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구매가능 지역 1).jpg

호주의 임금성장 속도를 훨씬 능가하는 가파른 주택가격 상승은 첫 주택구입자들의 부동산 시장 진입 장벽이 되고 있다. 때문에 ‘부동산 사다리’에 오르기 위해서는 보다 멀리 보고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진단이다. 사진 : ABC 방송 'The Business' 방송 화면 캡쳐

 

통계청 자료, 주택가격 상승 20% 비해 임금 중간 성장은 4.3% 불과

광역시드니 거주자들, 서부 지역 또는 센트럴코스트의 아파트 찾아야

 

지난 몇 년 동안 호주의 임금 성장은 극히 낮은 수준을 이어오고 있다. 그 사이, 주택가격은 가파른 상승 곡선을 만들어냈다. 결국 소득의 느린 성장이 부동산 가격 상승을 따라가지 못함으로써 상당한 수입을 올리거나 아니면 부모로부터 많은 자금을 지원받지 못하는 이들이 ‘부동산 사다리’에 오르기 위해서는 점점 더 멀리 내다보고 계획을 잡아야 한다.

지난 달 호주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까지 호주 각 주 도시의 중간 주택가격은 20% 이상 올랐다. 반면 직장인의 중간 소득성장은 4.3% 또는 주(week) 50달러가 증가한 1,200달러이다. ABS의 직장인 소득 자료에는 정규직 및 파트타임 근로자 수입이 포함된 것이다.

그렇다면 이 수준의 평균 임금을 받는 이들이 주택을 구입할 만한 지역은 어디일까. 그리고 수입이 있는 파트너와 함께 구매한다면 얼마나 차이가 날까.

 

■ 시드니

주급 1,300달러를 받는 시드니 거주민(시드니에 거주하는 직장인의 중간 주급)이 부동산 사다리에 오르기 위해서는 시드니 서부(Sydney west) 또는 광역시드니 지역에 포함되지만 시드니 북쪽 해안인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로 가야 한다. 그나마 독립형 주택은 불가능하고 이보다는 가격이 조금 저렴한 아파트를 찾을 수밖에 없다.

직장인이 연간 소득의 6배를 대출받을 수 있고, 여기에 주택가격의 20%에 해당하는 보증금 마련이 가능하다고 가정할 때, 최대로 준비할 수 있는 자금은 50만7천 달러가 될 것이다. 이 금액으로는 시드니 남서부 뱅스타운(Bankstown)에 있는 일반적인 아파트 구입이 가능하다. 현재 뱅스타운의 유닛 중간 가격은 50만5천 달러로 집계되어 있다. 하지만 대출기관이나 개인 상황에 따라 은행에서 제공하는 주택담보대출은 더 적어질 수도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센트럴코스트의 엔트런스(Entrance. 유닛 중간 가격 50만5천 달러)와 고스포드(Gosford. 50만 달러), 시드니 도심(CBD)에서 50km 이상 거리에 있는 펜리스(Penrith. 49만 달러), 남서부 캠벨타운(Campbelltown. 48만 달러)의 유닛 구매도 가능하다.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2).jpg

평균 임금이 주(week) 1,300달러인 시드니 거주 직장인이 연간 소득의 6배를 대출받을 수 있고, 여기에 주택가격의 20%에 해당하는 보증금 마련이 가능하다면 50만7천 달러의 예산이 된다. 이 자금으로 시드니에서 주택을 구입하고자 한다면 서부나 센트럴코스트 등 먼 외곽 지역을 찾아봐야 한다. 사진은 시드니 평균 임금 직장인이 아파트를 구매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인 펜리스(Penrith)의 한 아파트. 사진 : homely

   

펜리스를 기반으로 하는 부동산 회사 ‘Raine & Horne Penrith’의 비앙카 로세토(Bianca Rossetto) 에이전트는 “만약 펜리스 지역을 선택한다면 2개 침실, 2개 욕실 및 주차공간이 있는 거의 새 아파트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세토 에이전트에 따르면 올해 그녀를 통해 펜리스 지역의 주택을 구입한 이들 중 약 절반은 노던비치(northern beaches) 등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온 고객들로, 이들은 펜리스의 저렴한 주택가격에 끌려 이 지역을 선택했다. 이들 중에는 처음으로 주택을 구입한 이들도 많았으며 이 지역에 이미 가족 중 일부가 거주하기 때문에 이주한 이들이 있는가 하면 저렴한 비용의 주택을 찾는 데 2년을 보낸 구매자를 만나기도 했다는 게 그녀의 말이다.

펜리스의 아파트는 아직도 평균 소득자의 예산 범위 내에 있다. 로세토 에이전트는 여기에서 조금 더 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면 현재 57만 달러에서 62만 달러 사이에 판매되는 3개 침실의 고급 타운하우스를 손에 넣을 수 있다고 말했다.

