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패션화보 1).jpg

김수군 디자이너의 의상 화보 작업에는 ‘다운증후군’ 모델 겸 댄서인 송예나씨(사진)가 함께 해, 김수근씨가 의상에 담아낸 메시지를 표현하고자 노력했다. 사진 : leeseophotography 제공

 

사회적 이슈 담은 작품들... ‘다운증후군’ 모델 송예나씨와 콜라보 작업 진행

 

패션 디자이너 김수군씨와 ‘다운증후군’을 극복하고 모델 겸 댄서로 활동하고 있는 송예나씨의 특별한 콜라보 작업이 진행됐다.

김수군 디자이너는 최근 ‘TAFE NSW 패션디자인스튜디오’에서 ‘2021년 최고의 졸업생 5명’에 선정, 호주의 주목 받는 디자이너로 부상했으며, 이를 계기로 올해 ‘호주패션주간’(Australian Fashion Week: AAFW)에 초청, 그만의 독특한 아이디어와 빼어난 디자인 감각을 선보인 바 있다.

송예나씨와의 콜라보 작업은 김수군 다자이너의 작품을 화보로 선보이기 위한 것으로, 조아라 헤어 & 메이크업 아티스트와 이서 작가, 나윤주 킹스발레아카데미 원장 등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이번 콜라보 의상은 김수군 디자이너가 패션위크 런웨이에서 선보였던 작품으로, 종교를 통해 인류가 직면했거나 앞으로 맞닥뜨릴 수 있는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메시지를 담아낸 것이다.

컬렉션에서 선보인 ‘LOOK2’의 디자인은 성경에 나오는 아마겟돈에서의 예수를 형상화하고, 디지털 프린팅이나 스크린 프린팅 등의 경우에는 인류가 일으키는 전쟁을 비판하는 등 갖가지 사회적 이슈(인종차별, 코로나 바이러스 등)를 성경 내용에 비추어 전달한다.

 

종합(패션화보 2).jpg

‘TAFE NSW 패션디자인스튜디오’에서 ‘2021년 최고의 졸업생 5명’에 선정, 올해 ‘호주패션주간’(Australian Fashion Week: AAFW)에 초청되어 작품을 선보인 바 있는 디자이너 김수군씨(사진).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갖가지 사회적 문제를 성경 메시지에 비추어 표현한 독특한 작품으로 호주 패션계의 주목을 받았다. 사진 : leeseophotography 제공

   

60년 넘는 전통의 ‘TAFE NSW 패션디자인스튜디오’는 호주 패션 산업을 이끄는 주역들을 배출해 왔다. 시몬 짐머만(Simone Zimmermann), 알렉스 페리(Alex Ferry), 디온 리(Dion Lee) 등 유명 디자이너들이 이 학교 출신이다. 호주패션위크에서는 TAFE NSW를 대표하기 위해 매년 5명의 패션 디자인 학사 졸업생을 선발한다.

김수군 디자이너는 “다운증후군 모델로 활동하며 억제된 시선해서 탈피하는 송예나씨와 기후변화, 인권문제 등 기존의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인식 변화의 필요성을 담은 의상이 잘 어울릴 수 있을 것 같아 함께하게 됐다”고 말했다.

현재 김수군 디자이너는 밀라노에서 열리는 패션어워드를 신청한 상태이며, 내년에는 한국에서 진행되는 K-패션 오디션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오는 2024년에는 뉴욕 패션위크에도 참가한다는 계획이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패션화보 1).jpg (File Size:84.7KB/Download:40)
  2. 종합(패션화보 2).jpg (File Size:22.2KB/Download:37)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3103 호주 ‘예외적’ 국적이탈 절차 신설한 국적법 개정안 시행 file 호주한국신문 22.10.20.
3102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30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3101 호주 동포자녀 청소년 대상 ‘정체성 강화’ 취지의 ‘민족캠프 성료 file 호주한국신문 22.10.13.
3100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9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3099 호주 3년 만에 다시 열리는 전국체육대회를 보며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3098 호주 호주 학생들의 ‘한국어로 선보인 문화경연’... 미술-공연 부문 경합 file 호주한국신문 22.09.29.
3097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8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3096 호주 40년 현장 대기자의 진단, “한국 언론의 문제는 정치 지형과 맞물려간다는 것...”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3095 호주 “청소년들 모두 열정을 갖고 최선을 다하는 모습, 감동적이었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3094 호주 “우리 모두 한가위와 같은 풍성한 미래 만들어갑시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15.
3093 호주 ‘2022 FIBA 여자 농구 월드컵’, 이달 22일부터 시드니 올림픽 파크서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3092 호주 ‘제마이홀딩스’ 이숙진 CEO, ‘장보고 한상 어워드’ 국회의장상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8.
3091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7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3090 호주 시드니 도심 한복판에서 360도 영상으로 접하는 한국의 사계절 풍경들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3089 호주 번역문학가 김소라씨, 호주서 한국문학 작품 소개 활동 계획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3088 호주 세계인의 축제로 발돋움한 ‘금산인삼제’ 9월30일부터 11일간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3087 호주 류병수 전 시드니한인회장, 향년 75세로 타계 file 호주한국신문 22.09.01.
3086 호주 시드니한국문화원, 한국 도자의 예술성-실용성 선보인다 file 호주한국신문 22.08.25.
3085 호주 가언과 진언 사이- 26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
3084 호주 시드니서 전한 ‘K-히스토리’... 동포 예술가들의 ‘광복절 프로젝트’ 공연 file 호주한국신문 22.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