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구매가능 지역 1).jpg

호주의 임금성장 속도를 훨씬 능가하는 가파른 주택가격 상승은 첫 주택구입자들의 부동산 시장 진입 장벽이 되고 있다. 때문에 ‘부동산 사다리’에 오르기 위해서는 보다 멀리 보고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진단이다. 사진 : ABC 방송 'The Business' 방송 화면 캡쳐

 

통계청 자료, 주택가격 상승 20% 비해 임금 중간 성장은 4.3% 불과

광역시드니 거주자들, 서부 지역 또는 센트럴코스트의 아파트 찾아야

 

지난 몇 년 동안 호주의 임금 성장은 극히 낮은 수준을 이어오고 있다. 그 사이, 주택가격은 가파른 상승 곡선을 만들어냈다. 결국 소득의 느린 성장이 부동산 가격 상승을 따라가지 못함으로써 상당한 수입을 올리거나 아니면 부모로부터 많은 자금을 지원받지 못하는 이들이 ‘부동산 사다리’에 오르기 위해서는 점점 더 멀리 내다보고 계획을 잡아야 한다.

지난 달 호주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9월까지 호주 각 주 도시의 중간 주택가격은 20% 이상 올랐다. 반면 직장인의 중간 소득성장은 4.3% 또는 주(week) 50달러가 증가한 1,200달러이다. ABS의 직장인 소득 자료에는 정규직 및 파트타임 근로자 수입이 포함된 것이다.

그렇다면 이 수준의 평균 임금을 받는 이들이 주택을 구입할 만한 지역은 어디일까. 그리고 수입이 있는 파트너와 함께 구매한다면 얼마나 차이가 날까.

 

■ 시드니

주급 1,300달러를 받는 시드니 거주민(시드니에 거주하는 직장인의 중간 주급)이 부동산 사다리에 오르기 위해서는 시드니 서부(Sydney west) 또는 광역시드니 지역에 포함되지만 시드니 북쪽 해안인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로 가야 한다. 그나마 독립형 주택은 불가능하고 이보다는 가격이 조금 저렴한 아파트를 찾을 수밖에 없다.

직장인이 연간 소득의 6배를 대출받을 수 있고, 여기에 주택가격의 20%에 해당하는 보증금 마련이 가능하다고 가정할 때, 최대로 준비할 수 있는 자금은 50만7천 달러가 될 것이다. 이 금액으로는 시드니 남서부 뱅스타운(Bankstown)에 있는 일반적인 아파트 구입이 가능하다. 현재 뱅스타운의 유닛 중간 가격은 50만5천 달러로 집계되어 있다. 하지만 대출기관이나 개인 상황에 따라 은행에서 제공하는 주택담보대출은 더 적어질 수도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센트럴코스트의 엔트런스(Entrance. 유닛 중간 가격 50만5천 달러)와 고스포드(Gosford. 50만 달러), 시드니 도심(CBD)에서 50km 이상 거리에 있는 펜리스(Penrith. 49만 달러), 남서부 캠벨타운(Campbelltown. 48만 달러)의 유닛 구매도 가능하다.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2).jpg

평균 임금이 주(week) 1,300달러인 시드니 거주 직장인이 연간 소득의 6배를 대출받을 수 있고, 여기에 주택가격의 20%에 해당하는 보증금 마련이 가능하다면 50만7천 달러의 예산이 된다. 이 자금으로 시드니에서 주택을 구입하고자 한다면 서부나 센트럴코스트 등 먼 외곽 지역을 찾아봐야 한다. 사진은 시드니 평균 임금 직장인이 아파트를 구매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인 펜리스(Penrith)의 한 아파트. 사진 : homely

   

펜리스를 기반으로 하는 부동산 회사 ‘Raine & Horne Penrith’의 비앙카 로세토(Bianca Rossetto) 에이전트는 “만약 펜리스 지역을 선택한다면 2개 침실, 2개 욕실 및 주차공간이 있는 거의 새 아파트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세토 에이전트에 따르면 올해 그녀를 통해 펜리스 지역의 주택을 구입한 이들 중 약 절반은 노던비치(northern beaches) 등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온 고객들로, 이들은 펜리스의 저렴한 주택가격에 끌려 이 지역을 선택했다. 이들 중에는 처음으로 주택을 구입한 이들도 많았으며 이 지역에 이미 가족 중 일부가 거주하기 때문에 이주한 이들이 있는가 하면 저렴한 비용의 주택을 찾는 데 2년을 보낸 구매자를 만나기도 했다는 게 그녀의 말이다.