평균 소득을 올리는 맞벌이 가구라면 ‘내집 마련’의 전망은 더욱 밝다. 이들이 마련할 수 있는 예산(50만7천 달러X2)은 101만1,400달러가 된다. 하지만 이 자금은 시드니 중간 주택가격인 150만 달러에 크게 못 미치는 액수이다. 다만 맞벌이 가정은 시드니 남서부의 콘델 파크(Condell Park. 중간 가격 101만 달러)나 보슬리 파크(Bossley Park. 98만 달러), 블루마운틴(Blue Mountains)의 루라(Leura. 98만5천 달러)에 있는 단독주택을 구입할 수는 있다.

맞벌이 가정으로 유닛을 찾는다면 도심에서 멀지 않은 어스킨빌(Erskinville. 98만9천 달러), 노스쇼어(north shore)의 킬라라(Killara. 98만 달러) 등에서 ‘내집’을 알아볼 수도 있다.

 

■ 멜번

멜번(Melbourne) 지역의 평균 주급은 1,200달러로 호주 전역의 도시 가운데 세 번째로 높은 주(week) 소득이다. 이들이 가진 잠재적 예산은 46만8천 달러(연간 소득의 6배를 대출받을 수 있고, 여기에 주택가격의 20%에 해당하는 보증금을 마련할 수 있다는 가정)이다.

이 자금은 멜번 중간 주택가격(103만7,900달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다만 멜번 도심에서 서쪽으로 35km 이상 떨어진 커런장(Kurunjang. 중간 주택가격 45만5천 달러), 그 인근의 멜튼(Melton. 43만7,750달러) 및 멜튼 사우스(Melton South. 44만2천 달러)로 가야 하며, 도심과 가까이 거주하고 싶다면 세인트 알반스(St Albans. 유닛 중간 가격 45만6,500달러)의 아파트를 찾아야 한다.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3).jpg

평균 소득(1,200달러)을 올리는 멜번(Melbourne) 거주민이 주택을 구매할 수 있는 지역 또한 도심에서 먼 외곽에 있다. 사진은 멜번 도심 서쪽의 멜튼(Melton)에서 매매로 나온 한 주택. 사진 : homely

   

멜번 서부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부동산 중개회사 ‘Harcourts West Realty’의 아빈 쿠마르(Avin Kumar) 에이전트는 “이 예산을 가진 구매자는 멜튼에서 최소 500스퀘어미터 부지에 3개 침실, 1개 욕실의 단독주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쿠마르 에이전트에 따르면 최근 멜튼 지역으로 이주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멜번 전역 또는 동부 지역에 거주하다 온 이들로, 새로운 기반시설들이 속속 자리해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93만6천 달러의 주택구입 예산이 가능한 맞벌이 가정이라면 멜번 CBD 북서쪽 마리비농(Maribyrnong. 중간 주택가격 93만6천 달러), 동부 외곽의 링우드 이스트(Ringwood East. 93만3,750달러), 크로이돈 노스(Croydon North. 93만2,500달러), 로우빌(Rowville. 92만5천 달러)에서 ‘내집 마련’이 가능하다.

 

■ 브리즈번

2021년 8월 집계 결과 중간 주급이 1,199달러인 브리즈번(Brisbane) 거주 직장인이 46만7,600달러의 예산(수입의 6배를 대출받을 수 있고 이미 20%의 보증금이 마련된 상태로 가정)으로는 브리즈번 CBD에서 남서쪽으로 20km 이상 거리에 있는 벨버드 파크(Bellbird Park. 중간 주택가격 46만 달러) 또는 도심과 가까운 타링가(Taringa. 46만 달러) 및 캐넌 힐(Cannon Hill. 45만6,500달러)의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다.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4).jpg

브리즈번(Brisbane)의 맞벌이 가정이라면 잠재 예산 93만5,200달러(수입의 6배를 대출받을 수 있고 이미 20%의 보증금이 마련된 상태로 가정)로 도심에서 멀지 않은 그린슬로프(Greenslopes), 홀랜드 파크(Holland Park) 등에서 단독주택을 마련할 수 있다. 사진은 그린슬로프의 한 주택에서 바라본 브리즈번 도심의 밤 풍경. 사진 : Belle Property

 

맞벌이 가정이라면 예산은 93만5,200달러가 될 것이며, 이는 브리즈번의 중간 주택가격(70만2,500달러)보다 많은 자금이다. 이런 가정은 해안가 지역인 뉴포트(Newport. 중간 주택가격 90만2,500달러), 도시 남쪽의 홀랜드 파크(Holland Park. 90만 달러)와 그린슬로프(Greenslopes. 93만3천 달러)에서 내집 마련을 이룰 수 있다. 특히 남부의 두 지역은 브리즈번 도심에서 10km 이내 거리이다.

