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OVID 벌금 1).jpg

2020년 7월부터 2021년 10월 사이, COVID-19 방역 규정 위반으로 NSW 주에서 발급된 벌금 통지는 4,500만 달러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드니 서부 및 지방 지역에서의 벌금 액수가 높았다. 사진 : Revenue NSW

 

팬데믹 시작 후 수천 만 달러... 리버풀-마운트 드루이트, 100만 달러 넘어

 

COVID-19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NSW 주에서 공공보건 규정 위반에 따라 부과된 벌금이 수천 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벌금 부과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시드니 서부 및 지방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달 마지막 주, ABC 방송이 관련 부처를 통해 자료를 입수, 보도한 바에 따르면 지난 2020년 7월부터 2021년 10월 사이 NSW 주 전역에서 방역 규정을 위반한 이들에게 부과된 벌금은 거의 4,500만 달러에 이른다. 이는 약 5만 건의 개별 벌금 통지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이 기간 동안 가장 많은 벌금이 부과된 교외지역은 시드니 서부 외곽의 마운트 드루이트(Mount Druitt)로 136만 달러가 넘었다. 이어 남서부 리버풀(Liverpool)에서 발행된 벌금통지도 115만 달러 이상에 달했으며 본다이(Bondi)에서도 40만 달러의 벌금이 부과돼 시드니 동부(eastern suburbs)에서 가장 많은 액수를 기록했다.

 

NSW 주 세금 및 벌금, 국채회수 담당 부서인 ‘Revenue NSW’는 팬데믹 기간 중 안면 마스크 미착용 또는 휴대하지 않은 경우 500달러, 자가격리 명령을 따르지 않거나 감염자 밀접 접촉 추적에서 거짓 진술을 하는 경우, 또 백신을 접종받지 않았음에도 접종자만 대상으로 하는 장소에 출입하는 등의 행위에 대해서는 5천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

 

지방 지역 벌금부과도 높아

 

지방 도시 가운데서는 시드니 서부 내륙, 인구 4만여 명의 도시 더보(Dubbo) 거주민들의 규정 위반이 높아 총 70만 달러의 벌금 통지를 받았다.

 

Revenue NSW는 또한 시드니 북부 해안도시인 뉴카슬(Newcastle), 인근 헌터밸리(Hunter) 및 센트럴코스트(Central Coast) 지역에서도 위반자를 대상으로 총 600만 달러 이상의 벌금납부를 통지했다. 시드니 남부, 울릉공(Wollongong)에서는 약 36만 달러가 부과되었다. 이는 NSW 내륙, 와가와가 지역(Wagga Wagga region)과 비슷한 액수이다.

 

시드니 북서부의 내륙도시 탐워스(Tamworth)에서도 30만 달러의 벌금이 통지돼 다른 지역에 비해 뒤지지 않았으며 콥스하버(Coffs Harbour)와 모리(Moree)에서도 각 20만 달러 이상의 벌금이 부과됐다.

 

종합(COVID 벌금 2).jpg

NSW 주 지방도시 가운데 벌금 통보를 가장 많이 받은 곳은 더보(Dubbo)로, 액수로는 70만 달러에 달했다. 사진은 더보 중심가. 사진 : NSW Government(Planning and Environment)

   

팬데믹 상황에서

벌금으로 인해 어려움 가중

 

지난해 말, 법조계와 시민단체연합은 COVID-19 방역 규정 위반 벌금형 중단을 촉구한 바 있다. 또한 미납된 COVID-19 벌금형의 99%가 집행으로 확대됐다며 강한 우려를 표했다.

 

이 집행 조치는 벌금 미납자를 대상으로 운전면허증 정지, 차량등록 취소, 재산압류, 임금공제 또는 법원 소환 등을 촉발할 수 있다.

 

헌터 지역 법률문제 지원단체인 ‘헌터 커뮤니티 리걸 센터(Hunter Community Legal Centre)’의 킴 리차드슨(Kim Richardson) 수석 변호사는 “5만 건 이상의 규정 위반 벌금 통지서가 발행됐으며, 이중 2만 건 이상이 미납된 상태”라면서 “이 벌금형의 도미노 효과가 특히 취약계층을 좌절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지속적으로 일을 해야 하는 경제적 취약계층에게 벌금 미납으로 운전면허를 정지하거나 차량등록을 취소할 경우 이들은 더욱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우려이다.