펜리스의 아파트는 아직도 평균 소득자의 예산 범위 내에 있다. 로세토 에이전트는 여기에서 조금 더 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면 현재 57만 달러에서 62만 달러 사이에 판매되는 3개 침실의 고급 타운하우스를 손에 넣을 수 있다고 말했다.

평균 소득을 올리는 맞벌이 가구라면 ‘내집 마련’의 전망은 더욱 밝다. 이들이 마련할 수 있는 예산(50만7천 달러X2)은 101만1,400달러가 된다. 하지만 이 자금은 시드니 중간 주택가격인 150만 달러에 크게 못 미치는 액수이다. 다만 맞벌이 가정은 시드니 남서부의 콘델 파크(Condell Park. 중간 가격 101만 달러)나 보슬리 파크(Bossley Park. 98만 달러), 블루마운틴(Blue Mountains)의 루라(Leura. 98만5천 달러)에 있는 단독주택을 구입할 수는 있다.

맞벌이 가정으로 유닛을 찾는다면 도심에서 멀지 않은 어스킨빌(Erskinville. 98만9천 달러), 노스쇼어(north shore)의 킬라라(Killara. 98만 달러) 등에서 ‘내집’을 알아볼 수도 있다.

 

■ 멜번

멜번(Melbourne) 지역의 평균 주급은 1,200달러로 호주 전역의 도시 가운데 세 번째로 높은 주(week) 소득이다. 이들이 가진 잠재적 예산은 46만8천 달러(연간 소득의 6배를 대출받을 수 있고, 여기에 주택가격의 20%에 해당하는 보증금을 마련할 수 있다는 가정)이다.

이 자금은 멜번 중간 주택가격(103만7,900달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다만 멜번 도심에서 서쪽으로 35km 이상 떨어진 커런장(Kurunjang. 중간 주택가격 45만5천 달러), 그 인근의 멜튼(Melton. 43만7,750달러) 및 멜튼 사우스(Melton South. 44만2천 달러)로 가야 하며, 도심과 가까이 거주하고 싶다면 세인트 알반스(St Albans. 유닛 중간 가격 45만6,500달러)의 아파트를 찾아야 한다.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3).jpg

평균 소득(1,200달러)을 올리는 멜번(Melbourne) 거주민이 주택을 구매할 수 있는 지역 또한 도심에서 먼 외곽에 있다. 사진은 멜번 도심 서쪽의 멜튼(Melton)에서 매매로 나온 한 주택. 사진 : homely

   

멜번 서부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부동산 중개회사 ‘Harcourts West Realty’의 아빈 쿠마르(Avin Kumar) 에이전트는 “이 예산을 가진 구매자는 멜튼에서 최소 500스퀘어미터 부지에 3개 침실, 1개 욕실의 단독주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쿠마르 에이전트에 따르면 최근 멜튼 지역으로 이주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멜번 전역 또는 동부 지역에 거주하다 온 이들로, 새로운 기반시설들이 속속 자리해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93만6천 달러의 주택구입 예산이 가능한 맞벌이 가정이라면 멜번 CBD 북서쪽 마리비농(Maribyrnong. 중간 주택가격 93만6천 달러), 동부 외곽의 링우드 이스트(Ringwood East. 93만3,750달러), 크로이돈 노스(Croydon North. 93만2,500달러), 로우빌(Rowville. 92만5천 달러)에서 ‘내집 마련’이 가능하다.

