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0-758783364_eBgK1q5w_9c6870372d1d76e0

 

 

상시 재택 근무 비율 24%에 달해

다운타운 안전 악화에 멀어져 간다

 

코로나19로 재택 근무 분위기가 높아진 가운데, BC주가 현재 가장 많이 재택 근무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기관인 Leger가 11일 발표한 최신 조사 자료에서 캐나다 응답자 중 때로 또는 항시 재택근무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43%로 나타났다. 출근 근무를 한다는 응답은 57%였다.

 

각 주 별로 보면 BC주 응답자의 재택 근무가 허용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온타리오주와 함께 48%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퀘벡주가 41%, 알버타주가 40%로 인구 비중이 높은 대도시를 끼고 있는 주일수록 높았다.

 

BC주에서 재택 근무를 하는 경우를 나눠보면 주에 1~3일 재택근무한다는 비율이 13%, 때때로 한다가 10%, 그리고 거의 매일 한다가 24%로 나왔다.

 

연령별로는 18-34세가 44%로 높았고, 55세 이상이 41%로 낮았다. 

 

미국은 재택 근무 허용한다는 비율이 47%로 캐나다보다 4% 포인트가 높았다.

 

가장 근접한 도심의 상황이 어떻게 변했는지에 대한 설문에서 악화됐다고 대답한 비율이 45%로 개선됐다고 대답한 10%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았다.

 

악화됐다는 대답을 주별로 보면 BC주가 54%로 마니토바/사스카추언주의 58%에 이어 두 번째로 부정적으로 나왔다. 알버타주는 47%, 온타리오주는 45% 등이었다.

 

미국은 상황이 안좋았졌다고 대답한 비율이 31%로 캐나다보다 14% 포인트나 낮았다. 이전과 같다는 대답은 33%로 캐나다보다 5% 포인트 높았다. 반면 개선됐다는 대답은 12%로 캐나다보다 2% 포인트 높았다.

 

상황이 악화된 요인에 대한 복수 응답에서 취약 계층의 정신적인 문제점이 89%로 가장 높았다. 이어 홈리스와 취약계층을 위한 저렴한 주택 공급 부족이 각각 88%, 범죄율 상승이 87%, 안전 부족과 약물 중독이 82%로 각각 나왔다. 

 

BC주의 응답율은 각 항목에 대해 93%에서 99%로 그 어떤 주보다 더 열악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정신적 문제점이 99%, 범죄율 상승이 98%, 홈리스와 약물 중독이 97%였고, 안전 부족이 96%, 그리고 취약계층을 위한 저렴한 주택이 93%였다.

 

지난 6개월간 본인이나 가까운 친지들이 도심에서 피해를 본 경험에 대해 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느꼈다가 15%, 공격적인 태도가 14%, 자동차 파손 절도가 9%, 건조물 파손이 8%, 좀도둑이 7% 등으로 나왔다.

 

BC주는 안전에 대한 불안과 좀도둑 경험이 22%와 16%로 타 주에 비해 크게 높았다.

 

이번 조사에서는 실직에 대한 조사도 했는데, 향후 12개월 이내 실직 두려움이 있느냐는 질문에 29%가 걱정을 한다고 대답한 반면 71%로 걱정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

 

주별로 보면 BC주는 걱정한다는 비율이 30%로 37%의 마니토바/사스카추언주, 그리고 알버타주나, 35%의 온타리오주보다 낮았다. 

 

또 12개월 이내에 직장을 자발적으로 그만 둘 가능성에 대해 24%가 그렇다고 대답한 반면 76%는 아니라고 대답했다.

 

BC주는 가능성이 33%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이번 조사는 8월 5일에서 7일까지 전국에서 총 1509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표준오차는 ±2.52%이다. 미국 조사는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표준오차는 ±3.09% 포인트이다.

 

표영태 기자

  • |
facebook twitter google plus pinterest kakao story band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1257 캐나다 살기 좋은 도시, 밴쿠버 탈락 이유는 무엇 ? 밴쿠버중앙일.. 16.09.13.
1256 캐나다 동면 대비 곰 출현 증가, 안전 대책 준비 밴쿠버중앙일.. 16.09.13.
1255 캐나다 밴쿠버 크리스마스 마켓, 규모 확장과 동시에 잭 풀 플라자로 이동 밴쿠버중앙일.. 16.09.13.
1254 캐나다 폐교 후보 명단 고등학교, 주민들 폐교 반대 행사 밴쿠버중앙일.. 16.09.13.
1253 캐나다 메트로 지역 대중교통 이용 상승세, 그러나 서비스 확대 계획 없어 밴쿠버중앙일.. 16.09.13.
1252 미국 “15초전의 일 같아” 살아있는 자의 아픔 file 뉴스로_USA 16.09.12.
1251 미국 클린턴 건강이상설 9.11행사 도중 졸도? file 뉴스로_USA 16.09.12.
1250 미국 '미국판 꽃할배' 실망..지나친 연출과 억지 file 뉴스로_USA 16.09.12.
1249 미국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는 블랙닷 캠페인 KoreaTimesTexas 16.09.11.
1248 미국 미 연방항공청 “기내에서 노트7 사용 금지” 권고 file KoreaTimesTexas 16.09.10.
1247 미국 미국 호화 실버타운의 삶은 어떻게 이뤄지나? 코리아위클리.. 16.09.10.
1246 미국 미국 민항기 반세기 만에 쿠바 하늘 날았다 코리아위클리.. 16.09.10.
1245 미국 플로리다주 주민 절반, 지카 바이러스 우려 코리아위클리.. 16.09.10.
1244 미국 지카 바이러스 모기 서식지는 꽃잎에도 있다 코리아위클리.. 16.09.10.
1243 미국 대선 좌절 루비오, 상원의원 재도전 첫 관문 넘어 코리아위클리.. 16.09.10.
1242 미국 대학 동아리 가입 장단점 따져 봐야 코리아위클리.. 16.09.10.
1241 미국 9월은 ‘콜레스테롤 교육의 달’, 수치 검사 받아야 코리아위클리.. 16.09.10.
1240 캐나다 애보츠포드에서 소규모 지진, 진원지는 왓콤 레이크 밴쿠버중앙일.. 16.09.09.
1239 캐나다 클락, "외국인 부동산 세금 수정 계획 전혀 없어" 밴쿠버중앙일.. 16.09.09.
1238 캐나다 BC 동북부 대규모 정전 피해, 번개가 원인 밴쿠버중앙일.. 16.09.09.