 

■ COVID 벌금 통지 상위 지역

(2020년 7월~2021년 10월 사이)

-Mount Druitt : $1,366,380

-Liverpool : $1,157,680

-Blacktown : $751,500

-Dubbo : $700,560

-Merrylands : $627,240

-Westmead : $593,660

-Green Valley : $584,780

-Bankstown : $584,680

-Guilford : $582,840

-Campbelltown : $552,720

-Cabramatta : $508,520

-Waterloo : $496,200

-Darlinghurst : $481,680

-St Marys : $461,840

-Kingswood : $434,460

-Auburn : $421,160

-Granville : $421,060

-Fairfield : $416,920

-Bondi : $409,640

-Sydney : $382,500

-Wagga Wagga : $361,240

-Wollongong : $359,780

-Punchbowl : $355,180

-Woolloomooloo : $354,000

-Gosford : $352,780

-Penrith : $351,720

-Parramatta : $328,860

-Greenacre : $316,600

-Wyong : $312,940

-Tamworth : $301,440

Source : Revenue NSW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OVID 벌금 1).jpg (File Size:40.8KB/Download:29)
  2. 종합(COVID 벌금 2).jpg (File Size:128.3KB/Download:28)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4151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뉴트럴베이 아파트, 입찰자들 ‘눈치싸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21.
4150 뉴질랜드 작년 말 기준 국내 총인구는 493만명 NZ코리아포.. 19.02.21.
4149 뉴질랜드 NZ 영아사망률 “지난 10년간 5명에서 3.8명으로 개선” NZ코리아포.. 19.02.21.
4148 뉴질랜드 오클랜드 첫 주택 구입자, 30년 동안 주당 950달러 융자금 상환 NZ코리아포.. 19.02.21.
4147 뉴질랜드 이민부의 영주권 결정 이의 신청, 10건 중 4건은 잘못된 결정 NZ코리아포.. 19.02.21.
4146 뉴질랜드 하이웰, 2월 16일 설날 경로잔치 베풀어… 키위 참전용사 등 600명 참석 일요시사 19.02.20.
4145 뉴질랜드 2019년 마이클 힐 국제 바이올린 콩쿨 한국인 2명 쿼터 파이널 진출. NZ코리아포.. 19.02.20.
4144 뉴질랜드 많은 키위들 양도 소득세 도입에 반대 NZ코리아포.. 19.02.20.
4143 뉴질랜드 정부, 오클랜드와 크라이스트처치에 키위빌드 104채 계획 NZ코리아포.. 19.02.20.
4142 뉴질랜드 퀸스타운 곤돌라 “2022년까지 대규모로 확장한다” NZ코리아포.. 19.02.20.
4141 뉴질랜드 타스만 지역, 20년 이래 최악의 가뭄 NZ코리아포.. 19.02.19.
4140 뉴질랜드 구글과 페이스북 등 디지털 회사 대상, 세금 징수 계획 NZ코리아포.. 19.02.19.
4139 뉴질랜드 갈수록 치솟는 웰링턴 렌트비, 주당 595달러 신기록 도달해 NZ코리아포.. 19.02.15.
4138 뉴질랜드 노스 캔터베리의 체비엇 “14일 한낮 기온 35.6℃, 전국에서 가장 더웠다” NZ코리아포.. 19.02.15.
4137 뉴질랜드 8만 달러 넘는 세금, 윈스턴 피터스 법정 비용 등으로 쓰여 NZ코리아포.. 19.02.15.
4136 뉴질랜드 비타민C, 암이나 패혈증 치료에도 효과 있다고... NZ코리아포.. 19.02.15.
4135 뉴질랜드 연간 149회, 이틀 반에 한 번꼴로 주차위반 티켓 받은 웰링턴 운전자 NZ코리아포.. 19.02.14.
4134 뉴질랜드 중앙은행 OCR 1.75%로 동결, 내년까지 현 이자율 이어질 듯 NZ코리아포.. 19.02.14.
4133 뉴질랜드 혹스베이 지역 병원, 완전한 소독 안된의료 도구 사용 논란 NZ코리아포.. 19.02.14.
4132 뉴질랜드 30만 명 넘는 키위 해발 3미터 이내 살고 있어, 해수면 상승에 위험 NZ코리아포.. 19.02.14.
