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백신 3월 출시... 보험사들, 15일부터 자가검사 키트 배포

 

 

shot.jpg
▲ 오미크론 감염 환자가 늘면서 검진소 대기줄도 길어지고 있다. 사진은 플로리다주 올랜도 콜로니얼 선상의 검진소에 가기 위해 대로가에 3마일 이상 길게 줄을 선 차량들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김명곤 기자 = 미 전역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로 인한 하루 입원 환자 수가 또다시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미 보건후생부 집계에 따르면 9일 일일 코로나 입원 환자 수는 약 14만2390명으로, 지난해 1월 최고 기록 14만 2315명을 넘어섰다.

존스홉킨스대학 집계 역시 10일 일일 입원 환자 수가 14만1천 명 대를 기록하며 코로나 팬데믹 이후 두 번째로 14만 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후생부 통계를 기준으로 했을 때 9일 일일 평균 입원 환자 수는 13만2천여 명으로, 이는 2주 만에 80% 이상 급증한 수치다.

지역별로 보면 급증 양상이 뚜렷하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델라웨어, 일리노이, 메인주 등 10개가 넘는 주에서 현재 코로나 입원 환자가 역대 최다를 기록하고 있다. 최근 인구 비율에 비해 확진자가 많이 늘어난 곳으로 로드아일랜드, 뉴욕주, 워싱턴 D.C. 등을 꼽을 수 있다. 애리조나와 아이다호 등 7개 주만이 정체 상태에 있다.

전문가들은 입원하는 코로나 관련 입원 환자들의 중증도는 덜 하지만, 일단 입원 환자 수가 크게 늘고 있기 때문에 미국 의료 시스템에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이런 확산세가 이달 말까지 이어지면서 일일 입원 환자가 30만 명 선에 다다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3월 오미크론 백신 출시... 보험사들, 15일부터 자가검사 키트 배포

다행히도 입원 환자가 늘고 있는데 비해 사망자 수는 그렇게 많지 않다.

10일 현재 일일 사망자 수는 약 1700명가량으로 연초 1400명 수준에서 늘어나긴 했으나 입원 환자 숫자처럼 급증세를 보이고 있지는 않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이 새로운 기록을 세우고 있는 가운데 이를 막을 수 있는 백신에 대한 뉴스가 속속 나오고 있다.

백신 제조사인 화이자의 앨버트 불라 최고경영자(CEO)는 10일 < CNBC 방송 >과의 인터뷰에서 오미크론 변이를 겨냥한 백신이 3월이면 준비될 것이라고 밝히고, 일부 수량은 이미 생산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불라 CEO는 오미크론을 비롯해 현재 돌고 있는 다른 변이들도 겨냥한 백신이라고 설명했다.

모더나 사 역시 오미크론 변이를 겨냥한 백신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스테판 방셀 모더나 CEO도 이날 CNBC에 출연해 “올해 가을을 목표로 개발 중”이라며 “곧 임상시험에 들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미국 정부는 국민들이 좀 더 쉽게 코로나 검사를 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정책을 내놓았다.

민간 의료보험 회사들이 가입자들의 코로나 자가 검사 키트 비용을 부담하도록 하는 방침을 미 정부가 10일 발표했다. 해당 방침은 오는 15일부터 바로 시행에 들어간다.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인당 한 달에 최대 8번까지 코로나 검사를 무료로 할 수 있다. 보험이 있으면 약국에서 자가 검사 키트를 무료로 살 수 있다. 검사 키트를 산 영수증을 보험사에 청구해서 돈을 환불받을 수 있다.
  • |
  1. shot.jpg (File Size:32.9KB/Download:2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877 미국 연방 법원, 의사당 난입사건 트럼프 범죄 가능성 판단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3.
7876 미국 플로리다, 팬데믹으로 없어진 128만 개 일자리 모두 되찾아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3.
7875 미국 바이든, '억만장자세' 등 2023 회계연도 예산안 공개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3.
7874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세계 한글학교협의회와 찾동 화상간담회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7873 캐나다 올 1분기에만 캐나다 영주권 결정 14만 700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7872 캐나다 BC주도 엔데믹으로 갈 수 있을까?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7871 캐나다 캐나다 여권 갱신 절차 간소화 대상자 크게 확대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7870 캐나다 BC 전기료 4월부터 평균 1.4% 인하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7869 캐나다 H-마트 8호점 코퀴틀람 센터 지역에 3월 31일 영업 개시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7868 캐나다 4월 2일 밴쿠버무역관의 케이무브 네트워킹 데이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1.
7867 캐나다 한인회, 한국문화청소년사절단 발대식 개최 밴쿠버중앙일.. 22.03.31.
7866 캐나다 주말 3일간 코로나19 사망자 6명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7865 캐나다 BC주정부, 유급 병가 규정 단순화-강화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7864 캐나다 BC주정부, 관련 법 개정으로 주택 구매자 보호 강화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7863 미국 드샌티스에 도전하는 민주당 후보들...주지사 선거 승산은? file 코리아위클리.. 22.03.29.
7862 캐나다 여행객 대신 화물이 항공기 자리를 차지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7861 캐나다 ICBC 구제보조금 110달러 문자는 모두 사기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7860 캐나다 코퀴틀람 남성 27일 다운타운서 10대 여성 묻지마 폭행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7859 미국 플로리다 학년말 평가시험제 내년에 폐지... 시험은 더 빈번 file 코리아위클리.. 22.03.28.
7858 미국 플로리다, 직장내 '인종 언급' 방식 제한법 제정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2.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