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고소득 세금 1).jpg

정부가 ‘Intergenerational Report’(IGR)를 통해 앞으로의 세대가 고령화 인구를 부양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제기했지만 호주연구원(Australia Institute)은 반박 논문을 통해 정부가 잠재적 수입원으로 부와 자본이득을 간과함으로써 정부의 서비스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호주의 능력을 과소평가했다고 지적했다. 사진 : Pixabay / Squirrel_photo

 

‘Australia Institute’, 연방정부의 ‘Intergenerational Report’ 반박

 

호주 경제 부문에서 과세되지 않는 부(untaxed wealth)의 규모를 감안할 때, 정부가 고령화 인구에 대한 의료 예산을 압박할 이유가 없다는 주장에 제기됐다.

호주정책 싱크탱크인 호주연구원(Australia Institute)은 얼마 전 연방정부가 내놓은 ‘Intergenerational Report’(IGR)에 대한 반박 논문을 통해 이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연방정부가 새 회계연도 예산 계획을 발표한 직후인 지난 6월 나온 IGR은 “현 호주의 세금 제도에서는 향후 수십 년 동안 고령화 인구를 부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하지만 호주연구원 논문은 “정부가 잠재적 수입원으로 부와 자본이득을 간과함으로써 정부의 서비스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호주의 능력을 과소평가했다”고 반박했다.

호주의 가계자산은 주택가격과 주식가치 급등에 힘입어 지난 12개월 동안 1조7천억 달러가 증가, 현재 12조7천억 달러에 달했다. 대조적으로 호주의 연간 경제활동 가치(Gross Domestic Product)는 2조 달러에 불과하다.

이는 지난 30여 년 동안 부의 증가와 자본이득이 경제 성장 자체를 앞지른 추세의 일부로써, 호주 내 부의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 논문의 저자인 데이빗 리차드슨(David Richardson) 선임연구원은 “IGR에서는 이런 국내 상황을 설명하지 못했다”면서 “이 보고서는 정부 서비스 분석에서 시세차익을 제외한 채 급여, 기업에 대한 세금과 같은 전통적 소득 측정에 의해서만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음을 암시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호주는 현재 부에 대한 세금이 없고 자본이득으로 정부가 거둬들이는 수입도 거의 없기에 정부 세수는 호주인들의 부의 증가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리차드슨 연구원은 “결국 정부는 일반 근로자의 소득에 엄격하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만큼 부유층의 증가된 부와 자본이득에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쪽을 선택할런지도 모른다”면서 “하지만 이런 선택은 향후 수년 내에 정부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능력이 없다고 주장하기 어렵게 한다”고 지적했다.

 

소득측정,

보다 광범위해야 한다

 

리차드슨 연구원의 논문은, “IGR의 분석은 호주로 하여금 미래에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여유가 없을 것이라는 믿음에 치우치게 한다”고 주장한다.

 

종합(고소득 세금 2).jpg

사상 최저의 기준금리로 부동산 가격이 치솟으면서 가계자산 또한 크게 늘어나고 있다. 지난 2018년, 호주에서는 자산 기준 상위 10% 가구가 전체 가구 자산의 거의 절반(46%)을 소유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젊고 소득이 낮은 가구의 하위 60%가 소유한 부는 호주 전체 가구 자산의 16%에 불과했다. 사진 : Real Estate

 

그가 내놓은 논문의 제목은 ‘부와 자본이득을 무시한 세대간 보고서’(The Intergenerational Report ignores booming wealth and capital gains)이다.

리차드슨 연구원은 이 논문에서 국민 소득에 자본이득을 포함시키는 보다 넓은 정의를 채택한다면 국가적 대화를 극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방정부의 IGR은 지난 2002년 처음 나왔으며 이후 2007, 2010년, 2015년 및 올 6월 다섯 번째 보고서가 발표됐다. 이 모든 보고서는 정부의 잠재적 수익이 될 수 있는 부와 자본이득을 무시하고 있다.

리차드슨 연구원은 존 하워드(John Howard. 자유당) 및 케빈 러드(Kevin Rudd), 줄리아 길라드(Julia Gillard. 이상 노동당) 정부에서 재무부 사무처장(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the Treasury)을 지냈던 켄 헨리(Kenneth Ross Henry) 박사가 지난 2010년 과세 시스템에 대한 검토를 통해 세금 논의에 자본이득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IGR은 미래 세대가 호주의 고령화 인구를 부양하는 부담을 안게 될 것이라고 말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리차드슨 연구원은 “호주인들은 향후 40년 동안 실질 소득이 80% 증가하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하게 될 것이지만 그마저도 실제 상황을 과소평가한다”면서 “관례적으로 측정되는 소득은 증가했고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이며 부의 호황 속에서 자본이득도 급증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소득 측정에 자본이득을 포함하면 미래 재정 부담이 사라지게 된다”면서 “40년 후 자본이득을 포함한 1인당 소득은 158% 더 높을 수 있다는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정부가 앞으로 의료 등 서비스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라는 주장이다.

