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Caravanning 1).jpg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중 국내 여행 붐이 일면서 캐러밴 임대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호주 전역에 등록되어 있는 75만 대의 캐러밴 및 캠핑카가 근래 사회문제로 부각된 주거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사진은 캐러밴 임대로 별도의 소득을 올리고 있는 로라 스터트(Laura Stutt)씨. 사진 : 7 뉴스 방송 화면

 

국내 여행 붐으로 급격한 수요 증가 속, 주거 문제 임시 해결 방안으로 제시

 

퀸즐랜드(Queensland) 주에 사는 로라 스터트(Laura Stutt)씨는 지난 2년 사이, 소유하고 있던 캐러밴 임대로 3만5,000달러 정도의 수입을 올렸다. 주차공간만 차지하고 먼지만 뒤집어쓰고 있던 애물단지 캐러밴이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기간 동안 해외여행이 막힌 상황에서 국내 여행 붐으로 임대 수요가 크게 늘어난 때문이었다.

같은 지역의 카렌 프린스(Karen Prince)씨 또한 캐러밴 임대로 불과 3개월 만에 6,000달러를 벌어들였다.

‘캐러밴 여행자의 에어비앤비’(Airbnb for caravans)로 설명되는 온라인 플랫폼은 각 가정에서 그야말로 ‘gathering dust’ 상태에 있는 캐러밴 소유자들을 끌어들여 큰 수입을 올리고 있다.

현재 캐러밴을 임대할 수 있는 ‘Camplify’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은 팬데믹 사태 속에서 캐러밴을 이용한 국내여행 붐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캐러밴 임대 공급자인 스터트씨는 “엄밀히 말해서 다소 비정상적인 것 같다”며 “재정적으로 확실히 도움은 됐다”고 말했다.

프린스씨는 팬데믹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건강 문제로 일을 할 수 없던 처지였다. 그런 가운데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던 캐러밴을 빌려주고 가만히 앉아 수입을 얻게 된 것을 ‘신의 가호’라 생각하고 있다.

‘Camplify’ 플랫폼 측에 따르면 캐러밴을 임대하는 이들 대부분은 장기 휴가를 즐기는 사람들이다.

 

종합(Caravanning 2).jpg

캐러밴 또는 캠핑카가 노숙 위험에 처한 이들을 지원할 수는 있지만 장기적 주거 문제 해결은 아니라는 게 관계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사진 : 7 News 방송 화면 캡쳐

   

이처럼 캐러밴 임대가 크게 증가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임대주택 위기’(rental crisis)로 노숙 위험에 처한 호주 전역 수만 명에게 캐러밴 또는 캠핑카가 임시방편이지만 주거문제 해결 방안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제안이다.

 

캐러밴 활용의 이점

 

캐러밴이 현재 노숙 위험에 처한 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have a roof over their heads)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현재 당국에 등록되어 있는 호주 전역의 캐러밴 및 캠핑 차량은 약 75만 대에 이른다.

예를 들어 ‘Camplify’는 주 정부와 협력하여 올해 2월과 3월에 극심한 홍수 피해를 입은 NSW 주 노던 리버스, 우드번(Woodburn, Northern Rivers region) 지역의 주거지 피해 주민들에게 캐러밴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최근 시작했다.

퀸즐랜드 캐러밴 파크 협회(Caravan Parks Association of Queensland)의 미셸 웨스턴(Michelle Weston) 최고경영자는 “캐러밴 파크 운영자들은 특히 비관광 지역에서 주택 부족에 시달리는 이들을 지원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그녀는 최근 ‘7 News’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임대주택 공실률이 극히 낮은 가운데 우리는 매우 흥미로운 공간이 있지만, 동시에 캐러밴 여행자가 지금처럼 많았던 적도 없다”면서 “캐러밴 파크 소유자는 장기 숙박이 필요한 이들을 돕고 싶지만 현재 국내 여행자들의 높은 점유율과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웨스턴 CEO는 “이런 가운데 일부 캐러밴 파크는 여행자를 위한 캠핑 장소에서 용도를 변경해 임대숙소로 전환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종합(Caravanning 3).jpg

전국적으로 주택부족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일부 캐러밴 파크는 여행자를 위한 캠핑 장소에서 용도를 변경해 임대숙소로 전환하기도 한다. 사진은 NSW 주 보나(Bowna)에 있는 Great Aussie Holiday Park. 사진 : Caravan Park of Australia

  

단기적인

해결책일 수는 있지만...

 

노숙 위험에 처한 이들에게 캐러밴이 기발한 방안일 수는 있다. 하지만 ‘임대 위기’에 대한 진정한 해결책은 아니라는 게 공통적인 지적이다.

