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e Montréal Twitter

퀘벡주는 전염병이 시작된 이후 공중보건 수칙 위반으로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벌금을 부과했지만, 조사에 따르면 현재까지 실제로 지급된 금액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많은 시민과 업소들이 2020년 4월 1일부터 시행된 공중보건법 위반에 단속에 걸려 3만 500건에 이르는 딱지를 떼었고 벌금은 4,573만 2,899달러에 내야 하지만 퀘벡주 법무부에 따르면 이 중 570만 달러만이 징수되었고, 대다수는 이를 무시하거나 법정에 이의를 제기했다.

 

몬트리올에 기반을 둔 딜런 존스(Dylan Jones) 변호사는 통금을 어기고 거리 두기를 지키지 않아 벌금을 부과받은 12명의 사람을 변호하고 있으며, 벌금의 높은 비용과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 규제에 대한 반대가 커지고 있고 주민들이 벌금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동기를 부여했다.

 

징계를 받은 사람들은 30일 이내에 탄원서를 제출해야 하지만, 자료에서 알 수 있듯이, 징계를 받은 사람 중 상당수는 이를 무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사벨 보일리(Isabelle Boily) 퀘벡주 법무부 대변인은 “법정 기간 내에 탄원서를 제출하지 않은 약 41%가 판사로부터 결석 시 체납 처분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경우 재판부는 검사가 제시한 증거를 토대로 피고인의 유무죄를 판단한다. 그녀는 벌금을 받은 사람 중 38%가 무죄를 주장했으며 소송은 여전히 법원에서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존스 변호사는 약 4,500만 달러의 벌금을 환급받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고 언급하며, “정의의 수레바퀴는 더디지만, 반드시 전진하며 나는 이것이 여기서도 적용된다고 생각한다”라고 설명했다.

 

약 15%의 사람들은 유죄를 인정하거나 필요한 응답 시간 내에 탄원서를 작성하지 않고 벌금을 전액 납부했다.

 

테르본 지역, 벌금 지역에서 2위를 기록
법무부는 퀘벡주 전역의 사법 지역별로 숫자를 분류했는데, 몬트리올이 지난 21개월 동안 가장 많은 벌금이 부과되었으며,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사람들에게 발행된 티켓은 11,200장이 채 되지 않았다.

 

놀랍게도 58개 지자체를 아우르는 테르본 지역이 사법 지역에서는 대유행 발생 이후 시민과 기업에 대한 딱지 발권 건수가 두 번째로 많았다. 기록에 따르면, 601,990명의 인구 중 2,750명에게 벌금이 부과되었다.

 

이에 비해 퀘벡주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인 퀘벡시티는 2,480명만이 벌금을 받았다. 퀘벡시티의 인구는 892,678명으로 테르본 지역보다 인구가 많음에도 더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

 

테르본 지역은 614,426명으로 인규 규모가 비슷한 롱게일 지역보다 약 3배(989명)가 많은 인구가 벌금을 부과받았다.

 

라발 지역과 가티노 지역도 대유행 초기 2년간 각각 1455장과 1263장의 과태료가 부과된 지역 중 하나였다.

 

퀘벡주는 2021년 1월 9일부터 5월 28일까지 거의 5개월간 지속한 전염병 기간 통금을 유지한 유일한 북미 지역이며, 이가 퀘벡주 경찰관들을 바쁘게 만든 원인이었다.

 

첫 통금이 시행되기 한달 전 프랑수아 르고(François Legault) 퀘벡주 총리는 공중보건법을 위반하다 적발된 사람들의 벌금 딱지를 늘려줄 것을 경찰에 요청했다. 당시 그는 매일 높은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하면서 사람들을 위험에 빠뜨리고 있는 소수의 퀘벡 주민들에게 “명확한 메시지를 전하고 싶다”고 말했었다.

 

법정 및 재정 결과
주민과 기업이 기한 내 벌금 납부를 거부하고 나중에 유죄로 판명되면 재정적 처벌과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

 

법무부 대변인은 “피고인의 재정 상황을 파악한 뒤 과태료 징수원이 지급 약정에 합의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시도가 실패하면 주 정부는 재산이나 소득을 압류하여 벌금을 회수 할 수 있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Eo0QhQZWEAEk3CI-696x465.jpg (File Size:89.7KB/Download:11)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697 미국 미국내 최고 직업은 통계전문가, 최악은 기자 [1] 코리아위클리.. 17.05.05.
7696 미국 노스레이크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총격, 2명 사망 KoreaTimesTexas 17.05.05.
7695 미국 美가주포럼 김현정국장, 연방하원 ‘올해의 여성상’ file 뉴스로_USA 17.05.05.
7694 미국 텍사스, 9월 1일부터 “불체자 공포의 도시” KoreaTimesTexas 17.05.08.
7693 미국 ‘오바마캠프’ 한인 뉴욕시의원 도전 file 뉴스로_USA 17.05.08.
7692 캐나다 연방정부 2016년 익스프레스 엔트리 현황 발표 CN드림 17.05.09.
7691 캐나다 캘거리 시의회, 2018년 재산세 동결 추진 CN드림 17.05.09.
7690 미국 전문직 취업비자 기준연봉 ‘최소 11만달러’ 코리아위클리.. 17.05.12.
7689 미국 비행기표는 54일전 예약이 가장 싸다 코리아위클리.. 17.05.12.
7688 미국 10세 올랜도 여아, '악어 탈출'로 화제 코리아위클리.. 17.05.12.
7687 미국 플로리다 주택들, 금융위기 전 가격 넘지 못해 코리아위클리.. 17.05.12.
7686 미국 플로리다 홈오너 재산세 더 낮아지나 코리아위클리.. 17.05.12.
7685 미국 플로리다 경찰, 경미한 교통 위반자도 불체자 단속 코리아위클리.. 17.05.12.
7684 미국 뉴욕서 韓中커플 정치인 탄생할까 file 뉴스로_USA 17.05.12.
7683 미국 美대학생들 日전쟁범죄 학습 file 뉴스로_USA 17.05.16.
7682 미국 美입양 한인여성 미네소타 공화당 의장 file 뉴스로_USA 17.05.16.
7681 캐나다 집권 3년 차 맞는 NDP, 노틀리 주수상의 자신감 CN드림 17.05.16.
7680 미국 트럼프, 터키대통령 이름 발음 실수 file 뉴스로_USA 17.05.18.
7679 미국 불체청소년 부모 전자발찌 추진 뉴스로_USA 17.05.18.
7678 미국 올랜도 다운타운 패라모어 지역 개발 가시화 코리아위클리.. 17.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