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port Canada Twitter

캐나다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점점 확산하는 가운데 아프리카 3개국의 여행을 추가로 제한하고 코로나19 부스터샷에 대한 지침을 구하고 있다.

 

쟝-이브 듀클로(Jean-Yves Duclos) 캐나다 보건부 장관은 지난 30일 기자회견에서 지난 2주 내에 나이지리아, 말라위, 이집트를 방문한 경우 캐나다에 입국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 26일 캐나다가 금지한 7개의 아프리카 국가인 남아프리카공화국, 모잠비크, 나미비아, 짐바브웨, 보츠와나, 레소토, 에스와티니에 이은 추가 조치이다. 

 

캐나다인과 영주권자는 물론 지난 2주간 해당 국가들을 거쳐 입국한 모든 사람은 공항에서 검사를 받고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격리해야 하며, 백신 접종을 마친 캐나다인과 영주권자에게도 똑같은 검사 요건이 적용된다.

 

오마르 알하브라(Omar Alghabra) 캐나다 국토부 장관은 10개국에서 시행된 코로나19 검사는 승인되지 않기 때문에 캐나다에 입국하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 외에 다른 나라에서 유효한 검사 결과를 제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미국 이외의 외국에서 캐나다로 들어오는 모든 사람에 대한 코로나19 검사 요구 사항도 확대되지만,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여행객에 대한 규정인 14일 자가 격리 및 8일째에 자가 코로나19 검사는 계속 유지된다.

 

듀클로 장관은 오미크론 변이로부터 오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국경에서 신속한 조처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캐나다 공중보건국(PHAC) 부책임자인 하워드 느주(Howard Njoo) 박사는 국경 조치를 통해 캐나다가 전염성, 질병의 심각성 및 백신 효율성에 대한 영향 측면에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번 조치는 단지 바이러스 확산을 늦추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캐나다 국립항공협의회(NACC)는 연방정부가 발표한 새로운 조치를 이행하기 위해 빠르게 움직일 것이라면서도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로 인해 항공 분야가 직면한 경제적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마이크 맥네이(Mike McNaney) 캐나다 국립항공협의회 회장 겸 최고 경영자(CEO)는 30일 서명을 통해 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새로운 조치가 조정될 것으로 예상되며 여행 및 관광 분야의 재개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았다.

 

백신 부스터샷관련 지침 요청
캐나다 전역에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 국립접종자문위원회(NACI)에 새로운 오미크론 변이와 관련하여 백신 부스터샷에 대한 국가 표준, 태도 및 조치를 개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신속하게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캐나다 보건부는 최근 18세 이상의 모든 성인을 대상으로 화이자와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을 승인했지만, 국립접종자문위원회는 노인, 의료 종사자, 장기 요양원 거주자 및 기타 고위험군에만 추가적인 부스터샷을 권하고 있다.

 

매니토바주에서는 18세 이상을 위한 부스터샷이 승인됐지만, 온타리오주는 70세 이상, 의료 종사자, 간병인, 원주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에게만 승인했다.

 

퀘벡주 역시 최근 70세 이상 노인들에 대한 부스터샷 접종 자격을 확대했으며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유콘 준주는 50세 이상 노인들도 이용할 수 승인 하고 있다.

 

몇몇 백신 제조사들은 이미 빠르게 퍼지는 변이 바이러스 억제를 목표로 자사의 약을 더욱 강화하거나 바꾸는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백신과 항체 칵테일에 대한 변이체의 영향을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고 화이자는 오미크론 변이에 맞는 새로운 백신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반면 모더나는 이 새로운 변종에 대항하기 위한 보조제를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으며, 노바백스는 이미 백신 개발에 착수했다고 언급했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FFNyzzDXwAI0aKL-696x392.jpg (File Size:37.4KB/Download:25)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877 미국 연방 법원, 의사당 난입사건 트럼프 범죄 가능성 판단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3.
7876 미국 플로리다, 팬데믹으로 없어진 128만 개 일자리 모두 되찾아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3.
7875 미국 바이든, '억만장자세' 등 2023 회계연도 예산안 공개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3.
7874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세계 한글학교협의회와 찾동 화상간담회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7873 캐나다 올 1분기에만 캐나다 영주권 결정 14만 700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7872 캐나다 BC주도 엔데믹으로 갈 수 있을까?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7871 캐나다 캐나다 여권 갱신 절차 간소화 대상자 크게 확대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7870 캐나다 BC 전기료 4월부터 평균 1.4% 인하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7869 캐나다 H-마트 8호점 코퀴틀람 센터 지역에 3월 31일 영업 개시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7868 캐나다 4월 2일 밴쿠버무역관의 케이무브 네트워킹 데이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1.
7867 캐나다 한인회, 한국문화청소년사절단 발대식 개최 밴쿠버중앙일.. 22.03.31.
7866 캐나다 주말 3일간 코로나19 사망자 6명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7865 캐나다 BC주정부, 유급 병가 규정 단순화-강화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7864 캐나다 BC주정부, 관련 법 개정으로 주택 구매자 보호 강화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7863 미국 드샌티스에 도전하는 민주당 후보들...주지사 선거 승산은? file 코리아위클리.. 22.03.29.
7862 캐나다 여행객 대신 화물이 항공기 자리를 차지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7861 캐나다 ICBC 구제보조금 110달러 문자는 모두 사기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7860 캐나다 코퀴틀람 남성 27일 다운타운서 10대 여성 묻지마 폭행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7859 미국 플로리다 학년말 평가시험제 내년에 폐지... 시험은 더 빈번 file 코리아위클리.. 22.03.28.
7858 미국 플로리다, 직장내 '인종 언급' 방식 제한법 제정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2.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