 

■ 브리즈번

2021년 8월 집계 결과 중간 주급이 1,199달러인 브리즈번(Brisbane) 거주 직장인이 46만7,600달러의 예산(수입의 6배를 대출받을 수 있고 이미 20%의 보증금이 마련된 상태로 가정)으로는 브리즈번 CBD에서 남서쪽으로 20km 이상 거리에 있는 벨버드 파크(Bellbird Park. 중간 주택가격 46만 달러) 또는 도심과 가까운 타링가(Taringa. 46만 달러) 및 캐넌 힐(Cannon Hill. 45만6,500달러)의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다.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4).jpg

브리즈번(Brisbane)의 맞벌이 가정이라면 잠재 예산 93만5,200달러(수입의 6배를 대출받을 수 있고 이미 20%의 보증금이 마련된 상태로 가정)로 도심에서 멀지 않은 그린슬로프(Greenslopes), 홀랜드 파크(Holland Park) 등에서 단독주택을 마련할 수 있다. 사진은 그린슬로프의 한 주택에서 바라본 브리즈번 도심의 밤 풍경. 사진 : Belle Property

 

맞벌이 가정이라면 예산은 93만5,200달러가 될 것이며, 이는 브리즈번의 중간 주택가격(70만2,500달러)보다 많은 자금이다. 이런 가정은 해안가 지역인 뉴포트(Newport. 중간 주택가격 90만2,500달러), 도시 남쪽의 홀랜드 파크(Holland Park. 90만 달러)와 그린슬로프(Greenslopes. 93만3천 달러)에서 내집 마련을 이룰 수 있다. 특히 남부의 두 지역은 브리즈번 도심에서 10km 이내 거리이다.

