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liveable suburbs 1).jpg

유닛을 찾는 예비 구매자들에게 있어 시드니 남부 피크허스트(Peakhurst)는 가격 적합성(affordability. 증간 가격 75만1천 달러) 및 거주 편의성(liveability)을 갖춘 지역 중 하나로 추천된다. 사진은 매물로 나온 피크허스트의 신축 타운하우스. 사진 : Homely

 

‘PRD report’... 광역시드니는 Como-Peakhurst-Jannali-Cromer 등 꼽혀

저렴한 중간 주택가격-임대수익률 및 범죄율-실업률-제반 편의시설 등 고려

 

저렴한 주택가격과 임대수익률, 그리고 제반 편의시설을 고려했을 때 호주 각 주 도시별로 ‘살기 좋은 지역’(suburb)을 확인해볼 수 있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동산 회사 PRD가 최근 내놓은 ‘PRD Affordable and Liveable Property Guide’는 주택가격 경제성과 거주 편의성을 추구하는 주택구입자 및 투자자들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PRD의 이번 보고서는 시드니와 멜번(Melbourne), 브리즈번(Brisbane)의 경우 도심 상업지구(Central Business Dictrict) 반경 20km 이내, 호바트(Hobart)는 CBD 10km 이내 지역(suburb)을 확인한 것이다.

아울러 평가 기준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간 주택가격, 적절한 임대수익률, 각 지역에서 진행될 향후 프로젝트 및 기반시설 개발을 감안한 높은 부동산 예상 가치와 함께 낮은 범죄율, 주(State) 평균과 같거나 낮은 실업률, 학교, 대중교통망, 쇼핑센터, 녹지 공간, 의료 서비스 등 거주 편의성을 고려했다.

PRD의 선임연구원인 디아스와티 마르디아스모(Diaswati Mardiasmo) 박사는 이번 보고서에 대해 “단지 주택가격이 저렴한 것만이 아니라 대중교통, 각종 편의시설, 기타 필요한 것이 두루 서비스 되고 있는 지역을 선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마르디아스모 박사는 이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주택가격 경제성 및 편의성이 높은 지역을 찾아내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그럼에도 이런 조건에 부합하는 지역들이 있다.

 

■ 시드니

시드니의 경우 ‘affordability’ 및 ‘liveability’ 조건을 두루 가진 교외 지역은 CBD에서 15km 이상 거리의 남부 지역(region)에 자리한 서버브였다.

다만 팬데믹 기간 중 주택가격이 가장 빠르게 치솟은 지역 중 하나인 노던비치(northern beaches)의 크로머(Cromer)는 예외였다. PRD 자료에 따르면 이 지역(suburb)의 중간 주택가격(unit 기준)은 81만2,500달러로, 아파트 구매자를 위해 선정된 3개 지역 가운데서는 가장 높았다. 크로머 외 인근의 피크허스트(Peakhurst)가 75만1천 달러, 남쪽의 모트데일(Mortdale)은 65만7,250달러였다.

피크허스트는 유닛뿐 아니라 독립형 주택(house)을 원하는 이들에게도 최고의 선택 중 하나로 꼽혔다. 중간 가격은 142만6,500달러에 달했으며, 피크허스트와 함께 선정된 시드니 남부 코모(Como)와 자날리(Jannali)의 단독주택 중간 가격은 각각 145만 달러, 135만3,500달러였다.

이들 지역은 비록 주택가격이 저렴하다고 할 수 없으나 광역시드니 각 지역에 비하면 낮은 편으로, 지난 해 초 시드니 전 지역에서 100만 달러 미만 가격으로 판매된 유닛 가운데 약 8%만이 60만 달러 대에서 매매됐다.

마르디아스모 박사는 지난 5월 보고서 이후 100만 달러에서 150만 달러 사이의 가격으로 매매되는 주택 비율도 30%에서 19.6%로 줄었다고 말했다. 그만큼 시드니 전 지역에서 주택가격이 크게 상승한 것이다.

 

■ 멜번

광역멜번에서는 도심 북부 및 서부에 자리한 지역(suburb)이 꼽혔다. CBD에서 북쪽으로 약 10km 거리의 해드필드(Hadfield)는 아파트 중간 가격이 60만 달러 선으로, 멜번에서 ‘affordability and liveability’ 조건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 지역 가운데서는 가격이 가장 높았다.

