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 정비 및 사회적 수용 노력 필요

 

news_img1_1457978593.jpg

(사진: 캘거리 헤럴드, 사망자의 남편 데이브 (가명) 씨) 

지난 주 앨버타에서 첫 의사조력 사망 케이스가 나오면서 큰 사회적 반향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2013년 루게릭병 진단을 받은 캘거리 여성이 법원의 허가를 얻어 남편과 절친한 친구와 함께 밴쿠버로 가 의사의 조력을 받아 생을 마감했다. 지난 해 캐나다 대법원이 조건부 안락사를 허용하면서 앨버타에서 첫 의사조력 사망 사례로 기록되었다. 캘거리 법원 실라 마틴 판사는 “H.S가 의사 조력 사망을 금지한 헌법적 예외 조건 부합해 결정을 내렸다”라고 밝혔다.
앨버타에서 첫 사례가 등장한 만큼 만성적 고통과 회복 불가능 상태인 말기 환자들의 의사조력 사망 신청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앨버타에서도 첫 사례가 나온 만큼 이제는 의사 조력 사망에 대한 사회적 합의와 제도 정비, 사망자의 가족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그 동안 의사조력 사망을 놓고 종교계를 비롯해 생명의 인위적인 중단에 대해 강력한 반대가 주류를 이루어 왔다. 의료계에서도 또한 의료 윤리 차원에서 찬반 양론으로 팽팽히 맞서고 있었다. 그러나, 캐나다 대법원이 조건부로 의사 조력 사망을 허가하면서 이제는 안락사에 대한 사회적 수용 단계에 접어 들어야 할 것을 보인다.
또한, 첫 사례를 두고 가족들과 사망한 환자에 대해 일고 있는 일부 비난의 목소리에 대해서도 재고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지난 주 월요일 사망한 H.S 씨의 남편 데이브(가명) 씨와 절친인 수잔(가명) 씨는 “우리는 세상이 그녀를 알기를 원한다. 단지 H.S라는 가명으로 알려지기를 원치 않는다. 그녀는 우리의 영웅이며 어떤 비난의 대상도 아니다”라며 일부의 비난에 대해 강한 거부 의사를 밝혔다.
남편 데이브 씨는 “아내가 자신의 죽음을 함께 해 주기를 원했으며 오랜 시간 동안 대화를 통해 합의에 이르렀다”라고 밝히며 단순 일시적인 결정이 아니었음을 주장했다.
캐나다 대법원이 올 해 6월까지 연방정부에 의사조력 사망에 대한 제도 마련을 요구한 상태여서 앨버타 주정부와 AHS 또한 관련 법률 정비와 제도마련에 착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덕수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7 미국 플로리다서 반유대주의 부추기는 사례 증가 추세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676 미국 탬파베이 주택시장, 거래 감소에도 가격은 올라 코리아위클리.. 23.05.11.
675 미국 플로리다 새 오미크론 아형 변종 확산, 결막염 야기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674 미국 중국 국적 외국인, 플로리다서 부동산 소유 불가능해지나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673 미국 플로리다 사형 선고, '배심원 만장일치' 요건 없애 file 코리아위클리.. 23.05.11.
672 캐나다 대중교통 이용한 마약 밀매 조직 대규모 소탕 밴쿠버중앙일.. 23.05.12.
671 캐나다 세계적 플루리스트 최나경 밴쿠버서 VMO와 협연 밴쿠버중앙일.. 23.05.12.
670 캐나다 BC주 삶의 만족도 상대적으로 낮아 file 밴쿠버중앙일.. 23.05.12.
669 캐나다 몬트리올 시장, 퀘벡 주 예산안에 실망 file Hancatimes 23.05.13.
668 캐나다 퀘벡 주, 16세 이하 청소년은 일주일에 최대 17시간까지 일 할 수 도록 제한 file Hancatimes 23.05.13.
667 캐나다 하이드로 퀘벡, 24시간 안에 1/3이상 가구 다시 복구 예상 file Hancatimes 23.05.13.
666 캐나다 일부 지자체 및 자치구, 정전 피해 주민을 위한 전자기기 충전 서비스 및 대피처 오픈 file Hancatimes 23.05.13.
665 캐나다 퀘벡주 의료 개혁 법안, 의료 전문가들의 불만 쏟아져 file Hancatimes 23.05.13.
664 캐나다 몬트리올 공항, 불법 택시 문제로 인한 안전 우려 file Hancatimes 23.05.13.
663 캐나다 캐나다 연방정부 공무원, 19일부터 파업 시작 file Hancatimes 23.05.13.
662 캐나다 퀘벡주, 장기 기증 관련 법안 변경 예정 file Hancatimes 23.05.13.
661 캐나다 캐나다, 불어권 노동자를 위한 새로운 이민 정책 개발 file Hancatimes 23.05.13.
660 캐나다 지역 시장들, 몬트리올 동쪽 지역 대중교통 확장 요구 file Hancatimes 23.05.13.
659 캐나다 캐나다 연방정부 공무원 파업 종료…다시 업무 복귀 file Hancatimes 23.05.13.
658 캐나다 STM, 지하철 안전과 청결 개선을 위해 추가 직원 고용 file Hancatimes 23.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