 

‘부’(wealth)의 정의는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에 따르면 ‘부’는 가계 구성원이 이론적으로 모든 부채를 상환한 후 보유하고 있는 경제적 자원이라고 정의한다. 여기에는 △주거용 부동산, △연금 저축(superannuation savings), △주식 및 기타 금융자산, △기타 비금융자산(자동차, 가구, 예술품 등), △기타 부동산에 대한 투자(투자용 부동산)가 포함된다.

이 가계자산은 다양한 방식으로 증가할 수 있다. 주택의 예상 판매 가격이 주택담보 대출(mortgage)의 원금 규모에 비례하여 상승할 때 자산이 늘어날 수 있다. 주가 상승으로 자산이 불어나기도 하며, 저축이 늘면서 자산이 증가할 수도 있다.

지난 2018년, 호주에서는 자산 기준 상위 10% 가구가 전체 가구 자산의 거의 절반(46%)를 소유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젊고 소득이 낮은 가구의 하위 60%가 소유한 부는 호주 전체 가구 자산의 16%에 불과했다.

 

종합(고소득 세금 3).jpg

연방 재무부 조시 프라이덴버그(Josh Frydenberg. 사진) 장관. 지난 5월 새 회계연도 예산 계획을 밝히는 자리에서 프라에덴버그 장관은 앞으로 호주 인구 고령화로 정부 재정이 큰 압박을 받을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사진 : ABC 방송 시사 프로그램 '7.30' 방송 화면 캡쳐

 

리차드슨 연구원의 주장은 소득과 부의 분배가 IGR에서는 거의 완전히 무시됐다는 것이다. 그는 호주인의 부가 지난 수십 년 동안 크게 증가하여 30년 전 GDP의 3.6배에서 현재 6.4배로 증가했으며, 앞으로도 계속 경제 규모를 능가해 나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와 같은 추세가 지속된다면 호주인 가계 자산은 2060-61년에는 GDP의 18배가 될 것이며 자본이득을 포함한 1인당 소득은 158%가 늘어날 전망”이라는 것이다.

 

‘부’에 대한 세금은 무엇?

 

리차드슨 연구원은 호주인의 부의 증가는 어느 정도 경제학자들을 놀라게 했다고 말한다. “지난 1990년 3월, 가계 순자산은 GDP의 3.58배였으나 2021년 3월에는 6.37배에 달했다”는 그는 “이는 호주 경제 구조에서 매우 실질적인 변화를 경험했음을 시사하는 것 같다”면서 “현재 호주인의 부는 30년 전에 비해 훨씬 많아졌다”고 덧붙였다.

그는 호주와 같은 추세가 다른 국가에서도 보인다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소득대비 자산(국민 순소득)이 1990년 약 3.8배에서 2017년 5.5배로 증가했으며 영국은 이 비율이 1995년 3.7배에서 2018년 5.7배로 늘어났다.

리차드슨 연구원은 호주의 고령화 인구가 정부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향후 분석에서 소득원의 급속한 성장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부와 자본이득에 대한 가능한 시나리오를 감안하면, 호주 세금 시스템은 가장 부유한 가계의 이익을 위해 매우 큰 세금 기반을 놓치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것이다.

