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성,일부 취업 비자 소지자를 위한 2021 새로운 영주권 비자 발표

 

3617381de90603b808f204fe906f79ed_1632953316_554423.jpg
 

이민성,일부 취업 비자 소지자를 위한  2021 새로운 영주권 비자 발표 

뉴질랜드에서 3년 이상 거주한 자,장기부족직군에서 일하는 지원자 등 ...

 

정부는 임시 취업 비자를 발급받은 수천 명의 이민자들을 위한 새로운 일회성 영주권 비자를 발표했다.크리스 파포이 이민장관은 약 165,000명의 9월 29일 뉴질랜드에 있는 한 대부분의 취업 관련 비자 소지자와 그 가족들이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대부분 2022년 12월 말까지 거주권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지원자들은 건강 요건등 간단한 일련의 요구 사항만 충족하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2021년 9월 30일부터 2022년 7월 31일 사이에 장기 핵심 목적 비자(6개월 이상)로 뉴질랜드에 도착하는 사람들도 이 새로운 비자를 받을 수 있다. 파트너와 피부양자는 이러한 영주권 신청서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적격 지원자는 2021년 12월 1일부터, 나머지 적격 지원자는 2022년 3월 1일부터 두 단계로 지원이 시작되며,모든 신청서는 2022년 7월 31일까지 제출해야 한다.

 

지원자는 2021년 9월 29일 기준 ▲ 2021년 9월 29일에 뉴질랜드에 있었으며▲적격 비자 소지▲2021년 9월 29일 이전에 적격 비자를 신청하였음을 충족해야 하며,▲뉴질랜드에서 3년 이상 거주한 경우▲중간 임금(시간당 $27) 이상을 버는 경우▲장기부족직군에서 일하는 경우,이 세가지 기준 중 하나를 충족해야한다.

 

신청조건을 충족하지만 호주에 있고, 2021년 9월 29일까지 뉴질랜드로 돌아올 수 없는 경우 자격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적격비자 

 

신청조건을 갖춘 모든 신청자는 적격한 비자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는데 아래는 해당되는 비자 카테고리이다.

 

- Post Study Work Visa

- Talent (Accredited Employer) Work Visa

- Essential Skills Work Visa

- Religious Worker Work Visa

- Talent (Arts, Culture, Sports) Work Visa

- Long Term Skill Shortage List Work Visa

- Silver Fern Practical Experience Work Visa

- Trafficking Victim Work Visa

- Migrant Exploitation Protection Work Visa

- Skilled Migrant Category Job Search Work Visa

- Victims of Family Violence Work

- Visa South Island Contribution Work Visa

- Work Visa granted under Section 61 (provided the applicant held another eligible visa type within 6 months of being granted a Section 61 visa)

- Some Critical Purpose Visitor Visas (CPVV):

- Critical health workers for longer term roles (6 months or longer), and Other critical workers for long term roles (more than 6 months).

 

방문자, 학생, 워킹홀리데이 및 계절별 고용주 인정 제도에 해당하는 시즈널 워커 또는 단기 핵심 근로자로 입국하는 단기 근로자와 같은 단기 비자 소지자는 자격이 없으며,현재 뉴질랜드 밖에 있는 자녀를 포함하여 파트너 및 부양 자녀도 거주 신청서에 포함될 수 있다.

 

모든 신청자는 2021년 영주권 비자에 대한 건강 및 성격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출입국 관리소에서 특별히 요구하지 않는 한 해외 경찰 증명서는 필요하지않다.일부 사람들에게는 제한된 진단서 및 흉부 X-레이 진단서가 필요할 수 있다. 뉴질랜드 이민성(Immigration New Zealand)은 신청 절차의 일부로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개인은 다른 임시 비자 옵션을 이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뉴질랜드에서 3년 이상 거주한 자가 자격을 갖추려면▲지난 3년 이상 뉴질랜드에 거주했으며▲2018년 9월 29일 또는 그 이전에 뉴질랜드에 도착▲2018년 9월 29일 부터 2021년 9월 29일(포함) 사이에 뉴질랜드에서 최소 821일 보냈어야 한다.뉴질랜드에서 보낸 시간이 연속적일 필요는 없다.

 

중위임금 이상을 받는 신청자는  년 9월 29일에 시간당 NZD $27 이상의 중간 임금을 받아야 하며,장기부족직군에서 일하는 지원자는 2021년 9월 29일에 희소 목록에 있는 직업에서 일해야 한다. 

장기 기술 부족 목록에 있는 직업,보건 또는 교육 부문에서 직업 등록이 필요한 직업,개인 간병인 및 기타 중요한 의료 종사자,지정된 1차 부문 직업이다.

대부분의 신청서가 12개월 이내에 처리될 예정이나 대부분이 더 빨리 처리될 것으로 예상된다.신청서는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자세한 사항은 https://www.immigration.govt.nz 를 이용하시면 된다.

 

 

4fe9ad2fbf177fddc4985f6308aea776_1632955150_185028.jpg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03 호주 호주 국방부, 한국과 자주포 등 10억 달러 규모 무기 계약 마무리 file 호주한국신문 21.12.16.
300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9 호주한국신문 21.12.16.
3001 호주 ‘임정연 한복’, ‘호주 다문화 패션쇼’에서 한복의 아름다움 뽐내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3000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0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2999 호주 2022년도 재외동포재단 예산, 처음으로 700억 원 넘어서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9.
2998 호주 마흔 다섯 편의 산문 속에 담아낸 타국살이와 고향에 대한 그리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997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8 호주한국신문 21.12.02.
2996 호주 호주 지역 ‘재외국민 투표율 제고’, 동포단체들 앞장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995 호주 시드니한인회, ‘오미크론’ 바이러스 주의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21.12.02.
2994 호주 제20대 대선, “특정 후보가 어떤 국가를 만들고자 하는지를 살펴봐야...”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993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9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992 호주 ‘오백나한’, 호주서 선보이는 '깨달음을 얻은 성자'의 얼굴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991 호주 스트라스필드 카운슬-시드니총영사관, ‘호-한 수교 60주년 사진전’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990 호주 ‘또 하나의 별을 노래하자’... 동포 청소년들, 조국 위한 선열들 희생 추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25.
2989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7 호주한국신문 21.11.18.
2988 호주 “호주사회에 한반도 평화통일 당위성-북 인도적 지원 사업 주력할 터”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987 호주 "갖가지 쓰레기 줄이고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회복에 주력..."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986 호주 시드니 지역 '한국음식점', 약 40%는 '바비큐 레스토랑'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985 호주 올해 ‘세계 장애인의 날’ 기해 관련 한인단체, 이벤트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
2984 호주 ACC Hospice, 대한민국 국무총리 표창 단체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1.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