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동부-중서부 급감 확인... "팬데믹 끝내려면 부스터샷 맞아야"
 
omicron.jpg
▲ 앤서니 파우치 백악관 수석 의료보좌관이 미국에서 오미크론 변이 확산이 2월에 정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하며, 부스터샷 접종을 강조했다. 사진은 플로리다주 올랜도 바넷공원 접종소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선 차량들 모습. ⓒ 코리아위클리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앤서니 파우치 백악관 수석 의료보좌관이 미국에서 오미크론 변이 확산이 2월에 정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했다.

파우치 보좌관은 23일 < ABC 방송 >과의 인터뷰에서 “2월 중순이면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 오미크론 확산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확신한다. 상황이 좋아 보인다”라고 밝히고 “과신하고 싶지는 않지만, 현재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파우치 보좌관은 미국 북동부와 중서부 지역은 오미크론 변이가 이미 정점을 지나 확진자가 급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서부 지역은 여전히 확진자가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이면서 “코로나 백신과 부스터샷 즉 추가 접종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입원 환자가 늘어나면서 더 많은 고통을 받을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파우치 보좌관은 장기적인 전략과 관련하여 감염 수준이 통제 영역 아래로 내려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했다. 파우치 보좌관은 “통제란 감염을 제거하거나 근절하는 것이 아닌 감염 수준을 낮추는 의미”를 뜻한다며 “코로나가 일반적인 호흡기 감염 질병으로 통합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바이러스도 독감처럼 우리의 일상에 함께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파우치 보좌관은 앞으로 다른 변이가 출연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추가적인 변이가 사회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심각한 공포를 조장하지는 않겠지만 “여전히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미 보건당국은 바이러스 감염을 낮추는 데 있어 가장 필수적인 요소를 백신으로 보고 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최근 3가지 연구 결과를 통해 코로나 백신 부스터샷이 기존 변이인 델타뿐 아니라 오미크론 감염자들에게도 더 나은 면역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게 됐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는 모두 코로나 확진자 가운데 입원했거나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우선, 첫 번째 연구에서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을 세 차례 접종한 사람들의 코로나 관련 입원 예방 가능성이 9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연구에선 백신을 3차례 맞은 사람들이 델타 변이와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사망 가능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연구에서는 부스터샷을 맞았을 경우 백신 미접종자나 2회만 접종한 사람에 비해 코로나 확진 후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낮다는 결과가 나왔다. 오미크론 확산을 막을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은 부스터샷이란 결론이다.

로셸 월런스키 CDC 국장은 “부스터 접종 자격 요건을 갖췄음에도 아직 접종하지 않았다면 기한을 넘긴 상태”라며 백신 추가 접종을 강력하게 권고했다.
  • |
  1. omicron.jpg (File Size:62.5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677 미국 미국 '베스트 수퍼마켓'은 올해도 웨그먼스 코리아위클리.. 17.05.18.
7676 미국 트럼프 정부, 전과 없는 불체자에 영주권? 코리아위클리.. 17.05.18.
7675 미국 나도 모르게 간염 보균자가 될 수 있다 코리아위클리.. 17.05.18.
7674 미국 11학년 여름방학 유용하게 보내야 file 코리아위클리.. 17.05.18.
7673 미국 ‘친알코올’ 환경으로 변모하는 플로리다 코리아위클리.. 17.05.18.
7672 미국 NY타임스스퀘어 차량돌진 1명 사망 23명 중경상 file 뉴스로_USA 17.05.19.
7671 미국 타임스스퀘어 돌진남성 ‘묻지마살인’ file 뉴스로_USA 17.05.19.
7670 미국 ‘광란의 차량’ 희생자 18세 미시건 여성 file 뉴스로_USA 17.05.19.
7669 미국 뉴욕주의회 ‘아시안 코커스’ 탄생 file 뉴스로_USA 17.05.22.
7668 미국 할렘 ‘한국문화 거리축제’ 성황 file 뉴스로_USA 17.05.24.
7667 미국 전주기전대학생들 할렘한국축제 봉사 file 뉴스로_USA 17.05.24.
7666 캐나다 자녀세대가 부모세대보다 더 많은 소득 올려 밴쿠버중앙일.. 17.05.25.
7665 캐나다 환경보호단체, 밴쿠버 석탄 운반확장 반대 소송 밴쿠버중앙일.. 17.05.25.
7664 캐나다 빅토리아에 울려퍼진 한인전통 문화 행렬 밴쿠버중앙일.. 17.05.25.
7663 캐나다 캐나다 올 관광객 수 3.7% 증가 전망 밴쿠버중앙일.. 17.05.25.
7662 캐나다 BC 24일 최종 집계 여전히 소수 정부로 잠정 결론 밴쿠버중앙일.. 17.05.25.
7661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 금리 0.5%로 동결 밴쿠버중앙일.. 17.05.25.
7660 캐나다 밴쿠버, 4월 수출입물동량 8.8% 상승 밴쿠버중앙일.. 17.05.25.
7659 미국 대학생활은 학생에게 선택의 연속 코리아위클리.. 17.05.27.
7658 미국 I-4 급행선에 90피트 높이 타워 올라간다 코리아위클리.. 17.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