4131 뉴질랜드 임시 비자 거주 부모의 두 살된 딸,추방 통지 받아 NZ코리아포.. 19.02.13.
4130 뉴질랜드 지난해 주택가격, 지난 6년 이래 가장 저조한 속도로 상승 NZ코리아포.. 19.02.13.
4129 뉴질랜드 최근 정당 지지율 여론 조사 노동당 47.5%, 국민당 41.6% NZ코리아포.. 19.02.12.
4128 뉴질랜드 중국과의 외교 노선, 저기압 상태 NZ코리아포.. 19.02.12.
4127 뉴질랜드 인신매매와 노동력 착취 혐의로 법정에 선 방글라데시 출신 부부 NZ코리아포.. 19.02.11.
4126 뉴질랜드 “아동이 탄 차량 내에서 흡연 금지된다” NZ코리아포.. 19.02.11.
4125 뉴질랜드 빙하가 만든 거대한 얼음 조각품 NZ코리아포.. 19.02.11.
4124 뉴질랜드 경찰의 폭행 사고 늦장 처리에 알몸으로 길거리 시위에 나선 여성들 NZ코리아포.. 19.02.11.
4123 호주 시드니 북부와 동부, 30대 이후 출산 여성 가장 많아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22 호주 NSW 주 보건부, 호주 방문자에 ‘보험 가입’ 당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21 호주 “RBA, 내년 중반까지 기준금리 두 차례 인하할 것...”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20 호주 ‘정기적 운동-체중감량’ 만으로 20만 건의 암 예방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19 호주 The 14 mistakes first-time visitors to Australia make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18 호주 화끈, 짜릿, 스릴, 통쾌... 영화 장르의 새 지평을 연 자동차 액션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17 호주 전 세계 여행자들이 선정한 최고의 호텔은 어디?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16 호주 중국 여행자로 호황 누리던 호주 관광산업, 위축될 수도...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15 호주 시드니 재즈 라이브 클럽 ‘The Basement’, 다시 문 연다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14 호주 “유아 교육, 주요 생활 능력 습득... 일생 동안 영향 미쳐”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13 호주 ‘자선활동’ 버스커들의 ‘Strathfield Sessions’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12 호주 시드니 주택 구매 최적기는 ‘2008년’... 2년 전 판매자들, 수익 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11 호주 호주인들, 주택가격 하락에도 부동산 시장 전망 ‘낙관’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10 호주 시드니 주말 경매- 1/4 에이커 부지의 카슬힐 주택, 잠정가에서 $425,000 ↑ file 호주한국신문 19.02.07.
4109 뉴질랜드 실제 연주에 나선 400년 전 만들어진 명품 비올라 NZ코리아포.. 19.02.07.
4108 뉴질랜드 교사 부족 현상 심한 가운데, 교대 지원 학생들 늘고 있어 NZ코리아포.. 19.02.07.
4107 뉴질랜드 107시간 28분을 계속 방송한 DJ, 뉴질랜드 라디오 방송 최고 기록 NZ코리아포.. 19.02.07.
4106 뉴질랜드 60대 한국인 관광객 사망사고 발생 NZ코리아포.. 19.02.05.
4105 뉴질랜드 오클랜드 교통사고로 사망한 키위 아빠 돕기, 기금 10만달러 이상 모여 NZ코리아포.. 19.02.05.
4104 뉴질랜드 많은 관광객이 남긴 쓰레기로 골치인 히말라야, 뉴질랜드에도 경고 NZ코리아포.. 19.02.03.
4103 뉴질랜드 10세 소녀가 할머니에게 받은 외국수표, 은행 수수료 $300 NZ코리아포.. 19.02.03.
4102 뉴질랜드 장기사업비자 후 영주권 신청 기각, 가족 돕기 위한 청원 NZ코리아포.. 19.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