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한정태 후보).jpg

오는 12월 4일 치러지는 NSW 지방의회 선거에서 라이드 카운슬 자유당 후보로 나서는 한정태 후보(맨 왼쪽)가 NSW 주 서비스부 빅터 도미넬로(Victor Dominello. 왼쪽에서 두 번째) 장관 등이 참석한 후원의 밤 행사에서 한인사회의 정치 인식 변화를 당부하고 있다. 사진 : 한정태 후보 후원회 제공

 

라이드 카운슬 자유당 소속으로 출마, 동포사회 '후원의 밤' 행사서 피력

 

“이제는 한인 커뮤니티가 조직적으로 차세대 정치인을 육성, 많은 이들이 진출하도록 모색할 때이다.”

오는 12월 4일 치러지는 NSW 지방의회에 각 정당별로 다수의 한인 후보들이 확정됐다. 3주 앞으로 다가온 선거를 앞두고 지역 주민 설득에 나선 한인 후보들은 시기적으로 한인 커뮤니티의 조직적인 차세대 정치인 육성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라이드 카운슬(Ryde Council) 진출을 모색하는 한정태 후보 또한 ‘동포사회의 변화’를 당부했다. 그는 지난 11월 4일(목) 저녁, NSW 집권당의 서비스부 장관인 빅터 도미넬로(Victor Dominello) 주 의원, 동 카운슬의 트렌튼 브라운(Trenton Brown), 27세의 차세대 시의원(라이드) 조던 레인(Jordan Lane) 등이 초청된 한인사회 후원의 밤 행사에서 “한인 동포 규모에 비해 한인 정치인이 적은 안타까운 현실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동포들의 생각이 바뀌어야 한다”며 이 같이 피력했다.

“과거 이민 1세대들의 땀과 노력을 기반으로 호주 현지에서 성장한 2세대들이 현재 호주 주류사회 각 분야 전문가로는 왕성히 활동하고 있으나, 정계로 나간 동포가 아직 적은 이유는 이에 대한 관심이 적었기 때문”이라는 그는 “이제는 동포사회가 시기적으로 활발한 차세대 정치인 육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 후보는 “과거 한인 동포들이 십시일반으로 재정을 모아 수많은 이민 교회를 세웠듯이, 차세대 정치인을 후원하여 한인사회를 대변할 수 있도록 후원을 아끼지 않았으면 한다”는 점도 덧붙였다.

시드니한인회 강흥원 회장, 대양주한인회총연합회 백승국 회장을 비롯해 주요 한인단체 지도자, 전임 한인회장 등을 비롯해 한인 청년들이 함께 한 이날 후원의 밤에서는 최근 한국에서 제작돼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고 있는 드라마 ‘오징어 게임’ 속 게임 이벤트를 통해 현지 정치인들과 보다 밀접하게 교류하는 시간으로 이어졌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한정태 후보).jpg (File Size:90.1KB/Download:4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43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8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304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4 호주한국신문 22.04.14.
3041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7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3040 호주 한국문화원, ‘찾아가는 한국영화’로 호주 각 도시 순회 상영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3039 호주 이번에는 ‘K-뷰티’다... 한국문화원, 한국의 뷰티 제품 알리기 나서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3038 호주 NSW 주 일대의 극심한 홍수... 한인동포 피해 농장주들, 망연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3037 호주 전문가가 보는 정부 이민정책- ‘단기직종’의 천형 풀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3036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6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3035 호주 “잊지 않습니다, 우리 영웅들의 평화 염원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3034 호주 트로트 가수를 좋아하는 시드니 팬들, 우크라이나 전쟁피해 국민에도 ‘눈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3033 호주 총영사관 민원실, 방문예약제 전면 해제 호주한국신문 22.03.24.
303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3 호주한국신문 22.03.17.
3031 호주 한반도 비무장지대에 대한 국내외 작가 작품들, 영상으로 소개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3030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5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3029 호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모델 실현 위해 현지 사회와의 연대 활동 중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3028 호주 “2년 뒤 국회의원 선거에 대비, 체계적 활동 방향 논의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3027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2 호주한국신문 22.03.03.
3026 호주 20대 대선 재외선거 마감, 등록자 수 대비 호주 투표율 66.3%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3025 호주 시드니 한인 동포들, 항일독립운동 선열들의 민족정신 새겨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3024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4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