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AY4J8lE7_73aa8e4ebf11f34e

한국의 유학박람회 모습(한국 중앙일보)

 

캐나다 전체 노동인력 부족 돕기 위해

코로나19로 인한 입국 제한으로 지연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과 2021년간 캐나다 입국이 제한되면서 해외에서 접수된 취업과 이민 관련 신청서 처리가 지연되면서 캐나다가 필요로 하는 인력 수급에 차질이 생겼는데, 이에 대해 신속 이민 신청 선발을 7월부터 재개될 예정이다.

 

션 프레이저 연방이민부장관(Minister of Immigration, Refugees and Citizenship)은 신속 이민(Express Entry) 선발을 곧 재개해 7월 초에 영주권 신청을 하려는 신청자를 대상으로 초청장을 발송할 예정이라고 22일 발표했다.  

 

이번에 다시 신청 서류에 대한 재개를 하고 나면 대부분의 새 신청서를 6개월 이내에 처리한다는 방침이다.

 

프레이저 장관은 코로나19 회복 단계에 들어감에 따라, 전국적으로 모든 산업분야에서 고용주들이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캐나다 경제 성장률이 노동자를 찾아내고 유지하는 것보다 더 빠르기 때문에 이민자가 캐나다의 경제 발전을 위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존재라고 봤다.

 

2020년과 2021년 방역 조치로 취해졌던 여행 제한으로 해외 이민 관련 신청서류 처리가 지연됐고, 이에 따라 적체된 신청서가 크게 늘어난 상황이다. 이런 적체 신청서를 처리하기 위해 연방이민부는 캐나다 경력 분야와 연방숙련 노동자 분야, 그리고 연방 숙련 기술자 분야 등 연방 고숙련 이민 분야 관련 신청자에 대한 초대장 발송을 일시적으로 중단했었다.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되기 전 접수된 신청 서류가 4만 8000개였으나 2021년 9월에 11만 1900개로 급증했었다. 결국 일시적으로 새 신청 서류 접수를 중단하면서 적체 됐던 신청서를 절반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오는 7월 이면 처리 가능한 수준으로 신청 서류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이번에 다시 신청 접수를 재개할 수 있다고 봤다.

 

또 이번 발표에서 캐나다에 와 있는 유학생들이 캐나다에서 임시 거주 기간을 연장하는 일시적인 정책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올 여름부터 올 1월부터 12월까지 졸업 후 취업 허가를 받은 경우 최대 18개월까지 추가로 개방형 취업 허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캐나다는 캐나다의 교육기관에서 수학을 한 유학생들이 캐나나 노동시장에 빨리 적응할 수 있고, 부족한 노동력을 채울 수 있다고 보고 적극적으로 영주권자로 받아 들여왔다. 이를 통해 매년 수 많은 유학생 신분에서 영주권자 신분으로 바뀌었다. 2021년에만 유학생 출신 15만 7000명 이상이 영주권자가 됐다. 이중 8만 8000명 이상이 졸업후 취업 허가에서 바로 영주권자로 신분이 바뀌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597 캐나다 테러 불구, 차별 정책 반대 목소리 줄이어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6 캐나다 UBC와 SFU, 트럼프 이슬람 여행 제약 규탄 성명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5 캐나다 클락 수상, "워크 퍼밋 소지자, 외국인 부동산 취득세 제외" 천명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4 캐나다 새해에도 계속되는 펜타닐 사태, 과다복용 사례 증가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3 캐나다 밴쿠버 집값 상승률 세계 최고 수준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2 캐나다 BC주, 대대적인 아동 보호시설 개혁 필요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1 캐나다 BC주민들, 높은 주거비 부담에 '삶의 질' 떨어져 밴쿠버중앙일.. 17.02.02.
1590 미국 트럼프 ‘무슬림 규제’ 제 잇속 차리기 file 뉴스로_USA 17.01.31.
1589 미국 “반기문은 결점 많은 별 볼 일 없는 대선후보” 코리아위클리.. 17.01.29.
1588 미국 <뉴욕타임스> “블랙리스트 폭로는 문체부 직원들의 공로” 코리아위클리.. 17.01.29.
1587 미국 케네디 스페이스 센터, '화성 세대' 겨냥해 변신 코리아위클리.. 17.01.29.
1586 미국 해마다 커지는 올랜도 북부 샌포드 공항 코리아위클리.. 17.01.29.
1585 미국 링링 서커스단 폐쇄… 시월드도 위태롭다 코리아위클리.. 17.01.29.
1584 미국 ‘오바마케어’ 혼선..지금 미국은 file 뉴스로_USA 17.01.29.
1583 미국 美도시들 ‘반이민정책’ 트럼프와 전선 file 뉴스로_USA 17.01.28.
1582 캐나다 코퀴틀람 도서관, 넓고 편한 독서 라운지 개설 밴쿠버중앙일.. 17.01.28.
1581 캐나다 작년 대중교통 이용객 신기록 수립 밴쿠버중앙일.. 17.01.28.
1580 캐나다 밴쿠버 부동산, 이상 징후 지속 밴쿠버중앙일.. 17.01.28.
1579 캐나다 2036년, 비공식 언어 사용자 급증 밴쿠버중앙일.. 17.01.28.
1578 캐나다 BC주 방문 한인 증가율, 지난 해 가을 들어 정체 밴쿠버중앙일.. 17.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