이해충돌로부터 자신을 보호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news.mn 2021.08.18.]
몽골한국신문 편집인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360 몽골 시장이 본인 명령문을 잊었는지 아니면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59 몽골 자동차 도로 펀드에 올해 82억 투그릭이 모여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58 몽골 국회 선거 관련 법 1차 심의 진행 국회 선거 관련 법 1차 심의 진행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57 몽골 S.Magnaisuren: 인프라 개발된 위치의 토지 시세 평가 증가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56 몽골 금융 분야의 소비자 권익 보호법 국회 상정에 찬성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55 몽골 울란바타르시의 난방 라인 인프라 새로 교체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54 몽골 광물자원 탐사 허가 발급 일시 중단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53 몽골 원유 개발로 2,102억 투그릭의 수익을 징수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52 몽골 국회 선거 관련 법 최종심의 진행 결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51 몽골 Kh.Nyambaatar: 도박 관련 범죄에 5년 형을 선고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50 몽골 B.Erdenekhuyag: 지분 분산을 통하여 국민 참여 유도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49 몽골 지급 서비스 허가 관련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48 몽골 석탄 350만t 증가, 금 4.4t 줄어들어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47 몽골 예방 차원의 감사 실시 중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46 몽골 국회 선거법 통과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45 몽골 사회보험료를 인상하지 않기로 결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44 몽골 통화 정책 관련 통보문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43 몽골 국경 통관 시 신고 세 작성 없이 통관 금액을 1500만 투그릭으로 조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42 몽골 석가탄신일을 공휴일로 지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
8341 몽골 내년에 이층 버스 외에도 1천 대의 택시를 추가 운행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9.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