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억제 위한 조치... 연말 2.25~2.5% 전망

 

 

rate1.jpg
 
(올랜도=코리아위클리) 박윤숙 기자 =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가 지난주 3년 3개월 만에 처음으로 기준 금리 인상을 발표한 가운데 언제 다시 금리를 인상할 것인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연준은 기준 금리를 0~0.25%인 현 수준에서 0.25∼0.5% 대로 0.25%P 인상한다고 밝히고 올해 안에 여러 차례 인상이 있을 것임을 시사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일찍부터 올해 4차례 이상 추가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었다.

제롬 파월 의장은 21일 연준이 "더 신속하게 움직여야 한다"라며 더 공격적인 금리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밝혔다.

이날 전미실물경제협회(NABE) 콘퍼런스에 연설자로 나선 파월 의장은 “노동 시장은 매우 견고하지만, 인플레이션이 너무 높다”라고 지적한데 이어 “통화 정책의 기조를 좀 더 중립적인 수준으로 되돌리기 위해 신속히 움직이고, 가격 안정성 회복을 위해 좀 더 제한적인 수준으로 움직이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특히 “앞으로 회의에서 금리를 0.25%P 이상 올림으로써 더 공격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면, 그렇게 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결국 기준 금리를 0.25%P보다 더 높게 인상할 수 있다는 언급이다.

연준은 지난 16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올 연말까지 금리가 최소한 1.9%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6번 남은 FOMC 회의 때마다 0.25%P씩 금리를 올릴 것임을 시사한 것이다. 그런데 이번에 파월 의장이 금리 인상 폭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밝히면서, 기존의 0~0.25%P 인상이 아닌, 0.25~0.5%P의 인상이 있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렇다면 올해 연말까지 얼마나 오르게 될까.

<로이터> 통신은 오는 5월과 6월 FOMC 회의에서 각각 0.5%P가 오르면 연말에는 금리 수준이 2.25~2.5%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연준은 ‘중립적인 수준’의 기준 금리를 2.25~2.5%로 보고 있다.

파월 의장이 공격적인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배경은 하루가 다르게 치솟고 있는 물가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연준의 금리 인상 목표치는 인플레이션 2%인데, 지금 소비자 물가는 이를 훨씬 뛰어넘는다. 지난 2월의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7.9% 상승하면서 40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파월 의장은 “앞으로 3년 동안 인플레이션이 ‘2%에 근접하게’ 떨어질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미국 경제는 매우 강력하고 또 긴축 통화정책에 대응하기에 유리한 상황에 있다”라고 덧붙였다. 인플레이션의 연착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 |
  1. rate1.jpg (File Size:13.9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857 캐나다 BC주 제약 관리 시스템 해킹, 7천 5백 명 개인정보 노출 밴쿠버중앙일.. 17.02.18.
7856 캐나다 올 겨울 강설량 BC주 평균 79%, "눈 많이 내린 겨울 아냐" 밴쿠버중앙일.. 17.02.18.
7855 미국 섬머 프로그램 준비 서두르세요 file 코리아위클리.. 17.02.18.
7854 미국 오바마 케어 대안 없이 즉각 폐지 힘들다 코리아위클리.. 17.02.18.
7853 미국 공화 의원들, 가족이민 제한한 이민개혁안 추진 코리아위클리.. 17.02.18.
7852 미국 매년 2월 입장료 인상하는 디즈니 월드 코리아위클리.. 17.02.18.
7851 미국 미국인 결혼 비용은 평균 3만5천달러 코리아위클리.. 17.02.18.
7850 미국 “이재용 구속은 박영수 특검의 힘겨운 승리” 코리아위클리.. 17.02.18.
7849 미국 트럼프 쌍심지, 이민사회 공포 file 뉴스로_USA 17.02.23.
7848 캐나다 밴쿠버 고등학교에서 인종차별 낙서 발견 밴쿠버중앙일.. 17.02.23.
7847 캐나다 BC 교통부, 라이온스 게이트에 익스트림 스포츠 허가할까 ? 밴쿠버중앙일.. 17.02.23.
7846 캐나다 레이크 장관, "현 연방 정부 협상하기 까다로운 상대" 밴쿠버중앙일.. 17.02.23.
7845 캐나다 밴쿠버, 교통정체 캐나다 1위 불명예 차지 밴쿠버중앙일.. 17.02.23.
7844 캐나다 밴쿠버시 상징 로고 교체 계획 밴쿠버중앙일.. 17.02.23.
7843 미국 섬머 프로그램 준비 서두르세요 file 코리아위클리.. 17.02.23.
7842 미국 낯익은 맥도널드 건물 모습 사라진다 코리아위클리.. 17.02.23.
7841 미국 플로리다 딸기철 돌아왔다… 플랜트 시티 ‘기지개’ 코리아위클리.. 17.02.23.
7840 미국 작년 플로리다 방문객 1억1280만명, 6년 연속 ‘전미 1위’ 코리아위클리.. 17.02.23.
7839 캐나다 불법 약물 정책변화 주장 시위. 2백여 명 참가 밴쿠버중앙일.. 17.02.24.
7838 캐나다 써리, 캐나다 데이 전후 BC주 출신 세계적 아티스트들 공연 밴쿠버중앙일.. 17.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