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가격상승 이유 1).jpg

세계적 전염병 사태에서도 호주 주택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을 이어간 것에 대해 경제 전문가들은 낮은 금리와 함께 양호한 가계 경제가 주요 요인이라고 풀이했다. 사진은 지난 달 경매에서 620만 달러에 낙찰된 발골라 헤이츠(Balgowlah Heights)의 해안가 주택. 이는 잠정가격에서 120만 달러가 더 높아진 것이다. 사진 : McGrath Manly

 

경제 전문가들, “주요 도시 봉쇄 불구하고 백신 가용성으로 시장 자신감 가져”

 

지난해 3월, 세계적 전염병 사태가 선포된 후 일시적으로 주춤했던 호주 부동산 시장이 올해 들어서는 지난 10년 사이 볼 수 없었던 강세를 이어갔다. 팬데믹(pandemic) 상황으로 인한 전반적인 경기침체 속에서 유독 주택가격이 크게 치솟은 이유는 무엇일까.

수년 전부터 이어진 기록적인 저금리, 주택 구입자들의 보다 수월해진 주택담보대출(mortgage)이 주택시장의 위축을 막는 데 도움이 되었지만 경제학자들은 백신이 나오면서 전염병 사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 때문이라는 의견을 보인다.

이달 첫 날, 부동산 컨설팅 사인 ‘코어로직’(CoreLogic)이 집계해 내놓은 11월 시드니 주택가격은 지난 1년 동안 25.8%나 높아졌으며, 11월 한 달에만 0.9% 상승했다. 멜번(Melbourne)은 연간 16.3%가 올랐으며 11월 한 달 사이의 상승폭은 0.6%였다. 호주 전국적으로 보면 지난 12개월 사이 22.2%가 높아졌다. 매월 평균 1.3%가 상승한 것이다.

지난달의 둔화된 상승률은 ‘델타’(Delta) 변이 바이러스로 인한 봉쇄 조치 동안 이미 크게 치솟은 가격에다 시장에 공급되는 매물이 증가함으로써 예비 구매자들 입장에서 더 많은 선택이 가능해진 때문으로 풀이된다.

호주 메이저 은행 중 하나인 웨스트팩(Westpac Bank)의 매튜 하산(Matthew Hassan) 선임연구원은 “세계적 전염병이 선포되었을 때는, 이 질병이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하기 어려워 주택가격은 완만하게 하락하는 현상을 보였다”며 “델타 변이 바이러스를 계기로 구매자들이 자신감을 갖게 된 것은 백신 가용성이었다”고 분석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코로나 바이러스 발병에 대처할 수 있고, 백신이 나오면서 COVID-19의 위험에서 보호받을 수 있다는 더 큰 확신이 있었다”는 설명이다.

하산 연구원은 자사가 ‘Melbourne Institute’와 공동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내용을 언급하면서 “소비자 신뢰가 델타 변이 발병 후에도 여전히 긍정적 영역에 있었고 특히 백신을 맞았거나 투여 받을 의사가 있는 이들 사이에서 신뢰가 강했다”고 말했다.

그는 소비자들의 이 같은 반응에 대해 “팬데믹 사태 선포로 충격에 빠졌지만 곧이어 전염병 사태를 낙관적 내지 일시적 혼란으로 보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풀이했다.

 

부동산(가격상승 이유 2).jpg

주택시장에 공급되는 매물이 늘어나면서 가격 상승은 둔화되는 조짐을 보인다. 전문가들은 올해(20% 이상 상승)와 달리 내년도 성장폭이 5%대에 머물 것으로 보고 있다. 사진은 멜번의 한 주택 경매 현장. Entourage Finance

   

이런 가운데, 팬데믹 사태에서 직장을 계속 유지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출이 줄어 더 많은 저축이 가능해졌고, 이를 주택구입이나 개조하는 데 기꺼이 소비했다는 게 하산 연구원의 설명이다.

