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Berrima Gaol 1).jpg

지난 2020년 초 문을 닫은 베리마 감옥(Berrima Gaol. 가장 최근 이름은 Berrima Correctional Centre)이 시드니 서부 스포츠 매니지먼트 회사 소유주이자 부동산 개발업자인 ‘Blue Sox Group’의 조 웨비(Joe Wehbe)씨에게 매각됐다. 매각 금액은 700만 달러로 알려졌다. 사진은 베리마 감옥 입구. 사진 : 김지환 / The Korean Herald

 

시드니 서부 부동산 개발업체이자 스포츠 매니지먼트 ‘Blue Sox Developments’에

베리마 지역민들, “지역사회 이익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강하게 반발...

 

시드니 남부, 서던 하일랜드 지역(Southern Highlands region)의 베리마는 오랜 역사 유산을 가진 타운이다. 백인정착 초기, 시드니 남부 지역 개발이 진행되면서 이 지역 행정 중심지로 형성된 이곳에 들어선 베리마 감옥(Berrima Gaol)은, 바로 옆에 자리한 베리마 법원과 함께 당시의 모습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아이콘이기도 하다.

지난 2020년까지 교도소로서 기능하다 문을 닫은 이 부지와 건물이 시드니 서부(Western Sydney)의 부동산 개발회사이자 스포츠 매니지먼트 사 운영자인 조 웨비(Joe Wehbe)씨에게 매각되었다는 소식이다. 지난 5월 19일(목) 부동산 정보회사 ‘도메인’(Domain)에 따르면, 이 부동산을 손에 넣기 위해 웨비씨가 NSW 주 정부에 지불한 금액은 700만 달러이다.

NSW 주 기획부 앤서니 로버츠(Anthony Roberts) 장관은 매각을 발표하면서 이 부지가 웨비씨의 부동산 개발회사인 ‘Blue Sox Developments’에 의해 “독특한 호텔 및 엔터테인먼트 구역으로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로버츠 장관은 “개발회사의 제안은 베리마 사유지의 아름다운 경관을 유지하면서 부티크 호텔을 포함해 카페, 레스토랑, 바(bar). 커뮤니티 및 이벤트 공간, 골동품 숍, 서점, 개인 서비스, 미술관, 도서관 및 박물관 등 소규모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만들어질 것”이라고 소개했다.

하지만 이 결정은 지역사회의 이익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베리마거주민협의회’(Berrima Residents Association) 및 지역 투자자들로부터 강한 반발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매각 과정에서 이 부동산이 대규모 접객서비스 시설로 바뀔 것이라는 우려 속에 베리마거주민협의회가 ‘매각절차 중단’을 촉구하는 온라인 청원을 시작한 지 불과 6개월 만에 나온 결정이어서 NSW 주 정부가 서둘러 매각을 진행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부동산(Berrima Gaol 2).jpg

1839년 문을 연 베리마 감옥은 이곳 바로 옆에 있는 베리마 법원(Berrima Couthouse)와 함께 베리마의 오랜 역사를 보여주는 상징적 건축물이기도 하다. 사진 : Commercial Real Estate

   

베리마거주민협의회의 에릭 새비지(Eric Savage) 회장은 “우리는 철저히 홀대받았고 지역사회 이익은 이번 매각 절차에서 배제되었다”고 비난한 뒤 “내년에 치러질 NSW 주 선거를 잊지 못할 것”이라며 자유-국민 연립 주 정부에 대한 강한 불신을 드러냈다.

올해 이 지역 카운슬(Wingecarribee Shire Council)로부터 ‘윈지캐리비 올해의 인물’(Wingecarribee Citizen of the Year for 2022)로 선정되기도 했던 새비지 회장은 “우리는 이곳을 활기차고 창조적 구역으로 조성하기 위해 서던 하일랜드 상공회의소의 의견을 기반으로 하여 예술 중심구역으로, 지역 농장 운영자를 위한 마켓으로, 또 80~100석 규모의 극장과 공연장을 만들기 위한 비전을 개발했다”며 “우리가 준비한 계획안은 베리마 타운뿐 아니라 이 지역 원주민의 역사를 모두 존중하여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비지 회장은 “하지만 주 정부가 공지한 ‘관심 표명’ 기간(expressions of interest campaign)에 우리의 제안서를 제출했지만 이후 입찰 절차에 대해서는 아무런 통보도 받지 못했다”며 “주 정부는 이 부동산 매각을 놓고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데 관심이 없었다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베리마 지역에서 목축업을 하는 테오 오니스포로(Theo Onisforou)씨도 “1.9헥타르의 감옥 부지에 패딩턴 스타일(Paddington-style. 시드니 동부 패딩턴의 테라스 주택들을 의미)의 저층 타운하우스를 지을 제안을 했다는 소식을 듣고 매각에 이의를 제기했다”며 “내 제안의 일부로 이 감옥을 지역사회에 주지 않았다면 나는 700만 달러 이상을 지불해 내가 구입했을 것”이라며 주 정부의 결정을 질타했다.

