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야당 반응은 부정적, "언제까지 논의만 계속?"

 

            

지난 3일(목), 밴쿠버 컨벤션 센터에서 저스틴 트루도(Justin Trudeau) 총리와 함께 모인 각 주의 수상들이 연방 정부가 제안한 탄소세(Carbon Tax) 시행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들은 ‘탄소세 영향력과 효율성을 조사할 별도의 조사단을 꾸리는 것’에 동의했다.

 

그러나 이 동의에는 ‘탄소세 시행은 모든 주에서 동시에 같은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각 주의 상황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한다’는 조건이 따랐다.

 

이 안건에 대한 다음 논의는 가을 중 있을 예정이다. 트루도 총리는 “경제 발전을 제어하지 않는 선에서 기후 변화 대책을 적극적으로 모의해야 한다는 점에 각 주의 수상들이 동의했다.

 

논의 진전이 있어 매우 기쁘다"며 "각 지역들의 특성과 입장을 존중해야 하는 점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탄소세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캐나다 원주민들의 입장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도 지목했다.

 

트루도는 “원주민 밀집 지역들을 포함,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들의 디젤 연료에 대한 의존성을 타개하고, 재생 에너지(Renewable Energy)를 공급하려는 것이 정부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연방 야당들은 총리의 긍정적인 모습과는 전혀 다르게 응답했다. 신민당(NDP의 환경 크리틱 네이든 쿨런(Nathan Cullen)은 “실망스럽다.

 

언제까지 행동은 하지 않고 책상에 앉아 논의만 계속 할 것이냐? 기후 변화는 이미 25년 전부터 문제가 되어 왔다. 그런데 여전히 ‘논의’를 한다며 책상에만 앉아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보수당의 환경 크리틱 에드 패스트(Ed Fast)는 “에너지 자원 업계에서 크게 실망할 내용”이라며 “이들은 탄소세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그런데 이번 총리의 발표를 듣고 어떠한 준비나 대비도 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결국 구체적으로 나타난 기후 변화 대비책은 아직 아무것도 없다”고 덧붙였다.[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897 캐나다 캐나다인 "주거지나 주변 소음 점차 심해진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5.30.
8896 캐나다 다음달부터 BC 최저시급 16.75달러 인상 꼭 기억 file 밴쿠버중앙일.. 23.05.30.
8895 캐나다 이비 주수상, 무역사절단과 한국 방문 file 밴쿠버중앙일.. 23.05.27.
8894 캐나다 캐나다에서 가장 저렴하게 살 수 있는 도시 - 셔브룩 file 밴쿠버중앙일.. 23.05.27.
8893 캐나다 BC주, 경제적으로 건강한 음식 사먹기도 힘들 정도 file 밴쿠버중앙일.. 23.05.27.
8892 캐나다 해외 평통에도 코드 낙하산 인사가 내려오나 file 밴쿠버중앙일.. 23.05.26.
8891 캐나다 이민 첫 2년 저소득자 중 동아시아인 가장 많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05.26.
8890 캐나다 밴쿠버 한인단체장들 물갈이냐, 고인물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3.05.26.
8889 미국 5월부터 마이애미-올랜도 행 고속철 티켓 판매 file 코리아위클리.. 23.05.25.
8888 미국 '중국 공포증' 가진 디샌티스, 중국 영향력 차단 시동 걸었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05.25.
8887 미국 플로리다 대학 장학금 수혜 요건, CLT 테스트 추가 file 코리아위클리.. 23.05.25.
8886 미국 공화당 주도 플로리다 주의회 1170억 달러 예산안 승인 file 코리아위클리.. 23.05.25.
8885 미국 디샌티스 주지사 "성 이데올로기 연구? 버클리로 가라!" file 코리아위클리.. 23.05.25.
8884 미국 플로리다 중고교 등교시간 늦춰진다 file 코리아위클리.. 23.05.25.
8883 미국 연방 판사 "18세~20세 권총 판매 금지는 수정헌법 위반" file 코리아위클리.. 23.05.25.
8882 미국 '즉각 추방' 해제 불구 남부 국경 입국자 절반 줄어 file 코리아위클리.. 23.05.25.
8881 미국 디샌티스-디즈니 기싸움 점입가경...본격 소송전 돌입 file 코리아위클리.. 23.05.25.
8880 미국 플로리다 주의회서 '학부모 교육권리법' 확대 법안 통과 file 코리아위클리.. 23.05.25.
8879 미국 합법적 신생아 유기 '베이비 박스', 플로리다에도 생길까 file 코리아위클리.. 23.05.25.
8878 미국 플로리다 주 의회, 전면적 이민 단속 법안 통과 file 코리아위클리.. 23.0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