ANZ 은행의 펠리시티 에메트(Felicity Emmett) 선임연구원은 “사상 최저의 낮은 기준금리가 주택시장을 주도한 주요 요인이지만 가계 대차대조표 또한 매우 양호한 상태”로 보았다. 에메트 연구원은 “저축률이 크게 증가했고 예금 액수도 늘었다”며 “제한된 지출 기회로 인해 각 가계 재정은 늘어났고, 이 자금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녀는 이미 크게 치솟은 주택가격으로 인해 주택구입 능력 문제가 발생했으며 지난해까지 이어진 정부의 인센티브를 이용하고자 주택 구매를 앞당긴 탓에 첫 주택 구입자 활동은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투자은행 ‘AMP 캐피털’의 수석 경제학자 셰인 올리버(Shane Oliver) 박사는 “예비 구매자들은 팬데믹 사태 초기, 불안감으로 주택 구매 결정을 미루었던 경험을 갖고 있다”며 “하지만 올해에는 바이러스 사태로 인한 봉쇄 조치를 낯설어하지 않았고, 낮은 이자율과 정부 지원 등 긍정적 요소도 구매자들을 부추켰다”고 설명했다. “사람들은 전염병 사태의 끝이 있을 것이라 확신했다”는 것이다.

올리버 박사는 이어 “여기에다 주택 소유자들이 팬데믹 사태의 개선을 기다렸다가 매물로 내놓기에 주택시장에 나오는 매물은 적었고, 예비 구매자들은 기꺼이 높은 가격을 지불했다”고 덧붙였다.

또 지난달부터 다소 누그러진 시장 흐름에 대해 그는 “매물이 많아지고 구매자들의 선택 폭이 넓어져 경쟁이 줄었다”며 “주말 경매 낙찰 비율은 하락했고, 가격은 여전히 오르고 있지만 그 상승 속도는 느려졌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호주 중앙은행이 팬데믹 시기에서의 경기부양을 완화함으로써 고정 모기지(mortgage) 금리는 높아졌고, 금융규제당국이 기준금리가 오르더라도 모기지를 통해 주택을 구입한 이들이 대출금을 상환할 수 있도록 대출 제공 최대 금액을 5%가량 줄인 것도 한 요인이라는 설명이다.

 

부동산(가격상승 이유 3).jpg

정부의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 움직임, 호주 경제 전반의 회복에 따라 주택시장도 지금까지와는 다른 양상을 보일 수도 있다. 사진은 낙찰이 결정된 시드니의 한 주택. 사진 : Real Estate

   