지난해 3월, 팬데믹이 선포된 이후 수차례에 걸쳐 도시 봉쇄 조치(Lockdown)가 취해진 멜번의 경우 중상위 부동산 가격이 상승했으며 고급 주택에 대한 프리미엄 가격이 더해져 도심 반영 20km 이내의 각 지역에서 올해 거래된 주택의 4분의 3이 80만 달러 이상에 매매됐다.

 

부동산(liveable suburbs 2).jpg

멜번 도심에서 남서쪽으로 약 20km 거리에 자리한 포인트 쿡(Point Cook)의 단독주택 중간 가격은 70만2천 달러로, 예비 구매자나 투자자들이 구매할 만한 지역 중 상위에 꼽혔다. 사진은 포인트 쿡에 개발되는 새 주거단지. 사진 : rumah.com.au

   

마르디아스모 박사는 단독주택을 원하는 이들에게 아직은 가격이 저렴하며(affordability) 거주 적합성이 좋은(liveability) 지역으로 그린스보로(Greensborough. 중간 가격 97만 달러), 케일러 이스트(Keilor East. 92만 달러), 포인트쿡(Point Cook. 70만2천 달러)을 꼽았다. 또 유닛을 찾는 이들에게는 현재 중간 가격이 44만6천 달러 수준인 트루가니나(Truganina. 멜번 도심에서 서쪽으로 약 20km 거리)를 권했으며, 그린베일(Greenvale. 유닛 중간 가격 59만 달러)도 유닛 구매자들이 거주할 만한 지역에 포함됐다.

 

■ 브리즈번

PRD 조사에서 브리즈번(Brisbane, Queensland)은 중저예산 구매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주택 비율이 가장 많았다. 올해 광역브리즈번의 각 지역에서 거래된 주택의 4분의 1 이상이 70만 달러 미만이었다. 반면 고급 주택지역의 경우에는 높은 가격을 지불해야 한다.

시드니나 멜번에 비해 주택가격은 낮은 게 사실이지만 브리즈번의 많은 지역(suburb)들이 거주적합성이나 부동산 투자 수익, 향후 프로젝트 개발 계획 측면 등 이번 조사 기준에는 미흡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PRD가 꼽은 최고의 선택은 버크데일(Birkdale)과 옥슬리(Oxley)와 함께 도심 북쪽에 자리한 지역이었다.

마르디아스모 박사는 “주택가격이 저렴한 곳을 찾을 때 많은 이들은 브리즈번 북부를 생각하지만 옥슬리는 남쪽에 있으며 버크데일은 동쪽”이라며 “이들 두 지역은 예비 구매자들이 간과하는 곳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버크데일(중간 가격 72만 달러)과 옥슬리(69만5천 달러)는 북부의 브랙켄 릿지(Bracken Ridge. 62만4천 달러)에 비해 조금은 높은 가격으로, 단독주택을 찾는 이들에게 세 번째 선택지로 꼽혔다.

아파트를 찾은 이들에게는 북부의 맥도월(McDowall), 고든 파크(Gordon Park), 케드론(Kedron)이 추천됐다. 이들 세 지역의 유닛 중간 가격은 45만 달러 미만으로, 올해 이 지역에서 거래된 아파트는 광역브리즈번에서 매매된 전체 유닛의 45%에 달했다.

 

■ 호바트

타스마니아 주의 호바트(Hobart, Tasmania))은 최근 수년 사이 주택가격이 크게 상승한 도시이다. 현재 호바트에서 살기 좋은 지역(suburb)으로 꼽히는 곳의 주택 매매에는 프리미엄 비용이 더해져 상당히 높은 편이다.

마르디아스모 박사는 “호바트의 주택가격이 저렴하다는 인식은 바뀌었고, 주택 매매도 기록적이라 할 정도”라며 “이처럼 높아진 가격은 공급 부족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liveable suburbs 3).jpg

부동산(liveable suburbs 3) / 호바트 도심 북쪽의 베리데일(Berriedale)의 유닛 중간 가격은 다른 지역에 비해 저렴한 편으로, 거주 편의성은 물론 향후 개발계획 측면에서 상위 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사진은 베리데일(Berriedale)의 한 주택가. 사진 : Real Estate

   

이런 가운데 PRD는 호바트 도심에서 자동차로 약 20분 거리에 자리한 오크다운스(Oakdowns)을 지목하며, 단독주택은 물론 유닛을 찾는 이들에게 가장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지역의 중간 단독주택 가격은 59만5천 달러, 유닛은 55만 달러이다.

