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using-meeting.jpg

 

8fd23f8b-8ccb-4fc6-8801-a82d5ef7d372_500.jpg

 

a2c53a1b-1078-44a8-9652-388f2cb9b888_500.jpg

 

4283c553-460f-43fe-aca2-0bbc04ba5fa1_500.jpg

 

b3e9c054-37fc-4bab-8b4d-ed87ebd3536c_500.jpg

'Hellenic Community Hall'에서 열린 타운 미팅에 참석한 시민들 

 

부제: 제 1 야당 신민당 주최, 다양한 의견 쏟아져 나와

 

지난 16일(수), 밴쿠버의 부동산 시장 과열 문제에 대한 주민 목소리를 듣기 위한 타운홀 미팅(Town Hall Meeting, 정책 결정권이 있는 선출 정치인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정책 또는 주요 이슈에 대한 의견을 듣는 비공식적 공개 회의를 뜻함)이 열렸다. 

 

BC 신민당(NDP) 데이비드 에비(David Eby, Vancouver-Point Grey) MLA와 존 호건(John Horgan) 신민당 당수가 주최한 미팅으로, 7백명 가량의 메트로 밴쿠버 주민들이 참석해 집 값 상승에 대한 각자 의견을 말했다. .

 

에비 MLA는 고가 부동산 밀집 지역을 대표하는 주의원으로서 특히 고가 부동산 시장에 대한 우려를 여러 차례 이야기한 바 있다. 이 날 미팅에서 그는 “현재 밴쿠버의 부동산 시장은 투기의 지배를 받고 있다. 이는 전적으로 정부의 관리와 규정이 부족한 탓”이라고 말하며 여당 자유당을 공격했다. 

 

뒤이은 호건 당수 역시 “곧 부동산 시장과 관련해 두 개의 법안을 주의회에서 발의할 예정이다. 하나는 섀도우 플리핑(Shadow Flipping, 리얼터가 하나의 주택을 짧은 기간 동안 여러 번 되팔아 자신과 중간 구매자들에게 이득을 남기는 것)에 대한 것이고, 또 하나는 외국인의 부동산 구매를 상세히 파악해  현지 주민들보다 높은 세금을 내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스밴에 거주하는 한 주민은 “얼마전 은퇴 이후 예금을 늘리려고 더 작은 집으로 이사가기로 결정했다. 그런데 집 값이 너무 올라 우리 부부가 원하는 가격에 적당한 집을 구할 수가 없었다. 현재 우리는 임대 중”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그런데 집을 처분한 이후 아주 짧은 기간 안에 그 가치가 30~ 40% 가량 상승한 것을 알고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딸 아이의 가족이 걱정되어 오게 되었다”는 한 노년 여성은 “부부가 모두 밴쿠버에서 일을 한다. 젊은 사람들이 직장과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이들은 아파트를 임대 중인데 이미 임대주들과 갈등을 겪은 적이 몇 차례있어 걱정을 놓을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던바(Dunbar) 지역에서 자신이 소유한 주택에 거주 중이라는 한 시민은 “우리 집도 가치가 크게 뛰었다. 그러나 하나도 기쁘지 않다. 우리 사회의 젊은 부부들과 그 가족들을 생각하면 내가 손해를 보더라도 집 값이 내렸으면 하는 바램”이라고 덧붙였다. 

 

“아직 한번도 내 집을 소유해 본 적이 없다”는 한 50대 남성은 “내 수입 수준은 결코 낮지 않다. 그러나 내 집은 꿈도 못꾸는 형편이다. 몇해 전 처음으로 내 집을 마련해야겠다고 생각했는데, 갑자기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기 시작해 마음을 접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임대하던 주택이 새로 리노베이션을 한다며 거주민들을 모두 퇴거시켰다”고 말했다. 

 

이번 미팅에서는 중국계 캐나다인 참석자들도 눈에 띄었다. 이들 중 한 사람은 중국인들의 부동산 구매력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것이 신경쓰이는 듯 “부동산 시장에 대한 논쟁이 인종 갈등으로 번지지 않기만을 바란다”고 말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717 캐나다 메트로밴쿠버대중교통경찰 교통시설 대거 투입 file 밴쿠버중앙일.. 23.04.15.
716 캐나다 써리 17세 소년 살인범 입건 - 살해 동기는? file 밴쿠버중앙일.. 23.04.19.
715 캐나다 2월과 3월 BC 마약오남용 사망자 374명 file 밴쿠버중앙일.. 23.04.19.
714 캐나다 먹고 살기 너무 힘들다 - 식품물가·모기지 이자 여전히 고공행진 file 밴쿠버중앙일.. 23.04.19.
713 캐나다 당신의 이웃을 얼마나 믿습니까? 그래서 얼마나 행복합니까?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0.
712 캐나다 밴쿠버 다운타운↔나나이모 고속 페리 런칭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0.
711 캐나다 모든 사람에게 캐나다 사법시스템 공정할까? - 45%만 동의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0.
710 캐나다 스카이트레인에서 흉기를 휘드른 자에 주목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1.
709 캐나다 연방공무원 노조 파업 - 소득신고나 여권 발급 어떻게! 밴쿠버중앙일.. 23.04.21.
708 캐나다 인플레이션 완화 효과? - 실업급여자 전달 대비 3% 증가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1.
707 캐나다 메트로타운서 89세 할머니 묻지마 폭행 당해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2.
706 캐나다 밴쿠버 K-막걸리 대표 밴맥, 주류사회 공략 다운타운 매장 오픈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2.
705 캐나다 한국 주말사이 엠폭스 환자 10명이나 추가 확인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5.
704 캐나다 캐나다서 아프면 한국으로 치료 받으러 가야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5.
703 캐나다 BC에서 주급으로 1175달러 이상은 받아야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8.
702 캐나다 29일 캐나다과기협 수학 경시대회 밴쿠버중앙일.. 23.04.28.
701 캐나다 주변 마약사범 신고해 2000만원 벌자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8.
700 캐나다 주정부, 써리 시경찰 체제 유지를 지지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9.
699 캐나다 캐나다인, 트뤼도나 보일리에브나 '건방지다' 생각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9.
698 캐나다 한국 1분기 대 캐나다 승용차 수출액 전년대비 55.3% 증가 file 밴쿠버중앙일.. 23.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