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페이스북, 포드, 리프트 등... 근로자들, 재택근무 '긍정' 평가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미국내 많은 기업들이 올해 1월 중 직원들을 회사로 복귀시키는 계획을 세웠으나 오미크론이 확산하면서 복귀 일정을 연기하겠다는 발표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세계 최대 검색엔진 업체 구글과 최근 사명을 ‘메타’로 변경한 페이스북, 미국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 포드, 승차 공유 서비스인 리프트 등이 대표적이다.

구글의 경우 1월 10일이 복귀 시점이었으나, 이번 발표에선 직원들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고 밝혔다. 메타는 1월 말 본부를 열 계획이지만 직원들은 6월까지 계속해서 재택근무를 할 수 있도록 했다. 포드 사는 재택근무와 사무실 출근을 혼합하는 ‘하이브리드’ 정책을 3월로 연기했다. 리프트의 경우 최소한 내년에는 직원들에게 사무실 복귀를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여론조사 업체 ‘갤럽’이 지난 10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부분적 재택근무를 시행하는 근로자를 포함한 전체 재택근무 근로자 비율은 9월 현재 45%이다. 회사로 출근하지 않고 온전히 집에서만 일하는 비율은 25%다.

각 기업이 직원들의 사무실 복귀를 연장한 것은 코로나 팬데믹 기간 몇 차례 있었다. 가장 최근엔 델타 변이 출연에 따라 연기된 바 있다. 당초 많은 기업이 2021년 9월을 사무실 복귀 시점으로 계획했다가 여름에 델타 변이가 급속도로 확산하자 이를 내년 1월로 미룬 것이다. 그런데 이번에 다른 변이의 출현으로 다시 한번 사무실 복귀가 연기된 것이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자료에 따르면 10일 현재 23개의 주에서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가 확인됐다.

근로자들은 재택근무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컨설팅 업체 ‘글로벌직장분석(Global Workplace Analytics)’과 원격 회의 장비 제조업체 ‘아울랩스(Owl labs)’가 11월 ‘재택근무 설문조사 5차 개정본’을 발표했는데, 근로자들은 재택근무에 대해 대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응답한 근로자 가운데 90%는 재택근무를 통해서도 사무실에서 일할 때와 동일한, 심지어는 더 높은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답했다. 84%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에도 재택 근무를 한다면 행복할 것이라고 답했다.

고용주와 근로자들이 재택근무를 바라보는 관점에는 다소 차이가 드러난다.

풀타임으로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것을 선호하는 근로자는 29%인 반면, 이를 요구하는 고용주는 이보다 높은 39%였다. 반대로 풀타임 재택근무를 선호하는 근로자는 34%인 반면, 이를 요구하는 고용주는 26%인 것으로 나타났다.

  • |
  1. omi2.jpg (File Size:246.5KB/Download:2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877 미국 연방 법원, 의사당 난입사건 트럼프 범죄 가능성 판단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3.
7876 미국 플로리다, 팬데믹으로 없어진 128만 개 일자리 모두 되찾아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3.
7875 미국 바이든, '억만장자세' 등 2023 회계연도 예산안 공개 file 코리아위클리.. 22.04.03.
7874 캐나다 재외동포재단, 세계 한글학교협의회와 찾동 화상간담회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7873 캐나다 올 1분기에만 캐나다 영주권 결정 14만 7000명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7872 캐나다 BC주도 엔데믹으로 갈 수 있을까?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2.
7871 캐나다 캐나다 여권 갱신 절차 간소화 대상자 크게 확대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7870 캐나다 BC 전기료 4월부터 평균 1.4% 인하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7869 캐나다 H-마트 8호점 코퀴틀람 센터 지역에 3월 31일 영업 개시 file 밴쿠버중앙일.. 22.04.01.
7868 캐나다 4월 2일 밴쿠버무역관의 케이무브 네트워킹 데이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1.
7867 캐나다 한인회, 한국문화청소년사절단 발대식 개최 밴쿠버중앙일.. 22.03.31.
7866 캐나다 주말 3일간 코로나19 사망자 6명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7865 캐나다 BC주정부, 유급 병가 규정 단순화-강화한다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7864 캐나다 BC주정부, 관련 법 개정으로 주택 구매자 보호 강화 file 밴쿠버중앙일.. 22.03.30.
7863 미국 드샌티스에 도전하는 민주당 후보들...주지사 선거 승산은? file 코리아위클리.. 22.03.29.
7862 캐나다 여행객 대신 화물이 항공기 자리를 차지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7861 캐나다 ICBC 구제보조금 110달러 문자는 모두 사기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7860 캐나다 코퀴틀람 남성 27일 다운타운서 10대 여성 묻지마 폭행 file 밴쿠버중앙일.. 22.03.29.
7859 미국 플로리다 학년말 평가시험제 내년에 폐지... 시험은 더 빈번 file 코리아위클리.. 22.03.28.
7858 미국 플로리다, 직장내 '인종 언급' 방식 제한법 제정하나 file 코리아위클리.. 22.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