이외 단독주택을 원하는 이들에게 추천되는 지역으로 호라(Howrah. 중간 가격 70만5천 달러), 베리데일(Berriedale. 48만 달러)가 있으며, 무나(Moonah. 48만 달러)와 글레노키(Glenorchy. 41만 달러)는 유닛을 찾는 이들에게 추천됐다.

 

■ 각 도시의 ‘Affordability’ 및 ‘Liveability’ 지역-House

(suburb : 중간 주택가격 / 임대수익률 / 향후 프로젝트)

▲ Sydney

-Como : $1,450,000 / 2.7% / $11.5M

-Peakhurst : $1,426,500 / 2.8% / $31.5M

-Jannali : $1,353,500 / 2.7% / $11.5M

▲ Melbourne

-Point Cook : $702,000 / 3.2% / $25.8M

-Keilor East : $920,000 / 3.2% / $38.4M

-Greensborough : $970,000 / 2.6% / $22.2M

▲ Brisbane

-Bracken Ridge : $624,000 / 3.9% / $30.2M

-Oxley : $695,000 / 3.8% / $6.2M

-Birkdale : $720,000 / 3.8% / $8.5M

▲ Hobart

-Howrah : $705,000 / 3.9% / $5.1M

-Oakdowns : $595,000 / 3.9% / $6.0M

-Berriedale : $480,000 / 4.2% / $208.7M

Source: PRD Affordable and Liveable Property Guides 2nd Half 2021.

 

■ 각 도시의 ‘Affordability’ 및 ‘Liveability’ 지역-Unit

(도시 / suburb : 중간 주택가격 / 임대수익률 / 향후 프로젝트)