베리마 감옥은 백인들에 의해 서던 하일랜드 지역이 개발될 당시인 1830년대, 죄수들이 동원되어 지어졌으며, 1839년 감옥으로 문을 열었다. 이곳에 수감됐던 죄수 가운데 가장 유명한 인물은 1842년 호주 최초의 연쇄살인마이자 도끼 살인자로 알려진 존 린치(John Lynch)로, 그는 이곳에 수감되었다가 교수형에 처해졌다.

 

부동산(Berrima Gaol 3).jpg

NSW 주에서 가장 가혹한 교도소 중 하나로 이름을 떨치기도 했던 이곳은, 제1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독일군 포로수용소로 활용되기도 했으며 2001년에는 여성 범죄자만 수용하면서 ‘Berrima Correctional Centre’로 이름이 바뀌기도 했다. 이 부동산은 1.9헥타르의 넓이 이다. 사진 : Commercial Real Estate

   

1887년에는 교도소 실태를 조사한 왕립조사위원회(Royal Commission)으로부터 ‘NSW 주에서 가장 가혹한 징벌이 이루어지는 교도소 증 하나’라는 이름을 얻었다. 이곳에 수감된 죄수들은 오랫동안 어두운 독방에 수감되어 있거나 종종 죄수의 입에 재갈을 물리기도 했던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또한 제1차 세계대전 중에는 독일군 포로를 수감하던 시설로 사용되기도 했다. 지금도 베리마 일대에는 당시 독일군 포로들을 동원해 만들 시설들이 남아 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다시 교도소로 전환되어 범죄자들을 수용했다.

그러다 지난 2001년, 여성 범죄자를 수용하기 시작하면서 ‘Berrima Correctional Centre’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2년 전인 2020년에는 더 이상 목적에 적합하지 않다는 판단으로 문을 닫게 됐다.

이 부동산을 매입한 웨비씨의 ‘Blue Sox Group’은 시드니 서부 펜들힐(Pendle Hill), 웬트워스빌(Wentworthville), 조던 스프링스(Jordan Springs) 등에서 복합용도의 부동산을 개발해온 회사이다.

