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ASS).jpg

자원봉사자들의 역할을 격려하고자 마련된 ‘CASS’(회장 (Dr. Bo Zhou)의 ‘CASS Inaugural Multicultural Volunteers Thanksgiving Luncheon’에서 한인의사회 크리스 박 회장(맨 가운데)이 한인 자원봉사자 및 그룹 리더들에게 자원봉사자 수료증을 수여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 : CASS 제공

 

‘Thanksgiving Luncheon’ 마련, 자원봉사자 수료장 수여도

 

올해로 창립 40년을 맞는 사회복지단체 ‘CASS’(회장 (Dr. Bo Zhou)가 ‘CASS Inaugural Multicultural Volunteers Thanksgiving Luncheon’을 마련, 올 한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자원봉사자들의 노고를 격려했다.

지난 12월 9일(목), 이스트우드 리그 클럽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는 CASS 관계자를 비롯해 다문화 배경의 봉사자, 각 커뮤니티 리더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보 저우 회장은 “자원봉사자들과 직원들은 지난 40년 동안 카스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끈 중요한 두 축으로 특히 최근 들어 중국과 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자원봉사자들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며 “이들은 ‘ConnectCall Service’와 새로 개설된 ‘H-Line Non Crisis Hotline’을 포함해 카스의 모든 서비스 제공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감사를 전했다.

이어 빅토 도미넬로 NSW 서비스부 장관은 축하 연설에서 “도움이 필요로 하는 이들에게 매일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스는 내가 본 매우 훌륭한 기관 중 하나”라면서 그 역할을 해준 카스 직원 및 봉사자들을 격려했다.

이날 행사를 기해 크리스 박(Kris Park) 호주한인의사회(KAMS) 회장도 한인 봉사자들에게 수료증을 수여하고 감사 인사를 전했다.

아울러 카스는 이날 ‘40주년 기념 책자(CASS 40th Anniversary Souvenir Book)’와 이민자 스토리를 담은 ‘컨딩(Kending)’ 한국어 판 출간 기념회도 함께 진행했다. 영어와 중국어, 한국어 등 3개 언어로 엮은 ‘카스 40주년 기념 책자’와 호주에서 정착하면서 경험한 다양한 이민자 스토리를 담은 <새로운 땅, 새로운 나의 집: A Collection of Migrants’ Stories>은 그동안 영어와 중국어로 출간되어 왔으나 올해 처음으로 한국어 판이 선보였다.

한편 앞서 카스는 지난 12월 6일 한인동포 다수 거주지역인 혼스비 인근, 아스퀴스(squith)에 계획한 ‘카스 아스퀴스 양로원 신축 기공식’을 갖고 새 양로원 설립을 시작했다.

연방 폴 플렛처(Paul Fletcher) 예술부 장관, 연방 쥴리안 레서(Julian Leeser), 토니 버크(Tony Burke) 의원을 비롯해 커뮤니티 관계자들이 참석한 이날 저 보우 회장은 “시드니 북부 지역사회 요구에 부응하는 카스의 제2 양로원 기공은 카스의 역사에 한 획을 긋는 일”이라며 “특별히 카스의 성장에는 무엇보다 헨리 판 카스 창립자 겸 명예 경영대표 (Honorary Executive Director)의 헌신과 열정이 있었기에 가능할 수 있었다”며 감사를 표했다.

판 명예 경영대표는 전 세계 중화권 리더들 중 8명에게 매년 수여하는 올해 'Compassion Award' 올해 수상자로 선정된 바 있다. 그는 이 상금 16만 달러 전액을 이 양로원 계획인 ’CASS Asquith RACF Project'를 위해 기부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ASS).jpg (File Size:130.3KB/Download:4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43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8 file 호주한국신문 22.04.21.
304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4 호주한국신문 22.04.14.
3041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7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3040 호주 한국문화원, ‘찾아가는 한국영화’로 호주 각 도시 순회 상영회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3039 호주 이번에는 ‘K-뷰티’다... 한국문화원, 한국의 뷰티 제품 알리기 나서 file 호주한국신문 22.04.07.
3038 호주 NSW 주 일대의 극심한 홍수... 한인동포 피해 농장주들, 망연자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3037 호주 전문가가 보는 정부 이민정책- ‘단기직종’의 천형 풀리나 file 호주한국신문 22.03.31.
3036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6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3035 호주 “잊지 않습니다, 우리 영웅들의 평화 염원을”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3034 호주 트로트 가수를 좋아하는 시드니 팬들, 우크라이나 전쟁피해 국민에도 ‘눈길’ file 호주한국신문 22.03.24.
3033 호주 총영사관 민원실, 방문예약제 전면 해제 호주한국신문 22.03.24.
303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3 호주한국신문 22.03.17.
3031 호주 한반도 비무장지대에 대한 국내외 작가 작품들, 영상으로 소개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7.
3030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5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3029 호주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모델 실현 위해 현지 사회와의 연대 활동 중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3028 호주 “2년 뒤 국회의원 선거에 대비, 체계적 활동 방향 논의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3.10.
3027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2 호주한국신문 22.03.03.
3026 호주 20대 대선 재외선거 마감, 등록자 수 대비 호주 투표율 66.3%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3025 호주 시드니 한인 동포들, 항일독립운동 선열들의 민족정신 새겨 file 호주한국신문 22.03.03.
3024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14 file 호주한국신문 22.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