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지방추천 지역 1).jpg

도시 거주자들의 지방 지역 이주가 증가하면서 지난 12개월 사이 일부 지방도시 및 타운의 주택가격이 크게 치솟았다. 사진은 럭셔리 주택들이 들어서 있는 바이런 베이의 한 해안 주거지역. 바이런 베이의 주택가격은 1년 사이 무려 51%나 급증했다. 사진 : Byron Bay Property Sales

 

주택가격 급등한 대도시 소재 부동산 매각 후 가격 저렴한 지방 타운으로

‘tree or sea change’ 바람으로 일부 해안 지역 주택가격 크게 치솟아

 

지난해 초, 세계적 전염병이 시작된 이후 두드러지지 않았던 지방 이주 바람이 근래 들어 확연하게 나타나고 있다. 올해 분기별 각 지역 주택가격 변화를 보면 이 같은 바람을 실감하게 한다. 바이러스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취해지는 봉쇄 조치에 질린 이들, 아파트 등 폐쇄된 공간에 갇혀 지내야 하는 이들이 한적하고 넓은 지방 지역 주택을 원하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주택가격이 급등한 도시의 부동산을 매각할 경우 지방 타운이나 해안의 눈에 보이지 않은 주택을 저렴하게 구입하고, 여유자금까지 확보할 수 있다.

올해 초반에는 바이러스 감염자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재택근무를 하던 이들이 다시 도심 직장으로 돌아가게 되면서 지방 지역 거주의 매력이 줄어들었지만 하반기 들어 시작된 멜번 및 시드니의 새로운 감염자 파동은 이제 보다 강한 ‘tree-change’ 또는 ‘sea-change’ 욕구로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이미 지난해부터 서서히 오르기 시작한 지방 지역 주택가격은 근래 더욱 급격하게 높아지는 추세이다.

가령 NSW 주 북부의 대표적 휴양도시 중 하나인 바이런 베이(Byron Bay)의 주택가격은 올해 6월까지 지난 12개월 사이 51%가 치솟아 현재 중간 주택가격은 158만5천 달러에 달한다.

빅토리아 주의 서프 코스트(Surf Coast, Victoria), 시드니 남쪽의 키아마(Kiama)를 비롯한 각 주의 일부 지방 도시들 또한 1년 사이 30% 이상 가격이 올랐다. 특히 멜번(Melbourne) 외곽, 모닝턴 반도(Mornington Peninsula)의 각 서버브 주택가격은 12개월 사이 50% 이상 높아졌고, NSW 주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의 일부 지역 또한 30% 넘게 상승했다.

각 지역 부동산 관계자들에 따르면 지방 지역 이주자들은 저렴한 주택을 찾아 이주한 첫 주택 구입자들이 아니라 대도시 부동산을 매각해 많은 현금을 보유한 이들이 대부분이다.

 

부동산(지방추천 지역 2).jpg

시드니에서 멀지 않은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의 일부 지역(suburb) 주택가격 또한 최소 30% 이상 올랐다. 사진은 근래 주택 수요가 크게 증가한 테리갈(Terrigal)의 주택가. 사진 : Homely

 

바이런 베이를 기반으로 하는 부동산 회사 ‘Pacifico Property’의 크리스티안 세르지아코미(Christian Sergiacomi) 에이전트는 “이 도시까지 여행을 하기 어려운 이들은 온라인으로 주택을 확인한 뒤 기꺼이 구매를 하며, 최근 개발이 시작된 새 프로젝트도 서슴없이 계약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자신의 부동산 중개회사에 등록된 2채의 부동산을 순식간에 판매했다.

그는 “특히 멜번 거주자들의 구매 욕구는 아주 강하다”며 “그들은 수차례의 록다운 조치에 질렸고, 더 이상 견디기 어려운 상황에서 도시를 벗어나고 싶어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시드니사이더들 가운데서도 이런 지방으로 이주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세르지아코미씨는 최근 몇 주 사이 시드니 거주자들로부터 걸려온 주택 구입 전화문의가 크게 늘어났다“고 말했다.