이어 올리버 박사는 “주택시장 둔화 조짐은 호주 경기가 좋아지고 있는 배경으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봉쇄 조치 해제와 함께 이동 제한이 거의 없어지면서 신용카드 지출이 늘어나는 등 소매 매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점을 배경으로 올리버 박사는 주택가격 상승세가 내년도 5%로 둔화된 후 2023년에는 5%~10가량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산 연구원도 주택가격이 안정되기 전 가격 오름세의 둔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하면서 “주택가격은 전반적인 경제 흐름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내년도 주택시장은 경기 확대, 특히 악화된 경제 여건에 대해 매우 다른 요소들로 반응할 것”이라고 예측하면서 “이제까지 주택시장은 금리 변동에 민감하고 팬데믹으로 인한 혼란에 덜 영향을 받았기에 앞서나갔다”고 진단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가격상승 이유 1).jpg (File Size:97.7KB/Download:12)
  2. 부동산(가격상승 이유 2).jpg (File Size:128.3KB/Download:15)
  3. 부동산(가격상승 이유 3).jpg (File Size:109.3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01 호주 QLD 주 ‘Whitehaven Beach’, ‘호주 최고 해변’ 꼽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200 호주 2017 세계 여성의 날- 여성권익 향상 방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9 호주 2017 세계 여성의 날- 호주인 남녀평등 의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8 호주 반테러 강화하는 호주, 미국식 안보전략 따라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7 호주 호주 경제 선도하는 시드니, 다른 국가와 비교하면...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6 호주 ATO, 일부 업종 대상 ‘현금경제와의 전쟁’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5 호주 OECD, 호주 경기침체-주택가격 하락 ‘경고’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4 호주 시드니 공항그룹, 유료 주차 매출만 연간 1억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3 호주 이중국적 테러리스트 시민권 박탈 법안, 효용성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2 호주 시드니 시티, 거리 예술로 도심 풍경 변화 모색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1 호주 공공주택 대기자 6만, ‘거주 불가’ 주택 1천500여 가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90 호주 호주 중앙은행, 기준금리 1.5% 동결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89 호주 서리힐 주택판매자, 부동산 시장 강세로 큰 이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9.
1188 호주 Top 10 best cycling trip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7 호주 시드니 3개 지역, 호주 전체 GDP 성장 24% 기여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6 호주 NSW 교육표준청, 12학년 필수 과목서 소설 및 시 제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5 호주 대학교 교내 성폭력 은폐, ‘솜방망이’ 처벌 논란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4 호주 관리자급 여성 늘어날수록 남녀 임금격차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3 호주 호주 대도시 소재 대학 학생 증가, 시드니는 예외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2 호주 “여성에 대한 폭력, 시작할 때 막읍시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1 호주 낙찰률 80%... 2월 경매 통한 주택거래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7.03.02.
1180 호주 뉴타운, 진보적 경향 강하고 라켐바는 비관적 성향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9 호주 Four things Australia could do to tackle the obesity crisis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8 호주 NSW 주 정부, 파라마타 경전철 관련 16개 역 제안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7 호주 시드니 주택 임대료, ‘전 세계 상위 10대 도시’에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6 호주 NSW 정부, IT 공무원직에 457 비자 소지자 고용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5 호주 호주 중앙은행, ‘10달러’ 새 디자인 지폐 공개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4 호주 주택융자 ‘Deposit’ 없이 ‘내집 마련’ 가능할까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3 호주 NSW 주 정부, 부적절 직업학교에 보조금 중단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2 호주 모스만 소재 주택, 올해 첫 ‘double-digit’ 가격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1 호주 올해부터 뱅스타운 라인 ‘싱글덱’ 공사 시작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7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1830년대 코티지, 잠정가서 45만 달러 넘겨 file 호주한국신문 17.02.23.
1169 호주 높아지는 청년 실업, 호주 젊은 세대 ‘좌절감’도 고조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8 호주 멜번-시드니, 가장 역동적인 전 세계 도시 중 하나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7 호주 원주민-비원주민 삶의 질 격차, “변한 것 없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6 호주 시드니 공립학교 입학생 수, 이례적 ‘급증’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5 호주 “시드니 지역 상위 공립학교 보내려면 150만 달러 필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4 호주 NSW 주 정부, 지방 지역 카운슬 강제합병 포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3 호주 호주 치매환자, 비용만 연간 수십억 달러 소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2 호주 모스만, 시드니 지역 최고급 저택 지역으로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1 호주 2016년도 ‘온라인 데이트’ 사기 피해 2천500만 달러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60 호주 세입자들, “집주인 무서워 수리비 청구 못해”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59 호주 “설탕세 도입하면 호주인 수명 2년 이상 연장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58 호주 NSW 주 내륙, 산불피해 극심... 마을 전체가 완전 파손되기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57 호주 최고 무더위 불구, 시드니 주말 경매 ‘활황’ 이어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2.16.
1156 호주 부익부 빈익빈 확대... 저소득층 가계소득 더욱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1155 호주 The official GABS Hottest 100 Aussie craft beers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1154 호주 “부동산 상속세를 젊은 계층 보조금으로 활용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1153 호주 “호주, 제조업 활성화로 수입 의존도 낮추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1152 호주 NSW 주 공립학교 입학생, 40년만에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