웨비씨는 또한 앤서니 필드(Anthony Field) 및 조나단 웨비(Jonathan Wehbe)씨가 이끄는 스포츠 매니지먼트 회사 ‘Ignite Sports’의 실제 소유주로 알려져 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부동산(Berrima Gaol 1).jpg (File Size:140.0KB/Download:16)
  2. 부동산(Berrima Gaol 2).jpg (File Size:85.7KB/Download:14)
  3. 부동산(Berrima Gaol 3).jpg (File Size:144.5KB/Download:16)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6751 뉴질랜드 아파트 시세는 상승하고 렌트비는 안정세 굿데이뉴질랜.. 14.04.06.
6750 뉴질랜드 금세기안으로 뉴질랜드 해수면 50cm 상승할 것 굿데이뉴질랜.. 14.04.06.
6749 뉴질랜드 오클랜드공항 활주로 추가건설등 확장공사 file 굿데이뉴질랜.. 14.04.06.
6748 호주 시드니 경매 시장, 10주째 낙찰률 80% 이상 기록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7 호주 경매시장 활황... 피어몬트 한 아파트, 5분 만에 낙찰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6 호주 도요타 ‘Yaris’ ‘Hilux’ 모델, 안전 문제로 리콜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5 호주 뒤따라온 남성, 냄비로 가격한 여성 화제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4 호주 호주-한국 정상, 양국 간 FTA 협정문 서명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3 호주 어번 가정집 앞에 유기된 아기 발견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2 호주 브리즈번 프랑스 유학생 살해용의자 체포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1 호주 X 세대들, 부모 세대인 ‘베이비부머’보다 ‘뚱뚱’ 호주한국신문 14.04.10.
6740 호주 ‘The Star’ 카지노, 700명 이상 ‘출입금지’ 조치돼 호주한국신문 14.04.10.
6739 호주 시드니 공항, 국내 4대 주요 공항 가운데 ‘최악’ 평가 호주한국신문 14.04.10.
6738 호주 끊이지 않는 시드니 지역 갱들의 전쟁... ‘표적공격’ 잇따라 호주한국신문 14.04.10.
6737 뉴질랜드 뉴질랜드 결국은 공화정(共和政)으로 갈 것인가 file 굿데이뉴질랜.. 14.04.14.
6736 뉴질랜드 한국 전체에서 2명, 호주 전체에서 2명의 학생만이 합격 file 굿데이뉴질랜.. 14.04.14.
6735 호주 시드니 ‘슈퍼 새터데이’... 판매-구매자들, ‘샴페인’ 호주한국신문 14.04.17.
6734 호주 K‘POP’ the Concourse!, 채스우드서 야외공연으로 호주한국신문 14.04.17.
6733 호주 “일상의 스트레스, 통기타로 날려버려요~~” 호주한국신문 14.04.17.
6732 호주 애보트 수상, 시드니 제2공항 부지로 ‘뱃저리스 크릭’ 결정 호주한국신문 14.04.17.
6731 호주 조 호키 장관, ‘노인연금 수령 70세로 상향’ 검토 호주한국신문 14.04.17.
6730 호주 벨뷰 힐(Bellevue Hill), 전국 최고 주택투자 지역으로 꼽혀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9 호주 호주인들 공화제 지지 비율 42%로 낮아져... 역대 최저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8 호주 호주 자동차 제조업 붕괴로 20만 개 일자리 사라져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7 호주 NSW 주 오파렐 수상, 고가 와인 수뢰 시인하고 사임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6 호주 호주 중앙은행, 현 기준금리 유지키로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5 호주 애보트 수상 인기도 하락, 녹색당 지지도 급상승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4 호주 청정 호주? 일부 해변들, 불법 폐기물 투기로 ‘몸살’ 호주한국신문 14.04.17.
6723 뉴질랜드 로드 머펫 인형 3000달러에 판매 굿데이뉴질랜.. 14.04.22.
6722 호주 경전철 연장으로 마로브라 부동산 가격 ‘들썩’ 호주한국신문 14.04.24.
6721 호주 시드니 시티, 대대적인 아파트 건설 붐 호주한국신문 14.04.24.
6720 호주 한국 방문 호주 교장들, “뷰티풀, 멋있어요”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9 호주 “그날 이후-금기가 시작되었고... 깨졌다”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8 호주 갈리폴리 상륙 99주년 ‘안작 데이’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7 호주 호주판 ‘늙은 군인의 노래’, ‘And the Band Played Waltzing Matilda’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6 호주 부동산 분석가들, 시드니 부동산 ‘안정기’ 분석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5 호주 배어드 신임 주 수상, 차기 선거 겨냥한 개각 단행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4 호주 중국, 호주 주요 대학에서 스파이 활동 드러나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3 호주 시드니 소재 유명 사립학교들 ‘시설 경쟁’ 과열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2 호주 각 부처 최고 공무원들, 연봉 5% 이상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1 호주 광역 시드니 및 주변 지역 거주민 기대 수명은... 호주한국신문 14.04.24.
6710 호주 NSW 노동당의 우상, 네빌 랜 전 수상 타계 호주한국신문 14.04.24.
6709 호주 맹견 공격으로 91세 여성 치명적 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4.04.24.
6708 호주 시드니 부동산 활황기, 북서부 지역 가장 많이 올라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7 호주 ‘세월호 참사’ 관련, 시드니한인회 합동분향소 마련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6 호주 애보트 정부 ‘인종차별금지법 개정’ 관련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5 호주 ‘세월호 참사’ 애도 분위기 속 ‘탁구대회’ 성료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4 호주 동포화가 수향 선생 작품, ‘Berndt Museum’서 초대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3 호주 시드니 부동산 활황, 저소득 계층에게는 ‘재앙’ 호주한국신문 14.05.01.
6702 호주 시드니, ‘유학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도시’ 포함 호주한국신문 14.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