시드니에서 그리 멀지 않은 센트럴코스트의 테리갈(Terrigal)에 자리한 ‘LJ Hooker Terrigal’의 매튜 파루기아(Matthew Farrugia) 에이전트는 시드니에서 이주하려는 이들의 수요를 처리하는 데 분주하다고 털어놓았다.

그에 따르면 최근 1년 사이 주택가격이 크게 상승한 시드니 북부해안 지역 거주자들이 주택을 매각한 뒤 테리갈 및 인근 지역에 더 큰 주거지를 마련하고 있다.

“이들은 시드니에 자리한 직장으로 한 주에 하루나 이틀 정도만 출근하고 그 외에는 집에서 일할 수 있기에 센트럴코스트를 찾는다”고 설명한 파루기아 에이전트는 “시드니에서 시행 중인 봉쇄 조치가 해제되더라도 이 지역(suburb) 주택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지방추천 지역 3).jpg

대도시 거주자들의 지방 지역 이주 붐 가운데서 호황을 누리는 또 하나의 도시는 퀸즐랜드 선샤인코스트(Sunshine Coast, Queensland) 지역의 도시 누사(Noosa)이다. 사진은 누사 강(Noosa River) 주변의 한 주택. 사진 : Real Estate

 

퀸즐랜드의 휴양도시 선샤인코스트(Sunshine Coast) 지역의 누사(Noosa) 또한 최근 수개월 사이 주택가격이 급등한 곳으로, 브리즈번은 물론 시드니, 멜번에서 이주하려는 이들의 수요가 매물 공급을 초과하면서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누사 기반의 ‘Tom Offermann Real Estate’를 운영하는 톰 오퍼만(Tom Offermann)씨는 “누사에 주거지를 마련하려는 이들은 홀리데이 유닛이 아니라 재택근무를 할 수 있는 보다 넓은 주택을 원한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최근 누사에 새 주택을 마련한 이들 가운데는 시드니나 멜번의 큰 회사에 소속된 고위직 간부들이 제법 눈에 띈다.

오포만씨는 “누사에 주택을 구입하는 이들은 대도시의 주거지를 판매한 이들”이라며 “부동산 가치가 크게 상승했기에 누사에서 주택을 마련한 뒤에도 여유 자금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빅토리아 주에서 주택시장이 가장 호황을 누리는 곳은 모닝턴 반도일 것이다. 이곳 소렌토(Sorrento)에 있는 부동산 회사 ‘Jellis Craig Sorrento’의 에밀 폴러(Emil Foller)씨는 최근 몇 주 동안 주택구입을 문의하는 전화로 다른 일을 처리할 수 없는 지경이었다고 토로했다.