웨스턴 CEO는 “캐러밴을 주거지로 활용하는 아이디어는 장기 임대 가능한 일부의 캐러밴 숙소가 있다는 점에서 제한적인 해결책”이라며 “낮은 임대주택 공실률로 인한 주거 위기 문제는 정부가 나서서 공실률 격차를 메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퀸즐랜드를 기반으로 하는 노숙자 보호시설 ‘Q Shelter’의 피오나 캐니글리아(Fiona Caniglia)씨도 이에 동의했다. “각 커뮤니티가 캐러밴을 이용하도록 하는 아이디어는 긍정적이지만 더 큰 문제를 놓치게 할 수 있다”는 우려이다. “임대주택 공실률이 낮고 가용 가능한 주택이 거의 없기에 사람들은 노숙을 피해 점점 더 임시거주 방식에 눈을 돌리게 될 것”이라는 캐니글리아씨는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해결 방안을 연구하고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캐러밴 거주는 장기적 해결책이 아니며 기껏해야 피해를 줄이는 조치일 뿐”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언급하면서 “불안정한 주거지 문제가 일상적으로 고군분투하는 생활의 일부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지환 기자 herald@koreanherald.com.au

 

  • |
  1. 종합(Caravanning 1).jpg (File Size:80.1KB/Download:13)
  2. 종합(Caravanning 2).jpg (File Size:44.9KB/Download:11)
  3. 종합(Caravanning 3).jpg (File Size:95.2KB/Download:12)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851 호주 지방대학들, 연방정부의 HECS 상환 제안 ‘찬성’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50 호주 17년 이래 인플레 최저 수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9 호주 12월부터 ‘P’ 면허증 소지자 운전 규정 강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8 호주 미국 노선 호주 항공사들, ‘좌석 업그레이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7 호주 80년 역사 목조 에스컬레이터, 사라지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6 호주 ‘미니루스’, 5개국 청소년 여자축구교실 개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5 호주 치솟는 주택가격... 시드니 아파트도 ‘100만 달러’ 시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4 호주 도심 인근 주택 ‘프리미엄’, 낙찰가 강세 이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3 호주 NSW 주립미술관 ‘2016 아치볼드’ 전시회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8.
842 호주 10 weirdest outback experiences in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41 호주 말콤 턴불 수상, 연립 내각 일부 개편 단행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40 호주 “일반의 진료비 개인 납부, 다시 고려해야...”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9 호주 NSW 교육부, HSC 시험서 ‘수리’ 시험 의무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8 호주 “고층만이 해결 방안...”, 시드니 도심 개발 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7 호주 러드, ‘UN 사무총장 후보’ 호주 정부 지원 촉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6 호주 ‘배리 험프리스의 초상’, 올해 아치볼드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5 호주 호주 성인 절반, ‘내집 마련’ 기회 더욱 멀어져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4 호주 시드니 시티 카운슬, 차기 시장은 누구?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3 호주 알렉산드리아 창고, 잠정가보다 100만 달러 치솟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21.
832 호주 NSW 주 정부, 그레이하운드 경주 ‘금지’ 결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31 호주 올 연방 선거, 20년 만에 여성의원 수 ‘최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30 호주 사망-중상자 기준, 호주에서 가장 위험한 직업군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9 호주 케빈 러드의 UN 사무총장 꿈, 난항 예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8 호주 거대 기업들의 개인 신원확인, 과연 적절한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7 호주 록스 인근 밀러스 포인트, ‘Airbnb’ 숙소로 급부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6 호주 소비자들로부터 가장 불만 많았던 광고는...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5 호주 Southern Ocean Lodge, 전 세계 Top 4위 호텔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4 호주 호주 원주민 기혼 여성, 사망 위험 매우 높아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3 호주 ‘크라운그룹’, 또 하나의 유명 건축 부문 수상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2 호주 파라마타 초고층 빌딩, 고도제한으로 개발 어려울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1 호주 NSW 주, 43년 만에 ‘스트라타 법’ 개정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20 호주 포커머신 세금 감면 누적액, 135억 달러에 달해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19 호주 더블 베이 주택, 잠정가보다 100만 달러 상승 ‘거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19.
818 호주 11 things Australians get wrong about Australia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7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연립, 76석 확보할 듯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6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턴불, 책임 감수 밝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5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의석 확대, 노동당 전략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4 호주 Federal Election 2016- 새 역사 쓴 린다 버니 의원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3 호주 시드니 주택가격 성장, “아직 절정 아니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2 호주 가정폭력 피해자, 임대주택 계약 조기해약 가능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1 호주 엽산-요오드 첨가 빵, 건강 혜택 가져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10 호주 봅 카, 전 주 수상, ‘아이스 흡입실’ 시험적용 지지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09 호주 NSW 주 정부의 ‘여성보호소 운영’, 부실 드러나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08 호주 시드니-NSW 예술대학 합병에 학생들 반발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07 호주 NSW 주 대중교통, 종이승차권 사라진다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06 호주 연방 선거일 불구, 시드니 경매 낙찰률 73.5% 기록 file 호주한국신문 16.07.07.
805 호주 Australia's most bizarre laws that make no sense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804 호주 Federal Elaction 2016- 페어팩스 미디어 ‘YourVote’ 조사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803 호주 Federal Elaction 2016- 의료 민영화 문제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
802 호주 연방 이민부 내부 부정 내부 고발... 거센 후폭풍 file 호주한국신문 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