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미식가 도시 1).jpg

호주 식민시대의 유산이 풍성하게 남아 있는 타스마니아(Tasmania) 북부 도시 론세스톤(Launceston)은 역사 도시일 뿐 아니라 주변 지역의 농산물이 기반이 된 음식 문화로 여행자들을 불러들이고 있다. 이 도시가 최근 유네스코(UNESCO)의 ‘창조도시네트워크’(Creative Cities Network) 계획에 따라 음식문화를 선도하는 ‘City of Gastronomy’로 선정됐다. 사진 : Facebook / Launceston Gastronomy

 

전 세계 36개 'City of Gastronomy' 중 하나, 벤디고에 이어 두 번째

 

타스마니아(Tasmania) 주 제2의 도시인 론세스톤(Launceston)은 호주 식민 시대의 유산이 풍성하게 남아 있는 유서 깊은 도시이며 타스마니아 북부 관광의 중심이기도 하다.

다양한 문화유산뿐 아니라 근래 들어 빼어난 음식문화로 식도락가들의 발길을 잡고 있는 이 도시가 최근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UNESCO)의 ‘창조도시 네트워크’(Creative Cities Network) 계획에 따라 식문화를 선도하는 ‘City of Gastronomy’로 선정됐다는 소식이다.

론세스톤이 네트워크 계획에 의해 미식가 도시로 선정된 것은 이 지역의 수백 여 농산물 생산지, 수십 개에 이르는 바인야드(vineyard)와 와이너이(winery), 오랜 제분소 역사를 가진 이 지역이 세계 최고의 식도락 목적지 중 하나로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론세스톤에서 2개의 레스토랑 및 발효식품 회사 ‘Fermentation Tasmania’를 설립, 운영하는 킴 시그람(Kim Seagram) 회장은 “론세스톤이 유네스코로부터 큰 지지를 받았다”면서 “사람들이 더 자부심을 갖고 되고 이곳에서 일하는 우리 모두가 스스로를 더 자랑스러워 할 수 있게 됐으며, 모든 이들이 우리 지역을 주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City of Gastronomy’,

그 영예를 얻으려면

 

‘미식’이라는 말로 이해되는 ‘gastronomy’는 음식과 문화의 관계이며 또는 많은 론세스톤 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음식과 사람의 관계이기도 하다.

‘City of Gastronomy’의 영예를 얻기 위해서는 유네스코에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창조도시 네트워크’는 유네스코가 문학 음악 민속공예 디자인 영화 미디어 음식 등 7개 분야에서 뛰어난 창의성으로 인류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전 세계 도시들 가운데 엄격한 심사를 통해 선정한 도시를 말한다.

이는 2004년 시작된 프로그램으로 7개 분야에서 승인된 도시 간의 협력을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 장려를 목표로 한다.

이 7개 분야 중 음식 부문에서는 현재까지 전 세계 36개 도시가 ‘City of Gastronomy’ 칭호를 얻었다. 호주에서는 지난 2019년 빅토리아 주 벤디고(Bendigo, Victoria)가 가장 먼저 ‘미식가 도시’의 영예를 얻었다.

‘City of Gastronomy’로 인정받으려면 ▲활기찬 미식 커뮤니티, ▲전통 요리에 들어가는 토종 식재료, ▲전통 식재료 마켓 및 식품 산업, ▲미식가 대상의 관련 페스티벌 및 음식 관련 경연대회 전통, ▲환경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지역 특산 식재료 홍보 등 유네스코가 선정한 여러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종합(미식가 도시 2).jpg

론세스톤이 내세우는 특별한 음식이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론세스톤에는 지역 목장과 농장에서 생산된 식재료가 식탁의 접시에 올려지는 식재료 생산-유통-요리로 이어지는 음식문화가 있다는 게 관계자들의 말이다. 사진은 매 주말 열리는 론세스톤 하베스트 마켓’(Launceston Harvest Market). 사진 : Caroline Williamson

   

이를 추진한 ‘Launceston Gastronomy board’의 앤드류 피트(Andrew Pitt)씨는 “근래 들어 크게 성장한 론세스톤의 음식문화를 기반으로 유네스코에 ‘City of Gastronomy’를 신청하기로 했다”면서 “론세스톤 규모의 도시에서 우리는 우리 지역의 강점을 부각시키기로 했으며, 그것은 바로 음식이었다”고 말했다.

 

론세스톤이 내세우는

요리는 딱히 없지만...

 

호주의 음식은 영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전 세계인들에게 보편적으로 인정받을 만한 고유 음식을 꼽기가 어려운 게 사실이다. 피트씨도 이런 점은 알고 있는 듯하다. 그는 론세스톤의 내놓을 만한 요리에 대해 직접적인 답변은 미룬 채 “이 도시에는 지역 목장(또는 농장)에서 식탁의 접시에 음식이 올려지는 ‘음식’ 전반의 문화가 있다”고 말한다.