이어 그는 “여기에다 지난 수십 년간 소득 및 부의 분배 악화는 자본이득의 강화로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40년 후의 정부 재정 압박을 이해하려는 시도는 자본이득으로 얻는 소득이 전통적으로 정의된 GDP나 소득의 가치를 훨씬 초과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고소득 세금 1).jpg (File Size:83.0KB/Download:12)
  2. 종합(고소득 세금 2).jpg (File Size:78.9KB/Download:14)
  3. 종합(고소득 세금 3).jpg (File Size:42.1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501 호주 호주 여성 5명 중 1명, ‘Sexual selfie’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5500 호주 Four of the most spectacular resort-style homes for sale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5499 호주 호주 대중가수의 유로비전 출전 세 번째, 올해 성적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5498 호주 Federal Budget 2017- 기본 방향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5497 호주 Federal Budget 2017: 각 부문별 핵심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5496 호주 Federal Budget 2017: The winners and losers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5495 호주 연방 예산안 발표 후 주말 경매 낙찰률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5494 호주 NSW 주 정부, 경찰-간호사 대상 주택정책 발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5493 호주 5천만 달러 ‘파워볼’ 복권 단독 당첨자 나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5492 호주 “아동비만, 수술로 해결해야”... 호주 외과의사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5491 호주 시드니 중간 주택 가격보다 저렴한 영국의 미니 성곽 ‘화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5490 호주 시드니 교통 혼잡, 업무용 차량 대기시간 길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5489 호주 지난해 호주인 금융사기 피해 금액 3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5488 호주 직장, 쇼핑센터 등 이동시간 가장 짧은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5487 호주 유로비전 2017... 포르투갈, 대회 첫 우승자 배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5486 호주 ‘페어팩스-입소스’ 여론조사... 노동당, 여전히 앞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8.
5485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5월 들어 최다 매물, 낙찰률 76.9%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5484 호주 크라운 그룹 ‘워터폴 아파트’ 론칭 기념 행사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5483 호주 NSW 주의 오랜 자동차 번호판, 아파트 한 채 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5482 호주 ‘다운사이저’ 수요 증가, 일부 지역 아파트 가격 강세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5481 호주 World's biggest beer / wine drinkers...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5480 호주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 자녀 출산 제한해야 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5479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주택 가격만 치솟은 게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5478 호주 호주 ‘기부천사’, 암 연구 등에 4억 달러 또 쾌척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5477 호주 “호주 중앙은행, 올해 기준금리 추가 인하 단행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5476 호주 세계보건기구의 PM 수치 기준, 대기오염과 거리가 먼 도시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5475 호주 특정 기업 겨냥한 온라인 사기 기승, 해킹보다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5474 호주 호주 기후변화 영향 심각... 주요 명소 사라질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5.25.
5473 뉴질랜드 오클랜드 한 식당, 노숙자 등에 음식물 무료 제공 NZ코리아포.. 17.05.26.
5472 뉴질랜드 뉴질랜드 최초의 우주로켓 시험발사 성공 NZ코리아포.. 17.05.26.
5471 뉴질랜드 좁은 골짜기 갇혔다가 죽기 직전에 구조된 반려견 NZ코리아포.. 17.05.27.
5470 뉴질랜드 심야 여객기에서 여성승객 몸 더듬었던 남성,,,,,, NZ코리아포.. 17.05.29.
5469 뉴질랜드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뉴질랜드 한국과 함께 16강 진출 NZ코리아포.. 17.05.29.
5468 뉴질랜드 해변까지 올라와버린 소형 어선 NZ코리아포.. 17.05.29.
5467 뉴질랜드 오타고 대학 과학자, 유방암 예방에 한걸음 더... NZ코리아포.. 17.05.30.
5466 뉴질랜드 긴급 구조 요원 배우자들 정신적 피해 조사 NZ코리아포.. 17.05.30.
5465 뉴질랜드 다운 증후군 소년, 유명 키위 스타들 생일 축하 메시지 받아 NZ코리아포.. 17.06.01.
5464 뉴질랜드 뉴질랜드 HIV 감염 환자의 수, 계속 늘고 있어 NZ코리아포.. 17.06.01.
5463 뉴질랜드 한밤중 자다가 깨 침대에서 스토커와 눈 마주친 여성 NZ코리아포.. 17.06.01.
5462 호주 5월 주택 경매 낙찰률 80% 미만, 올 들어 가장 낮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5461 호주 호주 최대 직업학교 ‘Careers Australia’ 부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5460 호주 타스마니아 하늘에 펼쳐진 총천연색 오로라 절경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5459 호주 시드니 도심에 호주 최초 ‘캡슐 호텔’ 문 열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5458 호주 불법 마약복용 운전자 적발, 지난 해 300%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5457 호주 발리 마약사범 샤펠 코비, 13년 만에 호주 귀국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5456 호주 마리화나 소지, 샤펠 코비 사건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5455 호주 세계경제포럼, 호주 등 전 세계 ‘연금 폭탄’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5454 호주 시드니 도심, 근사한 바(bar)에서 즐기는 ‘Vivid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5453 호주 NSW 주 기업들, “5만4천개 일자리 기술인력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7.06.01.
5452 뉴질랜드 사냥 왔던 호주 출신 부자 중 60대 아버지 추락사고로 사망 NZ코리아포.. 17.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