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바네사 김 1).jpg

스트라스필드 기반의 부동산 에이전트인 바네사 김(Vanessa Kim)씨가 오랜 준비 끝에 올해 치러지는 NSW 주 지방의회 선거에서 이 지역 시 의원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최근 열린 후원의 밤에서 김 후보(왼쪽)가 승리를 다짐하며 건배를 하고 있다(사진). 사진 : 바네사 김 후원회 제공

 

스트라스필드 지방의회 선거 무소속 후보 바네사 김, ‘후원의 밤’서 밝혀

100여 지지자들 참석... 각계 인사들, “오랜 시간 준비해 온 카운슬러 후보”

 

오는 12월 4일 치러지는 NSW 주 지방의회 선거에서 한인 커뮤니티 중심 지역 중 하나인 스트라스필드 카운슬(Strathfield Council) 무소속 후보로 출마한 바네사 김(Strathfield Partners 이사) 후보가 지난 11월 11일 저녁, 스트라스필드의 한 식당에서 ‘후원의 밤’ 시간을 갖고 시 의원 진출의 강한 의지를 밝혔다.

오래 전부터 이 지역 지방의원 진출 의사를 밝혀 왔던 김 후보는 이날 행사에서 스트라스필드 지방정부의 친환경 정책 추진 계획을 설명하면서 유권자들의 지지를 당부했다.

이날 행사에는 챨스 카슈셀리(Charles Casucelli) 스트라스필드 지역구 전 주 의원, 빌 카니(Bill Carney)-옥상두 전 스트라스필드 시장, 호주한인공익재단 승원홍 이사장, 백승국 대양주한인연합회장 등 동포사회 주요 인사 및 동포들, 이 지역 이탈리아-인도-베트남-중국계 지역민 등 100여명이 자리를 함께 했다.

이날 김 후보는 본 행사 시작과 함께 가진 레이드(Reid) 지역구 피오나 마틴(Dr Fiona Martin) 연방 의원과의 영상 인터뷰를 통해 “스트라스필드를 환경 친화 도시로 조성하고 싶다”며 그 일환으로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회복과 함께 각 지역 커뮤니티가 함께 하는 도시발전 계획을 설명함으로써 지방의회 진출을 오랜 시간 준비해 왔음을 보여주었다.

실제로 카슈셀리 전 NSW 주 의원은 “시 의원으로 오래 준비한 만큼 많은 능력을 가진 바네사 김 후보를 적극 지지한다”고 말했으며, 빌카니 전 시장도 “지난 6년여 함께 해온 바네사 김씨를 시 의원 후보로 추천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면서 “누구보다 훌륭한 후보”라고 덧붙였다. 이어 한호공익재단 승 이사장은 앞으로 더 많은 한인들이 더 정계에 진출했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하며 “바네사 김 후보처럼 젊은 인재들이 한인 커뮤니티와 주류사회의 연결고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바네사 김 후보는 이날 행사에서 디지털 문화를 기반으로 여러 이벤트를 진행했으며 스트라스필드 지역에 대한 상식을 온라인 Q&A로 진행, 참가자 및 온라인 상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지난 1997년 워킹홀리데이 메이커로 호주에 온 김 후보는 JMC 아카데미(디지털 멀티미디어), 시드니대학교(Plan and Deliver Memorable Presentations) 및 UCS University of California(신학)에서 학업을 마쳤으며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Leadership Principle 과정을 이수했다. 이후 부동산 에이전트로 일하고 있는 김 후보는 스트라스필드에서만 15년여 활동하며 수차례에 걸쳐 최다 판매-최고 에이전트 상을 수상했다.

이번 선거 공약으로 김 후보는 ‘3R 정책’으로 ‘Reduction of Emission-Reduction of Foods Waste-Restoration of Healthy Lifestyle’를 강조하고 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바네사 김 1).jpg (File Size:105.0KB/Download:2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243 호주 한국문화원, ‘Good Food & Wine Show 2014’ 참가 호주한국신문 14.07.03.
242 호주 한인회, ‘문화 예술의 전당’ 순조로운 진행 기원 호주한국신문 14.07.03.
241 호주 ‘코윈’ 호주지회, ‘건강’ 주제의 정기 세미나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7.03.
240 호주 “한인 동포를 비롯한 은행 고객들에게 감사...” 호주한국신문 14.07.03.
239 호주 6월 마지막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4.1%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7.03.
238 호주 시드니, 새 아파트 수요 높아... 주택시장 활기 입증 호주한국신문 14.07.03.
237 호주 호주인들, 수명 길어진 반면 만성질환도 많아 호주한국신문 14.06.26.
236 호주 ISIS는 어떤 세력인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235 호주 서방국가들, 아랍계 자국민의 ISIS 합류로 ‘골치’ 호주한국신문 14.06.26.
234 호주 항우울제 등 신경치료제 복용 아동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233 호주 이집트 법원, 호주인 기자 등에 징역 7년형 선고 호주한국신문 14.06.26.
232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231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230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229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228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227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226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225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224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