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여성 음주 1).jpg

20년에 걸쳐 매 3년마다 여성들로부터 수집된 음주 관련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 호주 중년 여성들(45~60세)의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폭음’ 수준의 음주를 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 Pixabay / 453169

 

공공보건 여성 연구원들의 장기간 연구, 주 요인은 ‘불균형적 가사노동 스트레스’

 

케이티(Katie. 가명)씨는 매일 밤 소파에 앉아 반병의 와인을 마신다. 두 자녀를 돌보며 풀타임 일을 하는 긴 하루를 보낸 후 긴장을 덜어내기 위해서이다.

그녀는 둘째 아이를 가진 후 술을 더 많이 마시기 시작했지만 전염병 사태로 인한 스트레스와 재택근무가 이를 더 악화시켰다고 말한다. “나 스스로 (술에 대한) 통제력을 잃은 것 같다”는 케이티씨는 “(업무가 끝나는) 오후 5시를 기다리게 되고, (술을 마실 수 있는) 그 시간이 되어서야 편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고 털어놓았다.

그녀는 종종 ‘아직은 아이들이 어리니까’ 또는 ‘지금은 팬데믹 기간이기 때문에’라는 생각으로 자신의 음주를 합리화했다. 그러면서도 두 아이의 엄마로서 그녀는 술을 떼어내지 못하는 것에 대해 죄책감을 느끼고 또 장기적으로 건강에 미칠 영향을 걱정한다고 덧붙였다.

그런 한편 케이티씨는 “그런 점이 불안하지만 또한 그 불안감을 덜어주고 기대감도 생기며 어른의 시간을 만끽한다는 즐거움이 있다”고 고백했다.

 

45-60세 여성,

이전보다 음주량 크게 증가

 

케이티씨는 이전보다 음주량이 늘어난 호주 중년 여성 가운데 한 명이다. 지난 1월 마지막 주, 약물 및 음주 관련 문제 및 연구를 다루는 학술지 ‘Drug and Alcohol Review’(Australasian Professional Society on Alcohol and other Drugs 발행)에 게재된 새 연구에 따르면 45세에서 60세 사이 여성 가운데 약 21%가 현재 ‘폭음’ 수준으로 술을 마시고 있다. 이는 20년 전인 지난 2001년, 같은 수준의 음주를 하는 집단의 여성 비율 14%에서 크게 증가한 것이다.

연구원들은 2001년에서 2019년 사이, 매 3년마다 호주 전역의 여성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조사했다. 이번 연구 및 보고서 책임 저자인 ‘George Institute for Global Health’의 미아 밀러(Mia Miller) 연구원은 “스트레스가 알코올 섭취의 중요한 요인”이라면서 “오늘날 우리는 각 직장 내 여성 직원이 그 어느 때보다 많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들은 여전히 가정에서 불균형적인 가사노동의 부담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종합(여성 음주 2).jpg

알코올 분야의 보건 연구원들은 중년 여성 음주의 경우 젊은 연령층 및 남성에 비해 건강상의 위험이 크게 높다고 지적한다. 사진 : Pixabay / kaicho20

   

밀러 연구원은 “특히 지난 수년 사이, 음주는 사회적 활동에서 호주 문화의 한 부분으로 깊게 뿌리내렸다”면서 “사회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술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기대가 있고, 동시에 주류 광고는 그런 낙인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음주로 인한 피해,

여성이 더 빨리 경험...”

 

이번 연구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Menzies School of Health Research’의 카산드라 라이트(Cassandra Wright) 연구원은 음주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큰 위험을 초래한다고 설명했다.

“여성은 적은 양의 알코올 섭취로도 더 빨리 해를 입을 수 있다”는 그녀는 “음주가 200가지 이상의 질환 및 질병 상태와 연관되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며 “이는 더 많은 여성이 해를 입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경고했다.

연구원들은 이번 연구에서 독신 여성, 먼 내륙 지역 및 지방에 거주하는 여성이 해로울 정도의 과다한 음주 위험이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와 관련, 알코올 및 전염병 연구원인 엠마 밀러(Emma Miller) 박사는 “중년 여성들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더 많은 음주를 한다는 것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알려진 것이지만 이번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그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대한 새로운 증거를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중년여성 음주’ 관련,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밀러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중년 여성들 가운데 하위 그룹(중간 이하 소득이거나 대학 학위가 없는 이들)이 매우 다른 이유로 음주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할 확실한 대책(silver bullet)은 없다”고 분석했다.

 

종합(여성 음주 3).jpg

여성의 음주에 대한 장기간의 연구를 진행한 ‘George Institute for Global Health’의 미아 밀러(Mia Miller) 연구원. 그녀는 여성들로 하여금 ‘폭음’을 하게 하는 사회적 요인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사진 : Mia Miller 제공

   

이어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이 연령대의 여성들을 위해 ‘무엇이 상황을 더 좋게 만들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라는 밀러 박사는 자신의 질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 연구 대상과 합의 하에 진행하는 연구)를 언급하면서 “(음주로 인한) 암 위험 감소와 같은 ‘장기적 결과’를 우려하지 않고 불면 해결이나 원만한 대인관계 또는 체중 감량 등을 위해 음주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진행한 연구팀의 두 연구원은 물로 엠마 밀러 박사는 ‘중년 여성의 과다한 음주 위험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아울러 개인의 음주가 비난받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것에 같은 의견을 보였다.

