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istian Dubé Twitter

휴일에 맞춰 퀘벡주는 공중 보건 제한을 완화하며, 12월 23일부터 최대 20명까지 실내 모임을 허용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크리스티안 두베(Christian Dubé) 퀘벡주 보건복지부 장관은 새로운 조치를 권고한 호라시오 아루다(Horacio Arruda) 퀘벡주 공중보건국장과 함께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그러나 공중보건국은 가정에서 실내 모임을 하는 모든 사람에게 백신 접종을 “강력히 권장”하고 있다

 

공공장소에서의 마스크 착용을 포함하여 이전에 발표된 기타 보건 방침은 여전히 유효하다.

 

두베 장관은 “당분간” 새로운 모임 제한에 대한 규정을 변경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지만, 공중보건국에서 상황을 계속해서 감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루다 공중보건국장은 실내 모임 인원을 늘리라고 권고한 배경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으며, 그 중 첫 번째는 지난 몇 주 동안의 코로나19 관련 입원 환자 수가 안정세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최근 하루 신규 환자가 1,000명을 넘어선 가운데 입원 환자 수는 대부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11월 30일부터 진행된 확진자 사례들에 대한 “일회성 조사”에 따르면, 새로운 오미크론 변이가 최근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람들을 제외하고 퀘벡주에서 확산하지 않고 있다는 좋은 소식도 있다.

 

아루다 국장이 밝힌 또 다른 이유는 지난 6일 퀘벡주에서 코로나19 모델링에 대한 보건 관계자들과의 회의 결과였다.

 

그는 만약 가정에서 열리는 모임에서 백신 접종을 받지 않은 사람과 어울리고 싶다면 마스크 착용과 신체적인 거리 두기를 포함한 기존의 보건 규칙들을 따를 것을 권고했고 두베 장관은 “명백한 이유로 백신 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들을 모임에 참석시키지 않을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부스터샷 확대
퀘벡주는 또한 7일부터 의료 종사자, 만성질환자, 외딴 지역 주민, 임산부 등 100만여 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을 접종할 예정이며 1월에는 6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도 추가로 접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새해부터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부스터샷 접종이 점진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2022년 1월 4일: 65~69세 예약 가능
  • 2022년 1월 6일: 60~64세 예약 가능
    자격이 있는 사람들은 2차 접종 후 6개월을 기다려야 부스터샷을 접종받을 수 있다. 해당 예약은 Clic Santé 홈페이지를 통해 할 수 있다.

아루다 국장은 “60세 미만에 백신이 여전히 적절한 면역반응이 지속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은 6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만 부스터샷이 지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베 장관은 퀘벡주에는 백신 접종을 받을 자격이 있지만, 아직 접종을 받지 않은 인원이 64만 명이며, 이는 한 달 전인 70만 명보다 조금 줄어든 수치이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FGCghHAWUAEXICt-696x696.jpg (File Size:63.6KB/Download: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977 캐나다 자유당, 전기차 충전소 증대 내걸어 밴쿠버중앙일.. 17.06.23.
1976 캐나다 캐나다 포스트 공항 우편국 이상 물질 발견 밴쿠버중앙일.. 17.06.23.
1975 캐나다 BC페리, 셀리쉬 이글 초대형 페리 운행 시작 밴쿠버중앙일.. 17.06.23.
1974 미국 미 남서부 기록적인 폭염 예상…최고 120도 예보 file KoreaTimesTexas 17.06.23.
1973 미국 희대의 ‘색마’에 종신형+110년 선고 file 뉴스앤포스트 17.06.23.
1972 미국 미-쿠바 국교 정상화, 다시 냉각상태로 코리아위클리.. 17.06.22.
1971 미국 심심한데 '미스터리 쇼퍼' 일 어때요? 코리아위클리.. 17.06.22.
1970 미국 공동 지원서 에세이 문제 7개(3) file 코리아위클리.. 17.06.22.
1969 미국 올랜도 유니버설에 나이아가라보다 높은 폭포수 있다 코리아위클리.. 17.06.22.
1968 미국 뉴욕타임스, “북핵 해체 위해 한국전쟁 종식 이뤄내야 file 코리아위클리.. 17.06.22.
1967 캐나다 가을부터 시민권 시험 대상 18-54세로 축소 밴쿠버중앙일.. 17.06.22.
1966 캐나다 4월 한인 방문객 전달대비 18.5% 증가 밴쿠버중앙일.. 17.06.22.
1965 캐나다 올해만 캐나다인 20만 6,000명 이상 암진단 추산 밴쿠버중앙일.. 17.06.22.
1964 캐나다 불법 취업 비자 장사 잠입취재에 걸려 밴쿠버중앙일.. 17.06.22.
1963 캐나다 아보츠포드 캐나다데이 행사에 한인 난타팀 공연 밴쿠버중앙일.. 17.06.22.
1962 캐나다 매주 금요일 밤마다 즐기는 노스밴 나잇마켓 밴쿠버중앙일.. 17.06.22.
1961 캐나다 캐나다 항구 사기업이 효율적 주장 나와 밴쿠버중앙일.. 17.06.22.
1960 캐나다 트랜스링크 요금 개찰구 효과 보여 밴쿠버중앙일.. 17.06.22.
1959 캐나다 스카이트레인 트랙을 걷는 남자 체포 밴쿠버중앙일.. 17.06.22.
1958 캐나다 써리메모리얼 첨단의료병동 한인 기부 밴쿠버중앙일.. 17.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