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의장국인 캄보디아가 지난 16일 다음 달 12일부터 13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아세안과 미국 간의 정상회담이 열릴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앞서 아세안-미국의 정상회담은 관계구축 45주년을 맞아 당초 3월 28일~29일로 개최될 계획이었으나 여러 아세안 정상들의 일정상의 이유로 연기되었다.

 

a_combination_photo_of_prime_minister_hun_sen_and_us_president_joe_biden._spm_joe_biden_via_facebook_0▲ 캄보디아 훈센총리,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

 

이번 아세안-미국의 정상회담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및 글로벌 건강안보, 기후 변동 해결 방안, 국가 발전 지속성, 해양 연합, 인력 자원 개발, 교육 및 유대감, 경제 협업 등의 사안에 대해 논의하며, 아울러 아세안-미국 관계의 방향성과 상호 이익 추구를 위한 파트너쉽 강화 전략에 대한 주제가 거론될 예정이다. 캄보디아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아세안 주도 메커니즘을 통한 아세안의 지역 내 중심 및 통합, 회원국 간 신뢰구축, 지역 평화, 안전 유지 및 번영 등의 주요 원칙을 재확인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캄보디아 왕립아카데미 국제관계연구소(International Relations Institute)의 킨 피아 소장은 이번 정상회담에 대해 아세안과 미국 모두 정치, 국가안보, 무역 등 다양한 분야 내에서의 협력 증진과 파트너쉽 강화 의지를 표명했으며, 따라서 양측의 관계 강화가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상황은 특히나 아세안-미국의 관계 강화의 필요성을 절감케 하는데, 이것은 미국이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와 관련된 이니셔티브에 아세안 국가들의 동참을 여러 차례 요구했으며, 아세안 국가들이 정치적, 외교적으로 난감한 입장을 겪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안 비전 연구소 메콩전략연구센터의 통 멩다빗 연구원은 이번 정상회담은 미국의 아세안 지역에 대한 “관심”과 “책임”을 반영하는 것으로, 동남아 지역의 “사람 중심의 발전”은 물론 양측 관계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 사태, 남중국해 문제, 코로나19 대응 등 지역 및 국제 안보 현안들이 주요 의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월 14일, 바이든 정부는 2022년 아세안 의장국 지위를 맡은 캄보디아와의 협업을 기대하며, 아세안-미국의 관계발전으로 지역 내 공동 목표들의 달성을 희망한다는 서신을 훈센 총리에게 전달했다./KYR번역정리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0380 몽골 어린이 보호를 위한 예산에 대해 국민 토의 실시 예정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79 몽골 수흐바타르도 보궐선거에 민주당 선출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78 몽골 민주당, 2019년도 아파트 담보 대출 지원금에 대해 비판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77 몽골 후렐수흐 총리 가을 추수 현장 방문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76 몽골 S.Batbold 시장은 카자흐스탄의 대외 무역 회의소 대표와 면담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75 몽골 몽골과 독일 간의 발전 정책 협력 지속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74 몽골 외무부 장관, 프랑스 방문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73 몽골 D.Enkhbat 국무 장관, 제 5 차 녹색 산업 컨퍼런스 참석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72 몽골 몽골 대표단, 제네바 회의 참석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71 몽골 유라시아 의회 의장 회의에 참석하는 몽골 대표단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70 몽골 노동 조합 연맹은 가솔린 가격 상승에 대한 긴급 조치를 요구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69 몽골 후렐수흐 총리 UAE 대사와 면담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68 몽골 독일, 2018-2019 년 개발 협력 사업에 5 천 4 백 5 십만 유로 지원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67 몽골 수확을 위한 긴급 조치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66 몽골 수도권 2040 일반 개발 계획 공모 발표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65 몽골 몽골 게르 수출 제품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64 몽골 몽골에서 친환경 전기버스 운영 시작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63 몽골 총리, 인구 정착을위한 일반 프로젝트에 관한 의회보고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62 몽골 대통령은 정부 기관의 당국과 아동 보호 문제를 논의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
10361 몽골 2019-2020 학년도에 완전 디지털화 된 교육 시스템 file 몽골한국신문 18.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