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Avenel Station 1).jpg

NSW 주 서부 내륙의 자연생태 보호를 위한 국립공원 지역이 새로 개발된다. 최근 NSW 자연보호기관인 'NSW National Parks and Wildlife Service'(NPWS)는 브로큰힐(Broken Hill) 북쪽 애비넬 목장(Avenel Station) 및 인근 지역 부지를 매입했다. 이는 NSW 국립공원 사상 두 번째로 큰 규모의 토지 매입이다. 사진은 동이 틀 무렵의 애비넬 목장 풍경. 사진 : NSW 환경부 장관실

 

브로큰힐 북쪽, 12만 헥타르의 ‘Avenel Station’, 주 정부에서 인수

 

NSW 주 서부 내륙의 광산도시 브로큰힐(Broken Hill) 북쪽, 123만 헥타르 넓이의 애비넬 목장(Avenel Station)이 NSW 서부 지역 자연보호를 위한 재편 계획에 따라 최근 정부에 인수됐다.

이는 NSW 주 국립공원 역사상 두 번째 규모의 부동산 매입으로 알려졌다.

아이반호(Ivanhoe) 인근에 있는 애비넬 목장 및 쿤나부라 목장(Koonaburra Station)은 주 정부가 지난 2019년 이후 국립공원 부지에 50만 헥타르 이상의 면적을 추가한 후 이루어진 신규 부지 매입의 일부이다.

매트 킨(Matt Kean) 환경부장관은 NSW 주 서부 내륙 일부 지역에 대해 자연보호 명목으로 ‘국립공원 및 야생동물 보호구역’(NSW National Parks and Wildlife Service. NPWS) 지정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킨 장관은 “NSW 서부 내륙 국립공원 사유지의 매우 중요한 자연생태계가 과소평가되어 왔다”고 말했다.

 

종합(Avenel Station 2).jpg

브로큰힐(Brokrn Hill) 주변 목장 지대에서 발견되는 ‘Dusky hopping 쥐’. 호주에만 서식하는 작은 설류인 이 생쥐는 호주 환경유산 당국인 ‘Office of Environment and Heritage’가 멸종 위기종으로 구분한 동물이다. 사진 : NSW 환경부

 

애비넬을 비롯해 마운트 웨스트우드(Mount Westwood), 테일타(Teilta), 줄니(Joulnie) 목장을 아우르는 ‘애비넬 목장’은 이 지역 주요 동식물이 서식하는 ‘Simpson Strzelecki Dunefields’(NSW, Northern Territory, South Australia, Queensland 등 4개 주 및 테러토리에 걸쳐 있는 호주의 생물 다양성 지대)의 일부이다.

 

“멸종위기 생물을 위한 조치”

 

NPWS의 애티커스 플레밍(Atticus Fleming)씨는 “이 지역 나리에라(Narrieara), 메트포드(Metford) 및 랭귀둔 목장(Langidoon Station)을 구매하는 것은 미래 세대를 위한 동식물 서식지 보장 조치라 믿는다”고 말했다.

 

종합(Avenel Station 3).jpg

아이반호(Ivanhoe) 북동쪽 약 100km 거리에 자리한 4만5천 헥타르 부지의 쿤나부라 목장(Koonaburra Station. 사진)에는 약 20여 종의 위기 생물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 NSW 환경부 장관실

 

그는 “최근 스터트 국립공원(Sturt National Park) 인근의 나리에라 및 브로큰 힐과 가까운 다른 공원들이 NSW 주의 자연공원 지대에 포함되면서 이 일대를 순환할 수 있는 작은 아웃백 서킷이 개발되고 있다”고 소개하면서 “이 순환로는 애비넬과 마운트 웨스트우드를 거쳐 브로큰힐까지 연결된다”고 덧붙였다.

플레밍씨는 이어 “우리가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호주의 야생 동식물 감소 및 멸종을 막기 위한 조치로, 해당 지역의 국립공원화는 그 열쇠”라면서 “NSW 주 서부 내륙의 보석 같은 국립공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종합(Avenel Station 4).jpg

목장에 있는 댐에서 물을 마시고 있는 ‘Major Mitchell pink 앵무새’. 사진 : NSW 환경부

   

애비넬 목장의 조 그린(Joe Green) 회장은 NPWS에 목장을 인계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면서도 목장이 사라지는 것에 대한 아쉬움을 털어놓았다.

아이반호에서 북동쪽으로 약 100km 거리에 자리한 4만5천 헥타르의 크지 않은 쿤나부라(Koonaburra) 목장은 약 20여 종의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종 보호를 위해 매입됐다. 이곳은 희귀종인 ‘Major Mitchell’ 앵무새 등의 서식처이다.

 

동식물 서식, 집중 조사 필요

 

‘애비넬’ 주변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동식물 표본은 거의 조사되지 않은 상태이다.

