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Canada and PHAC Twitter

보건 관계자들은 이번 가을 다시 코로나바이러스 재확산할 것을 우려해 미리 코로나19 추가 백신 접종받으라고 촉구하고 있다.

 

캐나다 공중보건국(PHAC) 책임자인 테레사 탐(Theresa Tam) 박사는 현재 캐나다 대부분 지역에서 코로나19 환자 및 기타 지표가 안정적 유지되고 있거나 감소하고 있지만, 바이러스는 여전히 퍼지고 있으며, 가을철에 다시 한번 재확산 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또한 미국과 유럽에서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하위 변이인 BA.4, BA.5가 캐나다에서도 빠르게 우세 종으로 자리 잡고 있어 추가적인 우려를 낳고 있다.

 

따라서 보건 당국은 2021년에 투여된 2차 백신에 의한 면역력은 이제 약화하였으며, 더 이상 2차 백신으로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빨리 추가 백신 접종을 받을 것을 강력히 권장하고 있다.

 

쟝-이브 듀클로(Jean-Yves Duclos) 캐나다 보건부 장관은 지난 9개월 이내에 마지막 접종을 받은 경우에만 코로나19 백신을 최신 상태로 간주한다고 말했다.

 

또한 연방정부는 “예전의 공중 보건 방침처럼 더 제한적”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고 덧붙였다.

 

캐나다 국립접종자문위원회(NACI)는 코로나19로 인해 질병 가능성이 큰 캐나다인에게 이전에 받은 추가 접종 횟수와 상관없이 추가 접종을 제공해야 한다는 권고 지침을 발표했다.

 

또한 해당 지침은 12세~64세 사이의 모든 사람에게도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달 초, 탐 박사는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 백신 효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50~80%에서 2차 접종 6개월 후 20% 또는 그 이하로 크게 떨어졌다고 설명했었다.

 

현재 캐나다인의 60%만이 백신 접종받았으며, 탐 박사는 아직 접종하지 않은 40%를 설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며 중요한 것은 왜 그들이 백신 접종받지 않기로 선택했는지 이해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로운 변이가 등장함에 따라 많은 국가에서 현재 일부 백신 제조업체로부터 바이러스 돌연변이에 대한 보다 표적화된 보호 기능을 갖춘 COVID-19 백신의 새로운 제형에 대한 것을 요구하고 있다.

 

탐 박사는 지금까지 이들 회사 중 어느 회사도 업데이트된 백신에 대한 데이터를 캐나다 보건 기관에 제출하지 않았다고 하며 해당 정보가 가능한 한 빨리 보건부에 제출되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9일 범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도록 개발되기 위한 가속화된 노력과 장려책을 촉구했다.

몬트리올 한카타임즈

  • |
  1. FWgzNGKXgAIR5cQ-696x392.jpg (File Size:37.2KB/Download:9)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357 미국 플로리다 민주당, 올해 의회 선거서 뒤집을 수 있을까? file 코리아위클리.. 22.07.05.
1356 미국 '드래그 쇼' 반대하는 플로리다 주지사, 그 이유가 마뜩잖네! file 코리아위클리.. 22.07.05.
1355 캐나다 BC주민 2030년 동계올림픽 재유치 호의적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6.
1354 캐나다 코로나19 오미크론 하위 변이 증가세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6.
1353 캐나다 써리 학교서 16세 청소년 칼에 찔리는 사고 발생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6.
1352 캐나다 BC주 7일 현재 원숭이두창 확진자 18명-전 주에 비해 3배 이상 밴쿠버중앙일.. 22.07.08.
1351 캐나다 4월 누계 새 한인 영주권자 2370명 밴쿠버중앙일.. 22.07.08.
1350 캐나다 한국 5개 감 상품 기업 캐나다 시장 개척차 방문 file 밴쿠버중앙일.. 22.07.08.
1349 캐나다 퀘벡주 예방접종위운회, 가을부터 4차/5차 COVID-19 백신 접종 캠페인 권고 file Hancatimes 22.07.08.
1348 캐나다 퀘벡주, 연방정부에 여권 지연 상황에 대한 해결책 요구 file Hancatimes 22.07.08.
1347 캐나다 노년층에게 은행 직원 사칭 ‘전화금융사기’ 주의보 file Hancatimes 22.07.08.
1346 캐나다 연방정부, ‘여권 대란’ 해결을 위해 더 많은 일처리 지시 file Hancatimes 22.07.08.
1345 캐나다 연방정부, 퀘벡주 장기 요양 시설 개선을 위해 약 2,210억원 투자 발표 file Hancatimes 22.07.08.
1344 캐나다 몬트리올 경찰청, 무기 및 마약 밀매 일당 5명 체포 file Hancatimes 22.07.08.
1343 캐나다 캐나다 데이 기념행사 COVID-19 및 재정적 어려움 속 일부 도시에서 취소 file Hancatimes 22.07.08.
1342 캐나다 캐나다, 해외 입국자에 대한 COVID-19 방침 9월까지 유지 file Hancatimes 22.07.08.
1341 캐나다 몬트리올 공항, 인력 부족으로 인한 ‘항공 대란’ 초래 file Hancatimes 22.07.08.
» 캐나다 보건 당국, COVID-19 재확산 우려에 추가 백신 접종 촉구 file Hancatimes 22.07.08.
1339 캐나다 캐나다 실업률 하락에도 일부 기업은 여전히 고용 문제로 고군분투 file Hancatimes 22.07.08.
1338 캐나다 보건복지부 장관, 퀘벡주 ‘COVID-19 7차 확산’ 주의 촉구 file Hancatimes 22.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