케이티씨는 수시로 금주를 생각하지만 스스로 그렇게 할 준비가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자신이 없다. 현재 그녀는 매일 음주를 하는 상태에 있다. 그녀는 “항상 피곤을 느끼고 (술을 마시지 않으면) 잠을 잘 이루지 못한다”며 “술을 마신 후의 세상이 어떻게 보이는지 기대감으로 음주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살아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냥 생존해 있는 지경”이라며 알코올에 의지하는 현재 상황을 하소연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여성 음주 1).jpg (File Size:63.1KB/Download:13)
  2. 종합(여성 음주 2).jpg (File Size:66.6KB/Download:11)
  3. 종합(여성 음주 3).jpg (File Size:69.5KB/Download:10)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5701 호주 세계3대 요트대회 한국 첫출전 file 뉴스로_USA 17.01.01.
5700 호주 ‘인터넷 익스플로어’, 구글 ‘크롬’에 뒤쳐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9 호주 “높아지는 임대료, 세입자 문제에도 주목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8 호주 지구온도 상승, 지난해 NSW 주 ‘살모넬라’ 등 극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7 호주 블루마운틴 일부 지역 ‘안작데이 퍼레이드’ 취소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6 호주 NSW 기획부, 주택공급 확대 위한 개정법안 상정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5 호주 ‘FIFA 월드컵’ 본선 출전국, 48개국으로 확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4 호주 호주 사상 최대 사법 케이스, 채임벌린씨 사망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3 호주 NSW 주, 일부 업계 정치기부금 금지 규정 재검토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2 호주 부동산 전문가들이 보는 올해 시드니 시장 전망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1 호주 The six best things about living in Sydney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2.
5690 호주 2017 시드니 부동산 시장, 최고 강세 예상 지역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9 호주 퀸즐랜드 주, 임질-클라미디아 등 성병 감염 증가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8 호주 호주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곤충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7 호주 ‘내집 마련’의 꿈, ‘싱글들’에게는 더욱 요원하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6 호주 배달 서비스 확대... 시드니 도심 교통정체 가중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5 호주 시드니 전역, 주거지 개발로 토지 가치 급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4 호주 부동산 시장... 올해도 주택가격 상승 이어갈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3 호주 시드니 지역 사립학교 학비, 크게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2 호주 시드니 주민들, ‘이웃집 애완견과의 전쟁’?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1 호주 Australia Day... 호주 최대 국경일, 기념행사 ‘풍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19.
5680 뉴질랜드 최저임금 4월1일부터 $15.75로 50C 오른다 선데이타임즈 17.01.25.
5679 뉴질랜드 내년 3월 '암웨이' 차이나 1만명 뉴질랜드 몰려온다 선데이타임즈 17.01.25.
5678 호주 2016년 12월 시드니 주말 경매시장 분석...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7 호주 소아 자폐증 증가, 가벼운 증상에도 ‘환자’ 진단?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6 호주 시드니 주택 임대료 다소 하락, 2년 사이 수치는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5 호주 ‘Median Multiple 지수’로 본 시드니 주택가격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4 호주 시드니 도시 성장에 대학교 ‘도시계획학과’ 인기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3 호주 고대 원주민 유적지,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2 호주 NSW 주 건축 붐, 배관기술 인력 크게 부족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1 호주 시드니 지역 호텔 신증축 늘어, 관련 직업 급증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70 호주 베어드 주 수상 후임으로 베리지클리안 선출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69 호주 정부 신뢰도 위기... 호주 국민들, “아무도 못 믿겠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68 호주 Sydney's best beer gardens file 호주한국신문 17.01.25.
5667 호주 시드니 이너 시티, 글리브 지역 주택시장 ‘활황’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6 호주 마틴 플레이스 인질범 모니스 파트너, 징역 44년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5 호주 ‘에어비앤비 붐’, 모두가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4 호주 유닛 임대료 상승 가파른 시드니 지역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3 호주 헐리우드 영화 제작자들, ‘서부 호주’로 눈 돌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2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가계소득 상승의 2배 이상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1 호주 줄리 비숍, 트럼프의 ‘반(反)이민 정책’ 옹호 입장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60 호주 NSW 경찰청 내부, "대테러부는 조직 하나 늘린 것일 뿐”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9 호주 NSW 베레지클리안 주 수상, 정부 내각 대대적 개편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8 호주 Eight money tips for good fortune and prosperity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7 호주 “흥미로운 새 직업 세계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6 호주 호주인이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2.
5655 호주 시드니 주말경매 강세... 시장 상황, 좀 더 지켜봐야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54 호주 NSW 경찰청장 후임, 쿼드블리그 ABF 대장 유력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53 호주 중국계 투자자, 부동산 시장 영향력 커져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
5652 호주 호주판 ‘맹모삼천지교’... 유명 학군 주택가격 큰 폭 상승 file 호주한국신문 1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