NPWS의 플레밍씨는 “생물학적 관점에서 두 목장(Avenel 및 Koonaburra)은 거의 탐험되지 않은 곳으로 연구팀이 본격적으로 생물학적 조사를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종합(Avenel Station 5).jpg

NSW 최서부 내륙의 목장 지역이 새로운 자연생태 국립공원으로 운영되고 또 일반인에게 개방되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 : NSW 환경부 장관실

   

킨 장관은 새로이 국립공원에 포함된 이 지역의 일반인 대상 개방은 아직 더 긴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행정적으로 여러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무엇보다 일반인 개방을 앞두고 방문자를 위한 기반 시설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Avenel Station 1).jpg (File Size:70.2KB/Download:22)
  2. 종합(Avenel Station 2).jpg (File Size:61.5KB/Download:14)
  3. 종합(Avenel Station 3).jpg (File Size:114.3KB/Download:10)
  4. 종합(Avenel Station 4).jpg (File Size:64.6KB/Download:14)
  5. 종합(Avenel Station 5).jpg (File Size:89.4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01 호주 QLD 주 ‘Whitehaven Beach’, ‘호주 최고 해변’ 꼽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200 호주 2017 세계 여성의 날- 여성권익 향상 방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9 호주 2017 세계 여성의 날- 호주인 남녀평등 의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8 호주 반테러 강화하는 호주, 미국식 안보전략 따라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7 호주 호주 경제 선도하는 시드니,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6 호주 ATO, 일부 업종 대상 ‘현금경제와의 전쟁’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5 호주 OECD, 호주 경기침체-주택가격 하락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4 호주 시드니 공항그룹, 유료 주차 매출만 연간 1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3 호주 이중국적 테러리스트 시민권 박탈 법안, 효용성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2 호주 시드니 시티, 거리 예술로 도심 풍경 변화 모색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1 호주 공공주택 대기자 6만, ‘거주 불가’ 주택 1천500여 가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89 호주 서리힐 주택판매자, 부동산 시장 강세로 큰 이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88 호주 Top 10 best cycling trip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7 호주 시드니 3개 지역, 호주 전체 GDP 성장 24% 기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6 호주 NSW 교육표준청, 12학년 필수 과목서 소설 및 시 제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5 호주 대학교 교내 성폭력 은폐, ‘솜방망이’ 처벌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4 호주 관리자급 여성 늘어날수록 남녀 임금격차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3 호주 호주 대도시 소재 대학 학생 증가, 시드니는 예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2 호주 “여성에 대한 폭력, 시작할 때 막읍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1 호주 낙찰률 80%... 2월 경매 통한 주택거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0 호주 뉴타운, 진보적 경향 강하고 라켐바는 비관적 성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9 호주 Four things Australia could do to tackle the obesity crisis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8 호주 NSW 주 정부, 파라마타 경전철 관련 16개 역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7 호주 시드니 주택 임대료, ‘전 세계 상위 10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6 호주 NSW 정부, IT 공무원직에 457 비자 소지자 고용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5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달러’ 새 디자인 지폐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4 호주 주택융자 ‘Deposit’ 없이 ‘내집 마련’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3 호주 NSW 주 정부, 부적절 직업학교에 보조금 중단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2 호주 모스만 소재 주택, 올해 첫 ‘double-digit’ 가격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1 호주 올해부터 뱅스타운 라인 ‘싱글덱’ 공사 시작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1830년대 코티지, 잠정가서 45만 달러 넘겨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69 호주 높아지는 청년 실업, 호주 젊은 세대 ‘좌절감’도 고조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8 호주 멜번-시드니, 가장 역동적인 전 세계 도시 중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7 호주 원주민-비원주민 삶의 질 격차, “변한 것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6 호주 시드니 공립학교 입학생 수, 이례적 ‘급증’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5 호주 “시드니 지역 상위 공립학교 보내려면 150만 달러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4 호주 NSW 주 정부, 지방 지역 카운슬 강제합병 포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3 호주 호주 치매환자, 비용만 연간 수십억 달러 소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2 호주 모스만, 시드니 지역 최고급 저택 지역으로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1 호주 2016년도 ‘온라인 데이트’ 사기 피해 2천50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0 호주 세입자들, “집주인 무서워 수리비 청구 못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59 호주 “설탕세 도입하면 호주인 수명 2년 이상 연장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58 호주 NSW 주 내륙, 산불피해 극심... 마을 전체가 완전 파손되기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57 호주 최고 무더위 불구, 시드니 주말 경매 ‘활황’ 이어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56 호주 부익부 빈익빈 확대... 저소득층 가계소득 더욱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1155 호주 The official GABS Hottest 100 Aussie craft beers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1154 호주 “부동산 상속세를 젊은 계층 보조금으로 활용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1153 호주 “호주, 제조업 활성화로 수입 의존도 낮추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1152 호주 NSW 주 공립학교 입학생, 40년만에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