▲ Sydney

-Cromer : $812,500 / 3.4% / $3.0M

-Peakhurst : $751,000 / 3.9% / $31.5M

-Mortdale : $657,250 / 4.3% / $4.5M

▲ Melbourne

-Truganina : $446,000 / 3.9% / $1.9B

-Greenvale : $590,000 / 5.8% / $9.5M

-Hadfield : $600,000 / 3.5% / $8.9M

▲ Brisbane

-McDowall : $423,000 / 5.4% / $33.9M

-Gordon Park : $440,000 / 5.6% / $3.0M

-Kedron : $449,000 / 5.6% / $11.7M

▲ Hobart

-Oakdowns : $550,000 / 5.3% / $6.0M

-Moonah : $480,000 / 5.3% / $1.8M

-Glenorchy : $410,000 / 5.3% / $10.6M

Source: PRD Affordable and Liveable Property Guides 2nd Half 2021.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liveable suburbs 1).jpg (File Size:115.9KB/Download:48)
  2. 부동산(liveable suburbs 2).jpg (File Size:84.4KB/Download:28)
  3. 부동산(liveable suburbs 3).jpg (File Size:105.4KB/Download:2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151 호주 올해 연방선거의 새 바람 ‘teal’, ACDC의 ‘올해의 단어’에 선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150 호주 호주인들, “여행 계획에 시간 낭비하지 않는다”... 여행업, 빠르게 회복 중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149 호주 가계 생활비 부담? “초과시간 근무 보상으로 어느 정도 해결 가능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148 호주 호주 주택위기 지속... “2041년까지 100만 채의 커뮤니티 주택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147 호주 “이제는 생활비 상승으로 인해”... ‘tree-changer’들의 도시 탈출 ‘지속’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146 호주 호주에서 가장 오래된 공공건물, NSW 주 의회 의사당 200년의 이야기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145 호주 NSW 주 정부, 구직 사이트 ‘Seek’와 공조해 유학생 일자리 지원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144 호주 캔터베리 지역 예술가들이 모색한 ‘불확실성 시대에서 찾은 기쁨’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
6143 호주 저소득 계층-이민자-태평양 도서민들... 팬데믹 사태의 가장 큰 희생자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142 호주 시드니 시티, 2025년 중반까지 야외 테이블 설치, ‘무료 허용’ 방침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141 호주 NSW, ‘강압적 통제’를 ‘범죄’로 명시한 법안 통과... 정부관할 구역 중 최초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140 호주 폐경기 여성의 다양한 증상 치료 위한 NSW 주 의료 허브 개설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139 호주 호주 동부 지역을 휩쓴 엄청난 규모의 강우량... 비가 많이 내리는 이유는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138 호주 호주 각 지역에서 확산되는 COVID-19 감염 파동... 우려감, 다시 커지고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137 호주 연방 보건부, ‘화이자’ 사의 새 ‘오미크론’ 전용 COVID 부스터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136 호주 호주 실업률, 1974년 이후 최저치로 하락했지만... 내년도, 다시 상승 전망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135 호주 부동산 시장 침체 속,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주택가격 하락한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134 호주 호주 최초로 NSW 주 하이스쿨에 ‘사이버 보안’ 교육 과정 개설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133 호주 퀸즐랜드 주, 정부 소유의 ‘Driver Reviver’ 사이트, 폐쇄 방침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22.11.24.
6132 호주 호주인 평균수명 84.32세로 늘어나, 모나코-일본 이어 전 세계 세 번째 장수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131 호주 아직은 5차 접종 ‘권장’ 않는다지만... “원하는 이들에게 추가보호 제공돼야”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130 호주 ‘Divorce Capital’은 QLD... 팬데믹 기간 이혼 급증으로 전체 비율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129 호주 노동당-녹생당 반대 불구하고 NSW 연립정부의 ‘인지세 법안’, 의회 승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128 호주 남부호주 지방 지역 거주민, 식료품 지원단체 ‘Foodbanks’ 이용 급증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127 호주 QLD 아동 대상의 새 모델링, “비만 감소 없을 경우 기대수명 5년 단축”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126 호주 내년 호주 경제 불황? “실업률만으로 경기침체 전망, 합리적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125 호주 각 지역사회 여성 권익 단체, NSW 정부의 지원기금 신청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124 호주 빅토리아 주의 한 학부모, ‘청소년 전자담배 제재’ 정치권에 호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7.
6123 호주 NSW 주 선거 앞두고 자유-국민 연립, 노동당과의 지지도 격차 좁혀 호주한국신문 22.11.10.
6122 호주 시드니 서부 지역의 고학력 거주인구 비율 빠르게 증가... 파라마타, 46%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0.
6121 호주 WA 최고의 오프로드 트랙 중 하나인 ‘Canning Stock Route’, 여행자 수용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0.
6120 호주 “네거티브 기어링 등으로 향후 10년 내 200억 달러 정부 예산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0.
6119 호주 ‘청년 금융 전략 보고서’... 대다수 호주 젊은이들, 재정적 어려움 직면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0.
6118 호주 RBA 필립 로우 총재, “인플레이션 전개 상황 ‘주의 깊게’ 살펴볼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0.
6117 호주 COVID 하위 변이들, 호주 지배 바이러스로 등장... 새 감염 파동 ‘위험’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0.
6116 호주 생활비 압박... “몸이 아픈 근로자들, 계속해 노동 현장으로 밀어넣는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0.
6115 호주 NSW 지방 지역 주택가격, 2020년 초 이래 처음으로 하락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0.
6114 호주 주택가격 경제성 위기 속, 50만 달러 미만으로 ‘내집 마련’ 가능한 곳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0.
6113 호주 ‘문제성 도박중독자’ 게이밍룸 출입 제한하는 안면인식 장치 설치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1.10.
6112 호주 Travel and COVID-19... 2000년대 행복했던 여행의 기억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
6111 호주 노동당 정부, ‘Secure Jobs-Better Pay’ 내용 담은 새 고용관계 법안 발의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
6110 호주 NSW 주 정치인 절반 이상, 최소 2채 이상 주택 소유... 12채 소유 MP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
6109 호주 “Boomers, Millennials 보다 주택소유 가능성 3배 높다”... 인구조사 자료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
6108 호주 NAPLAN 결과... 약 15%의 9학년 남학생 ‘읽기’ 성취도, 기준에 미달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
6107 호주 환경-사회운동 활동가들은 왜 인류의 귀중한 예술 작품에 음식물을 던지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
6106 호주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종식? QLD, ‘COVID 공공보건 비상사태’ 종료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
6105 호주 연료 가격의 일부 하락 불구, 신규 주택 및 가스 사용료가 물가상승 주도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
6104 호주 RBA, 7개월 연속 이자율 인상 결정, 높은 물가상승에도 상승폭은 25bp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
6103 호주 퀸즐랜드 주 가정 ‘홈스쿨링 선택’ 증가... 올해 등록 건수 69%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
6102 호주 NSW 주, 11월 1일부터 ‘1회용 플라스틱 제품 사용’ 전면 금지 file 호주한국신문 22.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