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Director ID).jpg

ATO가 관리하는 ‘Australian Business Registry Services’(ABRS)에서 모든 회사 이사들을 대상으로 본인의 ‘이사 신원확인번호’(Director ID)를 신청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Director ID’는 회사 이사들에게 적용되는 신규 요건이다. 사진은 ABRS 웹사이트의 관련 안내 페이지. 사진 : ABRS 웹사이트 발췌.

 

ATO가 이사들에게 적용하는 신규 요건, 한 번 신청으로 평생 보유 가능

 

호주 국세청(ATO)이 관리하는 ‘Australian Business Registry Services’(호주 사업자등록서비스, 이하 ‘ABRS’)에서 모든 회사 이사들을 대상으로 본인의 ‘이사 신원확인번호’(Director ID)를 신청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현재 관련 웹사이트에는 한국어로 자세한 내용이 업로드 되어 있다.

‘Director ID’는 회사 이사들에게 적용되는 신규 요건이다. 이는 개별 신원확인번호이며, 이사가 한 번만 신청하면 평생 보유할 수 있다.

회사, 등록된 호주 단체 및 등록된 외국 회사들의 모든 이사들은 의무적으로 Director ID를 신청해야 한다. 신청은 무료이며, 호주 국내 및 국외에 있는 이사들이 모두 이용할 수 있다.

ATO의 마틴 제이콥스(Martin Jacobs) 부청장은 “Director ID 온라인 신청은 빠르고 편리하다”고 강조하며 “ATO는 여러분을 돕기 위해 있으며, 여러분이 원하는 언어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온라인 신청을 위해 ABRS 웹사이트(abrs.gov.au)를 방문하여 검색어에 ‘Other languages’를 입력하면 한국어로 되어 있는 ‘Director ID’ 시청방법 및 시기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이사로 재직하거나 향후 12개월 이내에 이사가 될 예정인 경우, 지금 본인의 Director ID를 신청할 수 있다. 처음으로 이사에 임명되는 경우, 반드시 임명되기 전에 신청해야 한다. 또 2021년 10월 31일이나 그 이전에 임명된 이사들은 반드시 2022년 11월 30일까지 본인의 Director ID 신청이 필요하다.

ATO 권고에 따르면 ABRS의 신청 사이트(abrs.gov.au/directorIDapply. 영어)에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다. 이를 신청하는 이들은 호주 정부의 디지털 신원 확인 앱인 myGovID를 통해 본인의 신원을 인증해야 한다. 아울러 온라인 신청이 불가한 이사들이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신청 방법들도 있으며, 이사들은 신청 기한 연장을 요청할 수 있다.

ATO는 이사들이 본인의 신원 인증을 위해 반드시 직접 Director ID를 신청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등록된 ASIC 대리인, 세무사나 BAS 대행인이 이사를 대신해서 신청할 수 없다. 다만 ATO 권고에 따르면, 이사들은 이 요건에 대한 이해, 신청 의무 여부 및 시기와 관련해서 대리인들에게 도움을 구할 수 있다.

제이콥스 부청장은 “이사들이 기한 내에 신청할 수 없는 경우 국세청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며 “이사들이 신청 기한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 ATO에서 당사자들에게 연락해 신청을 권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Director ID).jpg (File Size:129.0KB/Download:43)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083 호주 “호주 동포사회, ‘자주성 회복 위한 선열들의 한 마음’ 생각할 때...”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3082 호주 호주 노던 테러토리 현지에 한국 타악기의 새로운 매력 선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3081 호주 ‘웰빙 한식의 세계화’ 주제로 한 ‘Korean Food Festival’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1.
3080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5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3079 호주 올해 13회 맞는 ‘호주한국영화제’, 시드니 등 4개 도시서 총 13편 상영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3078 호주 제10차 세계일본군‘위안부’기림일... 시드니 동포들, 기념집회 예정 file 호주한국신문 22.08.04.
3077 호주 ‘한국전쟁 정전 69주년’... 3년 만에 기념식 다시 개최돼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8.
3076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24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3075 호주 호주 최고 인기의 ‘크리켓 골든 커플’, 한인 동포기업 홍보대사 되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3074 호주 크로이돈 파크 한인회관 ‘재계약’, 아직 불투명... 회관 확보, 핵심 과제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3073 호주 한인 청소년 대상 민족캠프 교육, 올해 ‘대면’ 진행으로 재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21.
3072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20 호주한국신문 22.07.14.
3071 호주 가언과 진언과 사이- 23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3070 호주 한인 청년 중심의 대학생 단체 ‘에코’, RBA와 손잡고 교육 전도사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7.07.
3069 호주 오지라퍼의 세상사 참견- 19 호주한국신문 22.06.30.
3068 호주 시드니 ‘빵집’ 가족을 통해 본 우리네 일상의 또 다른 이야기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3067 호주 한인 요식업체들, ‘한식 알리기’에서 이제는 ‘음식 한류 확산’ 활동으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3066 호주 올해 ‘호주 패션위크’서 선보인 패션 디자이너 김수군씨 작품, 화보로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3065 호주 민주평통 아태지역회의, 한국전 참전 ‘호주 UDT 대원 소개 영상’ 제작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
3064 호주 시드니 한국문화원, ‘굿푸드앤와인쇼’에서 ‘한식 마스터클래스’ 진행 file 호주한국신문 22.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