목장이나 농장에서 식재료가 생산되고 소매 판매를 거치는 론세스톤만의 식료품 시스템과 공급망 전체를 포괄하는 식문화가 ‘City of Gastronomy’의 영광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식도락 도시로서의 영광에 간한) 가장 큰 측면은 식량불안이나 식량에 대한 어려운 접근성, 영양부족, 환경 지속성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창의적이고 협력적 방법으로 생각하는 다른 도시들과 연대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론세스톤은 팬데믹 이전까지만 해도 매년 최대 3만 여 명을 불러들이는 북부 타스마니아 최대 음식 및 와인 축제 ‘Festivale’로 유명한 곳이다. 매주 토요일에는 상당 규모로 지역 농장들이 참여하는 ‘Harvest’라는 이름의 전통 농산물 시장이 열리고 있다. 또한 타스마니아대학교 론세스톤 캠퍼스 내 ‘인버레스크 사이트’(Inveresk site)에는 원주민 음식 정원이 개발될 계획이다.

 

‘City of Gastronomy’선정,

향후 기대되는 것은

 

킴 시그람 회장은 이번 미식가 도시 선정과 관련, “그 영예가 주는 브랜딩을 통해 더 많은 미식가를 끌어들이고, 이로 인해 지역 농축산물 생산자들이 새로운 글로벌 시장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우리는 이제 전 세계 36개의 미식가 도시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농산물을 거래하면서 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상호 필요 부분을 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그녀의 설명이다.

 

종합(미식가 도시 3).jpg

주말 이벤트에 수만 명의 방문자를 끌어들이는 론세스톤의 음식축제 'Festivale'은 이 도시의 식문화를 잘 보여준다. 사진 : Facebook / festivaletas

   

로렌 번(Lauren Byrne)과 마이클 레이필드(Michael Layfield)씨는 론세스톤에서 약 30km 거리에 있는 농장에서 채소를 재배하는 농부이다. 주말이면 이들은 ‘론세스톤 하베스트 마켓’(Launceston Harvest Market)에 나가 직접 재배한 채소를 판매한다.

번씨는 론세스톤이 유네스코로부터 ‘City of Gastronomy’로 선정됐다는 소식에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라는 반응을 보이면서 “우리는 채소를 재배하기에 적합한 기후를 찾아 북부 타스마니아로 이주했다”고 말했다.