브리즈번 남부 지역에 기반한 부동산 중개회사 ‘Ray White Carina’ 사의 제임스 루이스(James Lewis) 에이전트에 따르면 중간 소득을 가진 맞벌이 가정이 그린슬로프에서 주택을 찾는다면 약 400스퀘어미터 부지에 2개 침실 또는 3개 침실의 단독주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루이스 에이전트는 “그린슬로프의 경우 젊은 커플들의 이주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수요도 늘어나 지난 9월 기준으로 중간 주택가격은 93만3천 달러이지만 이 예산으로 주택을 구입하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1).jpg (File Size:152.0KB/Download:13)
  2.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2).jpg (File Size:97.2KB/Download:16)
  3.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3).jpg (File Size:109.5KB/Download:22)
  4.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4).jpg (File Size:82.7KB/Download:1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701 호주 세계3대 요트대회 한국 첫출전 file 뉴스로_USA 17.01.01.
5700 호주 ‘인터넷 익스플로어’, 구글 ‘크롬’에 뒤쳐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9 호주 “높아지는 임대료, 세입자 문제에도 주목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8 호주 지구온도 상승, 지난해 NSW 주 ‘살모넬라’ 등 극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7 호주 블루마운틴 일부 지역 ‘안작데이 퍼레이드’ 취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6 호주 NSW 기획부, 주택공급 확대 위한 개정법안 상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5 호주 ‘FIFA 월드컵’ 본선 출전국, 48개국으로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4 호주 호주 사상 최대 사법 케이스, 채임벌린씨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3 호주 NSW 주, 일부 업계 정치기부금 금지 규정 재검토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2 호주 부동산 전문가들이 보는 올해 시드니 시장 전망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1 호주 The six best things about living in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0 호주 2017 시드니 부동산 시장, 최고 강세 예상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9 호주 퀸즐랜드 주, 임질-클라미디아 등 성병 감염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8 호주 호주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곤충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7 호주 ‘내집 마련’의 꿈, ‘싱글들’에게는 더욱 요원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6 호주 배달 서비스 확대... 시드니 도심 교통정체 가중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5 호주 시드니 전역, 주거지 개발로 토지 가치 급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4 호주 부동산 시장... 올해도 주택가격 상승 이어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3 호주 시드니 지역 사립학교 학비, 크게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2 호주 시드니 주민들, ‘이웃집 애완견과의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1 호주 Australia Day... 호주 최대 국경일, 기념행사 ‘풍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0 뉴질랜드 최저임금 4월1일부터 $15.75로 50C 오른다 선데이타임즈 17.01.25.
5679 뉴질랜드 내년 3월 '암웨이' 차이나 1만명 뉴질랜드 몰려온다 선데이타임즈 17.01.25.
5678 호주 2016년 12월 시드니 주말 경매시장 분석...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7 호주 소아 자폐증 증가, 가벼운 증상에도 ‘환자’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6 호주 시드니 주택 임대료 다소 하락, 2년 사이 수치는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5 호주 ‘Median Multiple 지수’로 본 시드니 주택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4 호주 시드니 도시 성장에 대학교 ‘도시계획학과’ 인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3 호주 고대 원주민 유적지,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2 호주 NSW 주 건축 붐, 배관기술 인력 크게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1 호주 시드니 지역 호텔 신증축 늘어, 관련 직업 급증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0 호주 베어드 주 수상 후임으로 베리지클리안 선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69 호주 정부 신뢰도 위기... 호주 국민들, “아무도 못 믿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68 호주 Sydney's best beer gardens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67 호주 시드니 이너 시티, 글리브 지역 주택시장 ‘활황’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6 호주 마틴 플레이스 인질범 모니스 파트너, 징역 44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5 호주 ‘에어비앤비 붐’, 모두가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4 호주 유닛 임대료 상승 가파른 시드니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3 호주 헐리우드 영화 제작자들, ‘서부 호주’로 눈 돌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2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가계소득 상승의 2배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1 호주 줄리 비숍, 트럼프의 ‘반(反)이민 정책’ 옹호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0 호주 NSW 경찰청 내부, "대테러부는 조직 하나 늘린 것일 뿐”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9 호주 NSW 베레지클리안 주 수상, 정부 내각 대대적 개편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8 호주 Eight money tips for good fortune and prosperity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7 호주 “흥미로운 새 직업 세계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6 호주 호주인이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5 호주 시드니 주말경매 강세... 시장 상황, 좀 더 지켜봐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54 호주 NSW 경찰청장 후임, 쿼드블리그 ABF 대장 유력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53 호주 중국계 투자자, 부동산 시장 영향력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52 호주 호주판 ‘맹모삼천지교’... 유명 학군 주택가격 큰 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