그는 “구매자들이 직접 주택을 확인하지 않고 온라인 상에서만 보고는 구입을 결정한다”며 “현재 모닝턴 반도의 각 지역(suburb) 주택시장은 아주 강하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지방추천 지역 1).jpg (File Size:121.3KB/Download:10)
  2. 부동산(지방추천 지역 2).jpg (File Size:123.7KB/Download:14)
  3. 부동산(지방추천 지역 3).jpg (File Size:116.0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01 호주 호주 여성 5명 중 1명, ‘Sexual selfie’로 피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300 호주 노동당 정책 광고, ‘백인 호주인 고용 우선’?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299 호주 턴불, 해외 테러리스트 자녀 귀국시 ‘철저한 감시’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298 호주 ‘크라운그룹’, 그린스퀘어 지역 ‘워터폴’ 론칭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297 호주 5월 첫주 경매 낙찰률, 올 들어 가장 낮은 수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11.
1296 호주 노스 라이드, 광역 시드니 최고 ‘혁신’ 수준 갖춰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1295 호주 광역시드니 지역 간 소득수준 따라 건강불평등 격차 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1294 호주 지구상에서 커피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는?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1293 호주 대학졸업 학위 없어도 ‘PwC’ 입사 가능해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1292 호주 ‘모기지’ 규제 강화로 주택 가격 상승세 ‘주춤’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1291 호주 연방 정부 대학 지원 삭감... 학비 인상 불가피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1290 호주 호주인 임대료 부담 가중, 소득의 30-50%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1289 호주 ‘아틀라시안’ 창업자, 7천만 달러로 저택 ‘일레인’ 구입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1288 호주 예전 방식의 학생 ‘숙제’ 형태에 새로운 변화 바람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1287 호주 2016 센서스... 호주사회 다양성화, 더욱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1286 호주 노동당, ‘NSW 주 공립학교 시설 수리 예산 부족’ 비난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1285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1284 호주 랜드윅 소재 ‘캘리포니아 방갈로’, 301만 달러 낙찰 file 호주한국신문 17.05.04.
1283 호주 이민자 유입 제한, 상당한 파장 불러올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1282 호주 ANZAC Day 2017- 원주민 호주 참전요사들의 사연들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1281 호주 A timeline: How love and law have changed in 130 years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1280 호주 457 비자 폐지-시민권 취득 강화에 이민성 전화 폭주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1279 호주 웨스턴 시드니서 첫 ‘온가족 비만 클리닉’ 오픈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1278 호주 시드니 주택 임대료 초고속 상승, ‘우려’ 수준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1277 호주 “호주 주택시장, 정점 달했다” 분석 제기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1276 호주 다소 하락한 경매 낙찰률, 거래 가격은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7.
1275 호주 턴불 정부, 외국인 기술 인력 대상 ‘457 비자’ 폐지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1274 호주 457 취업비자 기습 ‘폐지’ 발표... ‘찬-반 여론’ 팽배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1273 호주 Adelaide Hills, South Australia: Top 10 things to do(2)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1272 호주 “취업을 위한 인터뷰에서 이것만큼은 말하지 말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1271 호주 치솟은 주택가격... 젊은이들의 국내이주 부추긴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1270 호주 현재 호주 최저 임금, ‘낮은 수준이다’ 압도적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1269 호주 서큘러키, 멜번 스타일의 ‘키 쿼터’ 재개발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1268 호주 대학교 진학 여학생 비율, ‘사립’ 출신 크게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1267 호주 지난해 NSW 주 신생아 이름, ‘올리비아-올리버’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1266 호주 NSW 주, ‘Safe Schools’ 프로그램 ‘폐지’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17.04.20.
1265 호주 Adelaide Hills, South Australia: Top 10 things to do(1)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1264 호주 2016 Census- ‘호주인의 전형’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1263 호주 2016 Census- 호주 여성 무급 가사노동, 남성의 5배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1262 호주 “연간 이민자 수용 19만 명, 정부의 중요 정책적 수치?”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1261 호주 주요 국가별 주택소유 비교, 호주 청년층 크게 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1260 호주 연방 정부, “네거티브 기어링, 폐지 않을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1259 호주 호주 연구팀, ‘췌장암 생존기간 연장’ 치료법 발견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1258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매물 1,152채, 시드니 경매 기록 갱신 file 호주한국신문 17.04.13.
1257 뉴질랜드 정부, 4월 하순부터 중국과 FTA 개정 협상 시작 file 나우엔젯뉴스 17.04.10.
1256 뉴질랜드 NZ기업들, 미래 낙관 작년 12월 26%에서 16%로 하락 file 나우엔젯뉴스 17.04.10.
1255 호주 말 경주를 허락할 수 없다고? 그래도 ‘파티’는 계속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254 호주 시드니 인구 500만 명 돌파... 16년 만에 100만 명 늘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253 호주 홈부시 베이-실버워터 인구밀도, 뉴욕과 맞먹어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
1252 호주 공유시장 경제 70% 급성장... 기존 사업모델 위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