이들 부부는 이 농장에서 차가운 날씨에서 좋은 식재료로 자라는 양배추, 브로콜리, 케일 등의 달콤한 야채류를 생산하고 있다. 번씨는 “또한 여름의 더운 날씨에는 멜론 등을 재배하면서 지속적으로 좋은 먹거리를 생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녀는 ‘음식은 우리 모두를 하나 되게 한다’(food connects us all)는 아이디어로 더 많은 이들을 론세스톤으로 불러들이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어 번씨는 “음식은 우리 모두의 공통 소재이며 타스마니아에서 이처럼 환상적인 농산물, 씨앗에서 접시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열정적인 생산자가 있다는 것은 이 도시의 행운”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미식가 도시 1).jpg (File Size:134.3KB/Download:33)
  2. 종합(미식가 도시 2).jpg (File Size:99.5KB/Download:41)
  3. 종합(미식가 도시 3).jpg (File Size:177.4KB/Download:3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951 호주 ‘사커루’ 핵심 아론 무이, 심각한 무릎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3.
3950 호주 기대수명 이상 장수하고 싶다면... “테니스를 해 보라”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3.
394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경매 매물 규모, 올 들어 두 번째... file 호주한국신문 18.12.13.
3948 뉴질랜드 뉴질랜드 여성 3명 중 1명, 파트너의 폭력에 고통 받고 있어 NZ코리아포.. 18.12.13.
3947 뉴질랜드 내년도 오클랜드 주택 시장, 갑작스럽게 하락하지는 않겠지만... NZ코리아포.. 18.12.13.
3946 뉴질랜드 말뚝 던져 키아 죽인 공사장 인부, 최대 2년 징역형에 처해질 수도… NZ코리아포.. 18.12.13.
3945 뉴질랜드 시중 판매 썬 크림, 절반 이상 라벨 표시 기능 하지 못해 NZ코리아포.. 18.12.13.
3944 뉴질랜드 “우리 같이 놀아요” 바다에서 수영 중이던 여성에게 접근해온 범고래들 NZ코리아포.. 18.12.11.
3943 뉴질랜드 하늘에서 떨어지는 정체 모를 물질, 매일 차닦기 고역 치르는 마을 주민들 NZ코리아포.. 18.12.11.
3942 뉴질랜드 경찰 긴급 출동, 새끼 오리들 안전 위해 교통 통제 NZ코리아포.. 18.12.11.
3941 뉴질랜드 초등학교부터 외국어 교육 법안, 국회의원들 지지 NZ코리아포.. 18.12.11.
3940 뉴질랜드 소비자 NZ이 뽑은 2018 "Bad Taste Food Awards" NZ코리아포.. 18.12.10.
3939 뉴질랜드 남섬의 한 캠핑장, 6천 달러 이상의 현금 뿌려져... NZ코리아포.. 18.12.10.
3938 호주 호주의 ‘제2 공용어’ 만다린(중국 표준어) 톱뉴스 18.12.09.
3937 호주 수업 거부 호주 초중고생 수 천명 기후변화 대책 촉구시위​ 톱뉴스 18.12.09.
3936 호주 ABC 사장 해고 사태 2라운드… 상원청문회 개최 톱뉴스 18.12.09.
3935 뉴질랜드 노스랜드 해변에 수십마리의 돌고래 해안 접근, 좌초 위험 NZ코리아포.. 18.12.07.
3934 뉴질랜드 사이버 사기나 스캠 사건 급증, 피해 상당히 많아 NZ코리아포.. 18.12.07.
3933 호주 이민자 증가-도시 혼잡 우려에서도 대부분 ‘다문화’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3932 뉴질랜드 3백명의 시위대, 국회 앞에서 차별적 낙태 허용 요구 NZ코리아포.. 18.12.06.
3931 뉴질랜드 지금 여름 맞아? 루아페후 산에 내린 눈 NZ코리아포.. 18.12.06.
3930 호주 시드니 부동산 시장 침체에 경제 성장률도 ‘최약세’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3929 호주 Rental Affordability Index- 싱글맘 9만여 명, ‘임대 스트레스’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3928 호주 Rental Affordability Index- 시드니, 소득의 27% 임대료 지출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3927 호주 영화나 TV 드라마는 배우들만 주목 받는 게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3926 호주 지나친 크리스마스 장식, 이웃과 마찰 불러일으킬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3925 호주 호주, 산불-폭풍-홍수 등 자연재해 피해 상위 10개국에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3924 호주 NSW 선거관리위원회, 단기 직원 모집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3923 호주 올해 ‘Sydney NYE’ 불꽃놀이, 보다 화려한 색깔 삽입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3922 호주 스트라스필드 ‘크리스마스 캐롤’, 8일(토) 브레싱턴 공원서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3921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2019년 말 ‘안정’ 이후 ‘상승세’로 돌아설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3920 호주 부동산 개발회사 ‘크라운그룹’, 부티크 호텔 문 열어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3919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부동산 시장 둔화 불구, 일부 지역 경매 낙찰가 지속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8.12.06.
3918 뉴질랜드 뉴칼레도니아에서 7.6 지진 발생 "NZ 당국 쓰나미 가능성 없다" NZ코리아포.. 18.12.05.
3917 뉴질랜드 5일째 행방 묘연한 영국 출신 20대 배낭여행객 NZ코리아포.. 18.12.05.
3916 뉴질랜드 NZ연간 무역 규모 “사상 처음 1600억불 넘었다” NZ코리아포.. 18.12.05.
3915 뉴질랜드 카이코우라 “2019년 Airbnb의 유망 여행지로 선정돼” NZ코리아포.. 18.12.05.
3914 뉴질랜드 유리섬유 대신 양모로 ‘서핑 보드’ 만드는 NZ사업가들 NZ코리아포.. 18.12.05.
3913 뉴질랜드 호주 시드니 주택 가격, 한 해 동안 9.5% 하락, 뉴질랜드는 ? NZ코리아포.. 18.12.05.
3912 뉴질랜드 의사 부족, 야간에는 젊은 의사들이 응급실 지키는 경우 많아 NZ코리아포.. 18.12.05.
3911 뉴질랜드 마약 운반하던 브라질 출신 20대 여성, 6년 이상 징역형에 처해져 NZ코리아포.. 18.12.05.
3910 뉴질랜드 ‘TripAdvisor’ “오클랜드의 ‘The Grove’, 세계 유명 레스토랑으로 선정해” NZ코리아포.. 18.12.05.
3909 뉴질랜드 문재인 대통령 뉴질랜드 국빈 방문 일정 마쳐 NZ코리아포.. 18.12.04.
3908 뉴질랜드 뉴질랜드 유아, 권장 야채류 섭취 부족 NZ코리아포.. 18.12.04.
3907 호주 G20 회의 끝나도 달러-엔 '와일드카드'…호주 달러화 타격 예상​ 톱뉴스 18.12.03.
3906 호주 ‘호주 떠버리’ 앤소니 먼딘의 96초 대국민 사기극(?)…제프 혼에 1R KO패 톱뉴스 18.12.03.
3905 호주 시드니 사립학교, 재학생 모발폰 교실 반입 금지 조치 확산 톱뉴스 18.12.03.
3904 호주 시드니, 한달치 비가 하루에...."100년 만의 사건" 톱뉴스 18.12.03.
3903 뉴질랜드 하버 브리지에서 뛰어내린 남자, 운 좋게 살아 남아 NZ코리아포.. 18.11.30.
3902 뉴질랜드 오클랜드 “낙태 증가한 이유 중에는 주택난도…” NZ코리아포.. 18.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