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문재인 3).jpg

호주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의 호주 일정 첫날(13일), 한국산 자주포와 탄약운반 장갑차의 호주 도입 계약이 마무리됐다. 모리슨 총리와 문 대통령이 임석한 가운데 호주 국방부 국방물자 관리청(CASG) 토니 프레이저(Tont Frazer. 오른쪽) 부청장과 강은호 한국 방위사업청장이 계약서에 서명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문 대통령 방호 중 ‘방산 협력 양해각서 MOU-자주포 방산협력 계약’ 서명

 

호주 국방부가 한국과 10억 달러의 무기 계약을 마무리하면서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됐다. 지난 12월 12일(일), 호주 정부 초청으로 호주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다음날인 13일(월) 스콧 모리슨(Scott Morrison)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진 후 양국간 무기협력 계약서에 서명했다.

이날 서명은 양국 정상의 단독회담과 확대회담 이후 진행됐으며 호주 국빈 방문단 수행단으로 동행한 강은호 방위사업청장과 호주 국방부 국방물자 관리청인 ‘Capability Acquisition and Sustainment Group’(CASG) 토니 프레이저(Tont Frazer) 부청장이 K-9 자주포 30문, 15대의 탄약운반 장갑차 도입이 포함된 ‘한-호주 방위산업 양해각서 및 방산물자 협력 계약’에 서명했다. 이 서명에는 모리슨 총리 및 문 대통령이 임석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한화는 연방정부와 협력하여 멜번 남부에 자리한 도시 질롱(Geelong)에 장갑차 센터(Armoured Vehicle Centre)를 설립할 예정이다. 이는 현 모리슨 정부가 지난 2019년 연방 총선을 기해 처음 발표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 사업을 통해 정부는 최소 300개의 일자리를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계약과 관련, 호주 공영 ABC 방송은 “한화는 문 대통령의 방문이 호주 육군을 위한 300억 달러 규모의 보병전투차량 도입 계약에서 유리한 계기가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방송은 “정부 고위 관계자들은 문 대통령의 4일간의 호주 방문으로 호주가 전략적 접근에서 반아시아적이라는 중국 공산당의 선전을 불식시키고 역내 국가들에게 시기적절한 메시지를 줄 것으로 믿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2016년까지 주한 호주대사를 역임한 빌 패터슨(Bill Paterson) 전 대사는 “문 대통령이 부상하는 중국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관계를 강화하고자 호주를 방문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패터슨 전 대사는 “5년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고 또한 전염병 사태의 한 가운데서 문 대통령은 (호주 방문을 통해) 호주의 쿼드(Quad) 가입 및 AUKUS 협정에 대해 어느 정도 지지를 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이해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사실 그의 분석은 문 대통령이 호주 방문에서 주력한 것에서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이번 방문에서 모리슨 총리와 희토류, 리튬 등 호주가 보유한 핵심 자원들에 대한 공급망 협력에도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최근 중국 측의 수출 제한으로 발생한 ‘요소수 사태’에서 보듯 한국 주력 산업에서 핵심 품목의 도입선 다변화와 공급망 안정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은 180억 달러 상당의 철광석, 석탄, 천연가스 및 쇠고기를 포함해 250억 달러 이상의 상품과 서비스를 수입하는(2020년 기준) 호주의 네 번째 큰 교역 파트너이다.

한편 강은호 방위사업청장은 이날(13일) 캔버라 프레스센터에서의 미디어 브리핑에서 이번 국방무기 계약이 현재 진행 중인 한국산 장갑차 ‘레드백’(Redback) 도입 여부와 관련된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방위사업청장으로서야 당연히 한국이 사업을 수주하도록 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K-9 자주포 협력사업이 아주 좋은 모범적 사례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이어 “양국 간에 일종의 사고파는, 즉 바이앤셀러(buy and seller) 관계식의 일회성 관계가 아니라 양국이 서로 기술적 장점을 결합하고, 또 산업 협력 측면에서도 양국이 상호 윈윈하는 협력 관계를 K-9 자주포 사업을 통해서 구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 청장은 “그 과정에서 레드백 협력사업과 관련해서도 훨씬 더 신뢰가 깊어질 것이고, 또한 호주도 우리 측을 선정하는 것이 훨씬 더 국익에 맞다고 판단된다면 당연히 레드백을 선정할 것”이라며 “빅토리아 주, 질롱(Geelong)을 한국의 창원처럼 군수혁신도시로 발전시키는 데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문재인 3).jpg (File Size:87.2KB/Download:2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03 호주 “세월호 참사를 잊는 순간이 바로 제2의 참사입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3002 호주 “언어 학습은 가정에서 시작됩니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3001 호주 김봉현 주호주대사 빅토리아 주 공식 방문 호주한국신문 14.06.26.
3000 호주 조선시대 화가들의 작품, ‘현대’로 재탄생되다 호주한국신문 14.06.26.
2999 호주 “평화헌법 입법 취지와 진정성 유린 말라” 호주한국신문 14.06.26.
2998 호주 한국문화원, ‘한식요리 경연’ 시드니 예선 개최 호주한국신문 14.06.26.
2997 호주 연방 정부, 테러 방지 위해 새 여권 도입 호주한국신문 14.06.26.
2996 호주 불법 바이키 갱 ‘헬스엔젤스’ 조직원 습격당해 호주한국신문 14.06.26.
2995 호주 ‘초이스’(choice), 아이들 인기 간식 영양 평가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2994 호주 NSW 주 정부, 시드니 새 열차라인 계획 발표 호주한국신문 14.06.26.
2993 호주 주 정부의 부동산 매입 보상금, 현실성 떨어져 호주한국신문 14.06.26.
2992 호주 법원, 론 울프 바이키 갱 살해범에 징역 20년 구형 호주한국신문 14.06.26.
2991 호주 이집트 법원, 호주인 기자 등에 징역 7년형 선고 호주한국신문 14.06.26.
2990 호주 항우울제 등 신경치료제 복용 아동 크게 증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2989 호주 서방국가들, 아랍계 자국민의 ISIS 합류로 ‘골치’ 호주한국신문 14.06.26.
2988 호주 ISIS는 어떤 세력인가... 호주한국신문 14.06.26.
2987 호주 호주인들, 수명 길어진 반면 만성질환도 많아 호주한국신문 14.06.26.
2986 호주 시드니, 새 아파트 수요 높아... 주택시장 활기 입증 호주한국신문 14.07.03.
2985 호주 6월 마지막 주 부동산 경매 낙찰률 74.1%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7.03.
2984 호주 “한인 동포를 비롯한 은행 고객들에게 감사...” 호주한국신문 14.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