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nté Québec Twitter

퀘벡주 정부는 3월 7일부터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교실에서의 마스크 착용을 해제한다.

 

프랑수아 르고(François Legault) 퀘벡주 총리는 22일 이 같은 사실을 발표했다.

 

공용 지역과 통학 버스 내에서는 여전히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로 유지된다.

 

해당 발표는 대부분의 학교가 3월에 있을 봄 방학을 준비하면서 나온 것이다. 몬트리올 지역 외에도 Outaouais, Abitibi, Saguenay–Lac-Saint-Jean 및 Côte-Nord 등 해당 지역의 학생들은 1주일 방학 이후 3월 7일에 다시 학교에 돌아온다.

 

한편, 다른 지역의 학교들은 이후 방학을 갖는다. 해당 학생들은 3월 14일부터 다시 학교에 돌아오며, 이후 교실 내에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크리스티앙 뒤베(Christian Dubé) 퀘벡주 보건복지부 장관은 한 달 전에 비해 전염병 관련 입원 건수가 감소하고 보건 네트워크 시스템이 개선됐다고 언급하며 학교에서의 제한 철폐에 대해 편안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뒤베 장관은 또한 대유행의 맥락이 1년 전 이맘때와는 매우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퀘벡주의 높은 백신 접종률과 오미크론 변이 확산 기간의 높은 감염률을 지적했다.

 

한편 루크 부알로(Luc Boileau) 퀘벡주 공중보건국장은 이번 발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밝힐 예정이다.

퀘벡주 정부는 2월 내내 상점들이 문을 열면서 대유행을 단속하기 위한 조치를 완화하고 있다. 백신 여권도 다음 달 중순 만료될 예정이다.

 

더 많은 건강 규제가 완화되자 퀘벡주 야당은 르고 주정부에 비상사태 해제를 다시 요구했다.

 

퀘벡주 자유당의 당수인 도미니크 앙글라드(Dominique Anglade) 대표는 “마스크를 벗고 백신 여권 제도를 없애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 있고 우리가 지금 당장, 이 정부와 함께 비상 상태에 있어야 할 이유는 없다.”라고 강조했다.

 

주는 지난주 2020년 3월 대유행 발생 이후 100번째로 공중 보건 비상사태를 갱신했다.

 

야당은 주 정부에 비상 권한을 주는 것을 중단하라고 요구해 왔다. 르고 주총리는 주 정부가 몇 주 안에 비상사태를 해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대퀘벡당의 가브리엘 나데우 뒤부아(Gabriel Nadeau-Dubois) 대표는 주총리가 선택을 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한편으로는 아직 위기가 남아있기 때문에 국가비상사태가 필요하기도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더 이상 코로나19 관련 기자회견을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위기 상황에 벗어났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FMOixnjXIAQBWJe-696x696.jpg (File Size:48.6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757 캐나다 르고 주총리, 연방정부의 “긴급조치 발동” 반대 file Hancatimes 22.03.02.
1756 캐나다 퀘벡주, 지난해 1,400명의 환자가 병실 부족으로 응급실에서 사망 file Hancatimes 22.03.02.
1755 캐나다 퀘벡주, COVID-19 백신 여권 시스템 중단 file Hancatimes 22.03.02.
1754 캐나다 퀘벡주, 노인 거주지 관련 COVID-19 자가격리 규정 변경 file Hancatimes 22.03.02.
1753 캐나다 몬트리올, 새로운 임대주 등기부 프로그램 공개 file Hancatimes 22.03.02.
1752 캐나다 퀘벡주, 12~17세 청소년들에게 3차 COVID-19 백신 제공 file Hancatimes 22.03.02.
1751 캐나다 에어캐나다, 연방정부에 여행 관련 규제 완화 요청 file Hancatimes 22.03.02.
1750 캐나다 퀘벡주, 경찰력 강화를 위한 310만 달러 지원 발표 file Hancatimes 22.03.02.
1749 캐나다 퀘벡주, 5~11세 백신 접종 계속 장려하며 백신 접종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혀 file Hancatimes 22.03.02.
» 캐나다 퀘벡주, 봄방학 이후 교실에서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 file Hancatimes 22.03.02.
1747 캐나다 르고 주총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규탄 file Hancatimes 22.03.02.
1746 캐나다 몬트리올총영사관 로고 공모전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2.
1745 캐나다 버나비RCMP, 탈의실 도촬범 공개 수배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2.
1744 캐나다 연아 마틴 상원의원 삼일절 메시지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2.
1743 미국 올랜도 'I-4 익스프레스', 26일 새벽 역사적 개통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2.
1742 캐나다 캐나다 기준 금리 0.5%로 이전보다 두 배...집값 하락 전조등?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3.
1741 캐나다 밴쿠버의 103주년 3.1절 행사 한인회관에서 거행 file 밴쿠버중앙일.. 22.03.03.
1740 미국 올랜도 지역 렌트비, 어느 지역이 가장 크게 올랐나?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3.
1739 미국 플로리다 주 의회 하원, '15주 낙태 제한' 법안 통과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3.
1738 미국 이젠 부자들만의 별천지 디즈니 월드... 그래도 몰려드는 이유는? file 코리아위클리.. 22.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