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기념비적 걸음, 한 세대에 한번 있을 투자" 강조

 

 

infrac.jpg
▲ 조 바이든 대통령의 역점 사업 가운데 하나인 인프라 투자 법안이 상원에 이어 하원을 통과, 도로와 교량 재건 등 투자에 청신호가 켜졌다. 사진은 플로리다주 올랜도-탬파간 I-4 도로 확장 공사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조 바이든 대통령의 역점 사업 가운데 하나인 인프라 투자 법안이 결국 하원을 통과했다.

지난 6일 바이든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대국민 연설을 하면서 “마침내 ‘인프라 주간(infrastructure week)’이라고 말하게 돼 매우 기쁘다”라면서 전날 1조 2천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법안이 하원을 통과한 소식을 전했다.

바이든이 인프라 주간을 언급한 것은 전임 트럼프 대통령이 임기 중 여러 차례 ‘인프라 주간’이라고 공언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한 것을 자신이 이뤄냈다는 자찬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기념비적인 걸음을 내디뎠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소감을 밝히고 "(초당적인 인프라 법안)은 한 세대에 한 번 있을 법한 투자”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도로와 교량, 광대역 통신망 등 각종 인프라를 현대화하게 될 것이고,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 내는 한편, 기후 위기를 기회로 바꾸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프라 법안은 상원에서 이미 초당적으로 통과를 했었는데 하원에서 가로막혀 있었다. 하원은 대통령 소속 정당인 민주당이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대통령이 추진하는 정책이라면 쉽게 통과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민주당 내 의견 차이가 상당했다.

하원 내 진보파 의원들은 전통적인 사회 기반 시설에 투자하는 내용의 인프라 투자 법안이 통과하려면, 사회안전망 강화에 투자하는 사회복지법안, 일명 ‘인적 인프라 법안’ 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그런데 사회복지법안은 공화당 의원들이 전원 반대하는 가운데 민주당 내 중도파 성향 의원 두 명이 반대하면서, 법안 통과가 불투명했었다. 결국 중도파의 의견을 받아들여 법안 규모를 당초 3조 5천억 달러에서 1조 7천500억 달러로 절반가량 줄이게 됐다.

이번에 인프라 법안을 하원에서 통과시키기 위해 바이든 대통령과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이 민주당 진보 성향 의원들을 강력하게 설득해 냈다. 또 상원 중도파 의원들로부터도 인프라 법안이 통과되면, 사회복지법안이 통과되는데 협조하겠다는 다짐을 받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인프라 법안에 진보 성향 의원들이 모두 찬성한 것은 아니다. 5일 진행된 표결에서 민주당 내 진보 성향 의원 6명은 여전히 인프라 법안을 먼저 처리하는 것에 불만을 표하며 반대표를 던졌는으나, 공화당 의원 13명이 찬성표를 던지면서 찬성 228대 반대 206표로 하원을 통과했다.

하원을 통과한 인프라 법안에는 도로와 교량 재건에 1천100억 달러가 배정됐다. 민간, 화물 철도 개선 사업에 660억 달러, 대중교통에 390억 달러가 투자된다. 광대역 통신망에도 650억 달러가 투입되고, 전력 시설에도 740억 달러가 배정됐다. 이밖에 전기차 사업에 75억 달러가 투입되는 것도 눈길을 끈다.

인프라 법안은 지난 8월 상원에선 이미 통과했기 때문에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만 하면 즉시 발효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 법안은 대학 학위가 필요하지 않은 블루칼라, 즉 현장 노동직 일자리를 창출하는 투자가 될 것이다"라며 “앞으로 2~3개월 안에 미국인이 법안의 효과를 보게 될 것이다"라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 |
  1. infrac.jpg (File Size:69.7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417 캐나다 메트로 밴쿠버 학교서 살 파 먹는 바이러스 감염 학생 영구 장애 밴쿠버중앙일.. 17.07.25.
7416 캐나다 29일 밴쿠버 불꽃놀이 일본팀 시작으로 경연 돌입 밴쿠버중앙일.. 17.07.25.
7415 캐나다 밴쿠버-포틀랜드 고속철 실현 가능성 높아져 밴쿠버중앙일.. 17.07.25.
7414 캐나다 2년만에 루니화 미 달러 대비 80센트 돌파 밴쿠버중앙일.. 17.07.25.
7413 캐나다 시민권 시험 가이드라인 초안 공개 밴쿠버중앙일.. 17.07.25.
7412 캐나다 2016년 경찰신고 범죄 2년 연속 증가 밴쿠버중앙일.. 17.07.25.
7411 미국 달라스 경찰국, 136년만에 첫 여성국장 탄생 KoreaTimesTexas 17.07.25.
7410 미국 美사상 첫 흑인 여성 주지사 나올까? file 뉴스앤포스트 17.07.25.
7409 미국 "소시오패스 만나면 피하는 것이 상책" 코리아위클리.. 17.07.26.
7408 미국 “제재로는 북한 행동 바꾸지 못한다” 코리아위클리.. 17.07.26.
7407 캐나다 내각 장관된 트라이시티 MLA 2인, "지역 위해 최선을 다할 것" 밴쿠버중앙일.. 17.07.27.
7406 캐나다 27일, “정전협정 제64주년 및 유엔군 참전의 날” 기념식 밴쿠버중앙일.. 17.07.27.
7405 캐나다 메트로타운 곳곳 재개발 갈등 심화 밴쿠버중앙일.. 17.07.27.
7404 캐나다 보수당, 새 시민권 시험 가이드 비판 밴쿠버중앙일.. 17.07.27.
7403 미국 공화-민주 양당 의원들, 새 드림 법안 상정 file 코리아위클리.. 17.07.27.
7402 미국 플로리다 '백투스쿨' 세금공휴일 8월4일 시작 코리아위클리.. 17.07.27.
7401 미국 주택시장 붕괴 10년… 올랜도 시장 호조 지속 코리아위클리.. 17.07.27.
7400 미국 디즈니, 올랜도에 '스타워즈’ 테마 호텔 짓는다 코리아위클리.. 17.07.27.
7399 캐나다 캘거리 갱단, BC주에서 총격 사망 밴쿠버중앙일.. 17.07.28.
7398 캐나다 통행료 회피 도운 보험브로커 처벌 밴쿠버중앙일.. 17.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