브리즈번 남부 지역에 기반한 부동산 중개회사 ‘Ray White Carina’ 사의 제임스 루이스(James Lewis) 에이전트에 따르면 중간 소득을 가진 맞벌이 가정이 그린슬로프에서 주택을 찾는다면 약 400스퀘어미터 부지에 2개 침실 또는 3개 침실의 단독주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루이스 에이전트는 “그린슬로프의 경우 젊은 커플들의 이주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수요도 늘어나 지난 9월 기준으로 중간 주택가격은 93만3천 달러이지만 이 예산으로 주택을 구입하는 것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1).jpg (File Size:152.0KB/Download:33)
  2.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2).jpg (File Size:97.2KB/Download:32)
  3.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3).jpg (File Size:109.5KB/Download:39)
  4. 부동산(구매가능 지역 4).jpg (File Size:82.7KB/Download:2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201 호주 증가하는 사립학교 입학생... 공립학교 교육에 비해 나은 것이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200 호주 NSW State election- “여성 후보 확보하지 못한 자유당, 승리 힘들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9 호주 “올해 호주인 해외여행자, 전염병 사태 이전 수준의 기록적 한 해 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8 호주 1월 24일부터 광역시드니 유료 도로 통행료 보조금 환급 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7 호주 World's busiest flight routes... 서울-제주 구간, ‘가장 많은 이용객’ 노선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6 호주 NZ 자신다 아던 총리, ‘깜짝’ 사임 발표, 후임은 힙킨스 교육부 장관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5 호주 전국 주택임대료 10.2% 상승... 최상위-하위 교외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4 호주 NSW 주, “파트너 폭력 이력 확인 가능한 ‘Right To Know’ 시행하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3 호주 백신자문 패널 ATAGI, 겨울 시즌 앞두고 다섯 번째 추가접종 고려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2 호주 지난해 12월 일자리 수 크게 사라져... 실업률 3.5%로 소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1 호주 간헐적 음주,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것에 비해 우울증 위험 낮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90 호주 가중되는 생활비 압박, 호주 중산층의 자선단체 지원 요청도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1.25.
6189 호주 2023년 1월 1일부터 적용된 새로운 규정, 어떤 것이 있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8 호주 COVID가 가져온 가정-직장생활의 변화, “Pandora’s box has been opened”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7 호주 부자 부모에게서 태어난 ‘금수저들’, 향후에도 부 누릴 가능성 높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6 호주 전 세계 ‘파워풀 여권’은... 호주, 무비자 방문 가능 국가 185개 국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5 호주 2023년 호주 부동산 전망... 투자용 주택 구입에 좋은 시기일까?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4 호주 높은 인플레이션-생활비 부담 가중 속, 호주 최상위층 부는 더욱 늘어나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3 호주 지난해 11월의 카타르 월드컵 열기, 올해 7월 호주-뉴질랜드서 이어진다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2 호주 “주 전역의 포커머신 수 줄이고 1회 도박 액수도 500달러로 제한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1 호주 2022년도 최저가-최고가 중간 주택가격을 기록한 스트리트는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80 호주 “페로테트 주 총리의 나치 복장 험담, 끔찍한 겁쟁이들이 하는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79 호주 NSW 주의 첫 주택구입자 ‘토지세 제도’, 이달 16일부터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78 호주 호주 국민 68%, 지난해 홍수 등 ‘자연재해’로 선포된 지역에 거주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77 호주 2022년도 호주 부동산 시장... 주택가격 하락폭 가장 높았던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3.01.19.
6176 호주 호주 크리켓 레전드 셰인 완, 2022년도 검색 엔진 ‘Google’의 최다 주제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75 호주 시드니 시티, 엔터테인먼트 구역 ‘안전’ 보장하는 ‘퍼플 플래그’ 시험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74 호주 COVID-19 PCR 테스트, 2023년부터 의료진 의뢰 있어야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73 호주 호주 남동부 지역에 집중됐던 수차례의 홍수와 태풍, 이제 끝날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72 호주 “NSW 주 학부모들, ‘Back to School’ 바우처 신청하세요”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71 호주 Best place to watch New Year's Eve Fireworks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70 호주 부동산 매매 소요기간 분석... 호주 전역의 주택 구입자 인기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69 호주 차세대 COVID-19 백신,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끝낼 수 있을까...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68 호주 NSW 주 정부, 임차인 대상의 ‘임대료 입찰 행위’에 ‘불법화’ 조치키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67 호주 높은 인플레이션, 모기지 차용인-저소득층-고령자 가정에 가장 큰 타격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66 호주 NSW 주 여성안전부, ‘성-가정폭력’ 근절 위한 5개년 계획안 마련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65 호주 호주 가계지출 1.1%로 ‘아직은’ 견고하지만... 9월 분기 GDP 성장 ‘미약’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64 호주 술고래들, “취할수록 본인 스스로 얼마나 취했는지 깨닫지 못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63 호주 ‘Broken heart’... 심장마비 의심 환자 10명 중 약 1명은 ‘타코츠보 증후군’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62 호주 중-저가 부동산 비해 상위 가격대 주택들, 주택시장 침체에 더 크게 반응 file 호주한국신문 22.12.15.
6161 호주 호주 근로자들 지갑, 더 두둑해질까... 노동당 정부의 새 노사관계법, 하원 가결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160 호주 영어 외 언어로 된 구인광고 절반 이상의 제시 급여, 최저임금에 못 미쳐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159 호주 주택시장 침체 1년... 내년에는 가격 오를까? “답은 이자율에 달려 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158 호주 NSW 주 정부 ‘농업관광’ 관련 규제 완화... 농장주들, 추가 수입 가능해졌지만...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157 호주 시드니, 전 세계 172개 도시 중 ‘생활비 가장 높은 도시’ 열 번째에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156 호주 호주 중앙은행, 8개월 연속 기준금리 인상... 현금 이자율 3.1%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155 호주 구인광고에 제시된 급여, 아직 견고하지만... 생활비 상승에는 여전히 뒤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154 호주 NSW 주 반려견들, “보다 공격적”... 무책임한 사육자-COVID 상황서 기인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153 호주 CB 카운슬의 새 도시계획, ‘Australian Urban Design Awards’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8.
6152 호주 본다이에서 바이런으로... 광역시드니 부유 교외지역 인구, 점차 감소 file 호주한국신문 22.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